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노피의 한국법인은 8월 23일부터 24일까지 서울 몬드리안 이태원에서 ‘Protect All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수막구균·B형 간염 예방에 대한 최신 임상 지견을 공유했다. 심포지엄은 광주(8월 29일), 부산(9월 27~28일)에서도 이어질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최영준 교수가 ‘RSV 감염에 취약한 첫 RSV 계절: 베이포투스®의 실사용 증거와 역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최 교수는 “RSV는 전 세계 모든 영유아가 2세 이전 한 번 이상 감염되며, 영유아 입원 치료가 필요한 기관지염의 원인으로 약 15~40%를 차지해 가정에 부담을 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RSV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하는 대부분의 영아는 알려진 위험 요인이 없는 만삭아로, 모든 신생아 및 영아를 위한 RSV 예방 옵션의 필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며, 생애 첫 RSV 유행 시기에 접어든 신생아 및 영아의 예방적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교수는 올해 2월부터 국내에서 투여가 시작된 베이포투스®에 대해 “생후 첫 번째 RSV 계절을 맞은 모든 신생아 및 영아를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RSV 예방이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특히 후기 조산아 및 만삭아 대상으로 진행한 HARMONIE 3상에 대해, 임상 결과 180일 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RSV 관련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영아 입원이 82.7%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 최초로 베이포투스®를 국가예방접종사업(NIP)에 도입한 스페인 갈리시아 지역의 사례를 소개하며, 해당 지역에서는 2023년 9월부터 2026년 10월까지 3년간 베이포투스®를 투여받은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효과성에 대한 집중 관찰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2024년 5월 의학 저널 ‘란셋(The Lancet)’에 발표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2024년 RSV 시즌 동안 베이포투스®는 생애 첫 RSV 유행기를 경험하는 영아의 RSV 관련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입원율을 82%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감염분과 윤기욱 교수가 ‘베이포투스®를 활용한 RSV 예방 전략: 투여 대상, 시기 및 투여 방법’을 주제로, 예방 항체주사의 특징과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윤 교수는 “수동면역을 기전으로 하는 예방 항체주사는 특정 바이러스에 대항할 수 있는 항체를 외부에서 직접 투여하는 것이 특징으로, 면역체계의 훈련 과정 없이도 신속한 방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며 베이포투스의 작용 기전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윤 교수는 실제 투여 현장에서 베이포투스의 투여 대상 및 시기에 대한 질문이 자주 제기된다고 언급하며, “베이포투스®는 첫 번째 RSV 계절을 맞는 모든 신생아 및 영아는 물론, 생후 두 번재 RSV 계절동안 중증 RSV 질환에 대한 위험이 높은 생후 24개월 이하의 소아에게도 투여할 수 있어 폭 넓은 RSV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첫 번째 RSV 계절 중 출생한 신생아의 경우, 출생 직후 베이포투스®를 투여받을 수 있으며, RSV 계절 외인 4~9월 사이 태어난 영아는 RSV 계절이 시작되기 전인 9월 말에 베이포투스®를 투여 받으면 RSV 계절 전반에 걸쳐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