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아주대의대, ‘2025 QUATTRO FORUM- Deep Medicine’성료



AI 인공지능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기술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2025 QUATTRO FORUM-Deep Medicine’이 지난 8월 2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아주대의대 BK21 첨단정밀의학 교육연구단, 의료인공지능 융합인재양성사업단, KOBRA(Korea Bio Research Association-KOBRA 첨단바이오 연구협력센터), 의료원 첨단의학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외 산·학·연·병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최신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통한 융합 시너지를 도모했다.

포럼의 기조강연은 더불어민주당 차지호 국회의원이 맡아 ‘AI 기반의료와 미래의료시스템’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 아스트라제네카 김연진 수석디렉터, 케임브리지대학교 한남식 교수, Adelphi Ventures 정태흠 대표 등 글로벌 전문가들이 연자로 참여해 신약 개발, 유전체학, 정밀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의 최신 적용 사례와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이번 행사를 기획한 아주대의대 생리학교실 우현구 교수는 “AI 인공지능 분야의 급격한 발전 속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산학연병 간 융합 시너지 창출과 인재 양성 체계 마련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포럼이 병원·대학·기업·연구소가 상호 협력하는 동반자적 모델을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지닌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서울대병원·KAIST, 국내 소두증 유전자 스펙트럼 규명 신경발달장애 소아 환자는 또래보다 머리 크기가 작은 ‘소두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그 발생 원인은 명확치 않았다. 국내 연구진이 소두증과 연관된 유전적 스펙트럼을 규명하고, 원인불명이던 환자의 56.7%에서 유전적 원인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뇌 발달 경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신경발달장애 환자를 위한 정밀 진단의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KAIST 생명과학과 윤기준 교수(장현수 연구원)·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 공동연구팀이 소두증을 동반한 신경발달 장애 환자 418명과 가족 632명의 전장 엑솜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소두증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치보다 2표준편차 이상 머리 둘레가 작은 경우로, 뇌 성장과 발달의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머리 크기가 작은 일차성 소두증과 자라나면서 머리 성장이 멈추는 이차성 소두증으로 구분되며, 약 1,300개의 유전자가 이 질환의 발생에 연관되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소두증의 결정적인 유전적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신경발달장애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고, 출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