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김헌주, 이하 개발원)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중심으로 “술을 마시면 살이 빠진다”라는 건강 오정보 게시물이 확산되고 있어, 건강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근거 기반 정보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해당 게시물은 “하버드대학교 연구 결과, 적당한 음주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3,600건 이상의 공감을 얻었고, 온라인에서 관련 콘텐츠가 재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버드의 권위를 차용하여 연구 결과를 과장한 사례로 실제 해당 연구는 일본 성인 약 5만 7천 명을 대상으로 음주 습관 변화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 음주를 시작한 후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수치는 증가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나 체중 감소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고, 연구자들은 과도한 음주는 여전히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체중 감량이 HDL 수치를 높이는 연구 결과는 다수 보고되었으나, 반대로 HDL 수치 증가가 체중 감량을 유발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다.
개발원은 이처럼 관련 없는 연구 결과를 과장하여 전달하는 건강 오정보가 국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건강정보를 생산하거나 이용할 때는 ‘건강정보 게시물 가이드라인’을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건강정보 생산·게시자는 이해하기 쉽고 명확한 표현 사용, 거짓·과장 주의, 근거 기반 정보 생산, 출처와 날짜 제시, 이해관계나 광고 협찬 표시를 지침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건강정보 이용자에게는 출처 확인, 목적 확인, 날짜 확인, 비교·검토, 합리적 의심하기 등 5가지 수칙을 통해 올바른 건강정보를 이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해정 교수는 “순수 알코올 1그램은 약 7칼로리의 열량을 가지고 있어 술 자체의 열량이 높고, 일반적으로 안주와 함께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며 “알코올은 체내에서 독성을 지니기 때문에 해독 과정에서 다른 영양소보다 먼저 대사되며, 이로 인해 지방이 잘 소모되지 않고 함께 섭취한 음식의 열량이 지방으로 저장될 가능성이 커져 결과적으로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김헌주 원장은 “건강에 안전한 음주는 없으며, 음주로 살이 빠진다는 과장된 건강정보는 오히려 과도한 음주를 부추길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개발원은 앞으로도 건강 위해정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올바른 건강정보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