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장, 제78차 세계보건총회 참석... 글로벌 보건 협력 기반 확대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와 양해각서 체결(‘21.12월) 이후 첫 기관장 방문, 양 기관간 공동행동계획 수립 등 논의
제78차 세계보건총회 참석, 지난해 의장단으로서 총회 개회 선언 및 자격심사 위원회 선정, 모잠비크 국립보건원 및 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와 양해각서 체결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5월 16일(금)부터 22일(목)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 소재한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European Centre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CDC)를 방문하고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78차 세계보건기구 총회에 참석하였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지난 2021년 국경을 초월하는 감염병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ECDC와 △위기상황 대비 및 대응, △감염병 감시 및 통제, △위험평가, △실험실 역량강화, △항생제 내성 및 의료 관련 감염, △예방접종 등의 협력 분야를 포함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5.16일 진행된 이번 방문은 양해각서 이후에도 지속 유했던 코로나19로 인해 진행되지 못했던 양 기관간 고위급 정책 대화 및 기술 협력을 재개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아울러, 금번 방문에는 이형종 주스웨덴왕국 대한민국 대사도 동행하여, 보건 분야를 넘어 EU 및 스웨덴과 한국의 우호 관계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날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파밀라 랜디-와그너 유럽CDC장과 양자 면담을 갖고, ECDC에서 진행하는 일일 감염병 감시 및 상황판단 회의 참석하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였다.

또한 ECDC의 주요 우선순위 프로젝트, 공중보건위기상황 대비·대응 계획, 감염병 감시 및 예방접종 사업 등에 대해 소개받고, 한국의 정책도 소개하며 상호 제도 및 정책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양 기관은 전 세계 감염병 감시 정보 공유, 백신 효과 평가 등 상호간 관심 주제를 포함하여 공동행동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발굴·이행해 나가기로 하였다.

아울러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제백신연구소 유럽지역사무소를 방문하여 안 와텔(Anh Wartel) 사무소장과 만나, 활동 상황을 보고받고 질병관리청 및 한국에 소재한 국제백신연구소 본부와의 협력사항을 논의하였다.

[세계보건총회 참석]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5월 19일(월)부터 5월 22일(목)까지 4일간 제78차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총회에 참석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총회 첫날인 5월 19일 세계보건총회의 전체회의(Planery Meeting)에 참석하여, 총회의 공식적인 개회를 알리고 자격심사위원회의 임명을 선언하였다. 


’24년 제77차 세계보건총회의 부의장으로 활약하고, ‘25년 제78차 세계보건총회의 의장단 선출 전까지 부의장직을 유지함에 따라, 동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제78차 세계보건총회 의장으로 티오도로 하르보사(Teodoro Harbosa) 필리핀 보건부 장관이 선출되었음을 선언한 뒤 새로운 세계보건총회 의장에게 의장석을 전달하였다.


21일(수)에는 WHO 보건위기프로그램 독립감독자문위원회(IOAC) 위원 및 국가 대표로서 보건 위기 대비·대응 의제에 참석하여, 한국이 국제보건규칙의 이행 준비 및 공중보건 위기상황 대비·대응 역량 점검을 위해 8월 말 WHO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을 실시할 계획임을 공유하였다.


[부대행사 공동주관 및 참석]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가 주관하는 ‘글로벌 보건을 위한 새로운 길: 국가 리더십과 글로벌 영향력(Charting a New Course for Global Health: Country Leadership, Global Impact)’(5.18.(일))을 주제로 하는 라운드테이블에 한국 정부 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의 백신 개발 및 글로벌 백신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사업 등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아울러,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스웨덴 및 영국이 주관하는 ‘항생제내성 연합체(Alliance of Champions on AMR) 회의’(5.19.(월))에 참석하여, 제78차 UN총회 고위급 회의 항생제내성 선언문의 성과를 검토하는 등 항생제내성관리를 위한 전 세계적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또한, ‘그룹 A 연쇄상구균 백신을 위한 글로벌 협력(Bridging the Gap - Global Collaboration for a Group A Streptococcus Vaccine)’을 주제로 국제백신연구소가 개최하고 한국이 공동 주관한 부대행사(5.20.(화))에서 “백신의 공정한 접근성과 과학 기반의 정책 수립을 통해 세계보건에 기여하고자 하며, A군 연쇄구균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에도 적극 동참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양해각서 체결]


지영미 청장은 어씬 이쎄(Ussene Isse) 보건부 장관 및 에도아르도 사모 구도(Eduardo Samo Gudo) 국립보건원장(Instituto Nacional De Saúde)과 만나, 한국 질병청과 모잠비크 국립보건원의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보건 안보 중심 감염병 및 만성질환 기술 협력 체계 구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번 양해각서는 주요 협력분야로 △빅데이터 활용, △지역사회 건강·영양조사 사업, △위험 분석, △위기 소통, △실험실 진단, △바이오뱅크, △공중보건 교류 및 전문가 교류 등을 명시하고 있어, 공중보건위기 대비‧대응을 위한 양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WHO 서태평양지역사무처(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WPRO)와의 양해각서를 체결(5.22.(목))하였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식에는 사이아 마우 피우칼라(Saia Ma’u Piukala) 지역사무처장, 수잔 메카르도(Susan Mercado) 프로그램관리국장 등 WHO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였다. 


지난 2006년 이후 지속해 온 WHO WPRO에 대한 재정지원과 함께 감염병 통제·예방, 결핵 관리, 만성질환 조사·감시 등의 분야에서 양 기관의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


특히 올해 5월 질병관리청이 “만성질환 조사감시 및 빅데이터 활용 협력센터”로 지정됨에 따라 6월 중 WPRO에서 참석하는 협력센터 개소식을 개최하고, 향후 서태평양 지역의 만성질환 관리 강화를 위해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양자 면담]


영국, 캐나다 및 싱가포르 등 주요 협력국과도 양자 면담도 진행되었다.


