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국경없는의사회, 글로벌펀드 지원 약화로..."에이즈·결핵·말라리아 종식" 위기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는 전 세계 보건 재원이 대폭 삭감되면서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이고 광범위한 3대 감염병, 에이즈·결핵·말라리아 종식을 위한 노력이 위기에 처했다고 경고했다.

지난 1월, 글로벌 보건 프로그램 최대 공여국이었던 미국은 국제 원조 전면 중단 및 검토를 발표했다. 그 결과,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에이즈·결핵·말라리아 종식을 위한 글로벌펀드(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에 약정된 60억 달러 중 절반인 약 30억 달러가 여전히 집행되지 않고 있다. 또한,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주요 공여국들은 오는 11월로 예정된 글로벌펀드의 차기 3개년 재원 조성 및 집행 주기에 대한 구체적 약정 내용을 아직 발표하지 않은 상황이다.

글로벌펀드는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지에서 취약한 보건 시스템을 지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글로벌펀드에 조달되는 재원은 약품 및 진단검사 장비 구입, 보건 인력 임금 지불, 질병 예방 활동 유지 등에 사용된다. 향후 몇 주, 몇 달 내에 충분한 재원 조성 및 집행 공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수십 년간 이어져 온 질병 및 사망률 감소의 성과가 물거품이 될 위험이 있다.

매년 수만 명의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이하 HIV) 감염 환자와 결핵 환자, 300만 명 이상의 말라리아 환자에게 치료를 제공하는 국경없는의사회는 글로벌펀드에 대한 지원 약화가 가져올 파급 효과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활동은 글로벌펀드의 재원 지원을 받지 않지만, 이에 의존하는 수많은 지역사회 기반 보건 단체들이 재정 불확실성과 감축 위기 속에서 이미 사업 축소를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토니오 플로레스(Antonio Flores) 국경없는의사회 HIV·결핵 선임 자문은 “재원 삭감의 여파는 이미 드러나고 있다”며 “온두라스에서는 대통령 에이즈 구호 비상계획(President’s Emergency Plan for AIDS Relief, PEPFAR)의 갑작스러운 재원 삭감으로 HIV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이 중단됐다”고 전했다. 또한 “환자들은 하루아침에 노출 전 예방 요법(pre-exposure prophylaxis, 이하 PrEP) 접근성을 잃었고, 보건 인력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그 결과 우리는 현재 중증 기회감염으로 병원을 다시 찾는 환자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목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에이즈
전염병은 방치하면 더욱 확산된다. 재원 삭감은 수년간 쌓아온 성과를 무너뜨린다.

의학적 진전에도 불구하고, HIV는 여전히 매년 약 130만 명의 신규 감염자와 60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초래하고 있다. 글로벌펀드의 지원을 받아 활동하는 지역사회 기반 단체들은 예방 및 치료 성과를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들의 성과가 물거품으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

새로 개발된 주사형 PrEP는 HIV 고위험군에 효과적인 예방책이 될 수 있지만, 미국의 재원 삭감으로 인해 말라위의 국가적 확대 시행은 보류된 상태다. 말라위 성노동자들의 HIV 유병률은 60%에 육박해 심각한 상황이다.

▲결핵
결핵은 매년 약 150만 명의 사망자를 초래하고 있다. 글로벌펀드와 유엔 결핵 고위급 회의의 노력 덕분에 진단조차 받지 못한 결핵 환자는 줄어들고 있으나, 수단에서는 숙련된 인력 부족으로 인해 결핵 검사 장비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벨라루스에서는 국경없는의사회와 글로벌펀드가 지원해 온 다제내성 결핵 연구가 최근 재원 부족으로 중단되기도 했다.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여전히 풍토병 지역에서 5세 미만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수단, 콩고민주공화국에서 활동하는 국경없는의사회 팀에 따르면, 진단 키트와 치료제가 상시 부족하고 의료시설 인력난까지 겹쳐 어린 환자들이 치명적인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조지프 와토(Joseph Wato) 카메룬 보건재정 및 보편적 의료보장을 위한 시민사회연합(COFIS-CSU) 회장은 “글로벌펀드의 제8차 재원 약정 회의가 무산된다면 수십 년간 이어온 성과가 무너지고, 말라리아 환자가 다시 급증하며 불필요한 희생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경없는의사회의 여러 현장은 해당 국가의 재원 동원만으로 국제 보건 재정을 대신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국경없는의사회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 “치명적인 공백(Deadly Gaps)”이 보여주듯, 비용 부담은 갈수록 의료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떠넘겨지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최근 재원 삭감으로 큰 피해를 입은 전 세계 공동체를 대표해 한국 정부가 글로벌 펀드에 대한 필수적 지원을 계속 이어가 줄 것을 촉구한다”며 “HIV, 결핵, 말라리아와의 싸움은 전 세계가 직면한 우리 세대의 과제이며, 그 끝은 아직 멀었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