지영미 청장은 샐리 데이비스(Dame Sally Davies) 영국 항생제내성 특임대사와 양자 면담(5.19.(월))을 통해 전 세계의 항생제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 전략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영국보건안보청 수석의료고문(Chief Medical Advisor) 수잔 홉킨스(Prof. Susan Hopkins)와 양자 면담을 통해 그간 양 기관이 고위급 회의·온라인 실무대화 등을 통해 진행해 온 협력 관계를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 외에도, 리처드 해쳇(Richard Hatchett) 감염병혁신연합(CEPI) 대표(CEO)와 만나 질병청–CEPI 간 100일 미션 도상 훈련 등 협력 과제 추진사항을 점검하였다.


또한, 테레사 탬(Theresa Tam) 캐나다 공중보건청 수석의료관(Chief Medical Officer)을 만나 국경지역의 감염병 감시 전략 등을 공유하였고, 버논 리(Prof. Vernon Lee) 싱가포르 감염병청장과 2024년 5월 양해각서 체결 이후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정기적 교류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WHO의 국장(Director) 및 사무차장보(Assistant Director-General)급의 여러 인사들*을 만나 질병관리청과 WHO의 협력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특히, 최근 미국의 WHO 탈퇴 및 지원 철회에 따라, 예방접종 지원, 생물안전·보안 등 많은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공유하고, 질병관리청의 인력 파견 및 재정지원 등을 요청하였다. 또한 WHO에 근무하는 한국인 직원들과 만나 진행되고 있는 구조개편 등과 관련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격려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다자협력은 전 세계 사람들의 건강 증진을 위해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한국이 국제 보건영역에서 더욱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시기”라면서, “올해 제78차 세계보건총회 참석을 통해 국제기구 및 다른 국가들과 협력을 굳건히 하고, 한국의 보건 리더십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영석 의원, ‘해외입양기록의 윤리적 이관과 국가책임’ 국회토론회 개최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부천시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오는 7월 7일(월)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해외입양기록의 윤리적 이관과 국가책임」을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서영석 의원을 비롯해 윤후덕, 남인순, 이재정, 김남희, 김선민 의원이 공동주최하며, ‘입양기록 긴급행동(EARS)’, ‘국내입양인연대’, ‘입양연대회의’,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등 국내외 입양인 단체 및 시민사회가 주관한다. 미국, 스웨덴, 프랑스, 호주 등지에서 활동 중인 입양인 대표자들도 온라인을 통해 참여할 예정이다. 2023년 제정된 「국제입양에 관한 법률」에 따라, 오는 2025년 7월까지 모든 해외입양기록은 민간 입양기관에서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NCRC)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이는 약 20만 명에 달하는 해외입양인들의 정체성과 가족 정보를 담은 중요한 자료를 국가가 직접 책임지고 관리하게 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관을 앞두고, 입양인 단체와 시민사회는 기록물의 안전한 보존 환경, 당사자 중심의 열람·정보 접근 시스템, 보편적·지속가능한 서비스 기반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열람공간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제 정책·등재 전략 등 공유 ‘2025 보험약가교육’ 개최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는 지난 3일 양재 aT센터 창조룸1(4F)에서 ‘2025년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가교육’을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협회가 주최한 이번 교육은 제약기업의 약가 및 유관 부서 실무자들에게 보험약제 정책 방향, 약제 등재 전략과 사례 등을 공유, 약가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으며, 이날 90여 명이 참여했다. 노연홍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정부의 정책 방향과 산업 현장의 목소리가 유기적으로 소통되는 오늘의 자리가 제도 개선과 산업 발전의 실질적인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이번 교육이 약가 담당자의 업무 이해도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라고 말했다. ‘보험약제 주요 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발표한 보건복지부 김연숙 보험약제과장은 “제약산업의 건전한 성장 및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종합적 관점의 약가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필수의약품 공급 등 사회적 가치 창출 기업을 지원하는 약가제도 마련 방안에 대해 고민하겠다”라고 밝혔다. ‘약제 특성에 따른 신약 등재 전략 수립’을 주제로 발표한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수경 전문위원은 대체제 없는 고가 항암제 등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기다림이 중요한‘경계선지능’..."또래보다 늦더라도 성취 이뤘을 때 칭찬과 축하를 아낌없이 보내줘야" 경계성지능 아동은 또래보다 학습과 적응 속도가 느리다. 이들에게는 자신만의 속도에 맞는 성장환경이 필요하지만, 진단이 쉽지 않은 특성상 학교와 일상에서 충분한 배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경계선지능 아동의 특징과 어려움, 그리고 가정과 사회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지원 방안을 소아정신과 홍순범 교수와 알아봤다. 1. 경계선지능이란?지능은 학습에 도움이 되는 능력을 말한다. 경계선지능은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가 지적장애(70 이하) 진단 기준보다 조금 더 높은 ‘70~85’로 측정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장애’로 평가하는 단계는 아니다. 최근 경계선지능 진단을 위해 IQ 뿐 아니라 보다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적 기능 외에도, 의사소통·사회성·자기관리 등 사회활동에 필요한 ‘적응 기능’도 경계선지능의 평가 기준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2. 경계선지능의 특징경계선지능 아동은 지적장애 아동만큼은 아니지만 또래들보다는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말 그대로 ‘경계 정도’의 애매한 어려움이며, 그렇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렵다. 처음 입학했을 때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학업이 점점 어려워지는 시점부터 의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