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 세계 치매 환자는 약 5700만명이다.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며 치매 유병률은 2050년 약 1억3900만명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의료계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는 약 10%가 치매를, 80세 이상에서는 4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해 혈관성, 전두측두엽, 알코올성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치매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발견되지 않다보니 꾸준한 사회·지적 활동,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 등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게 예방법으로 언급된다. 이때, 지방줄기세포가 치매 치료에 긍정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등장하면서 줄기세포 뱅킹에 대한 관심이 덩달아 커지고 있다.
◆지방줄기세포, 알츠하이머 쥐 기억력 높인다?
치매 치료에 지방줄기세포를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신경퇴행 질환과 줄기세포 면역을 다루는 국제학술지 '에이징(Aging, Albany NY)'에 2022년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동물실험 단계에서 지방줄기세포가 알츠하이머 증상 완화에 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지방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키운 뒤, 이 세포가 분비하는 '엑소좀'이라는 미세 입자에 주목했다. 엑소좀 안에는 'circEpc1'이라는 원형 RNA가 들어 있었는데, 이를 뇌에 주사하자 면역세포가 염증을 일으키는 성질에서 벗어나 염증을 줄이고 회복을 돕는 방향으로 바뀌는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뇌의 염증이 줄고 신경세포 손상이 완화돼 알츠하이머 쥐 모델에서 기억력과 학습 능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고려대 의대 서홍석 명예교수(순환기내과 전문의)는 "기존 약물로 한계가 있는 알츠하이머 치료에서 지방유래 줄기세포 엑소좀 치료는 비침습적, 복합적인 작용을 통한 신경 보호 전략으로 매우 유망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특히 이 엑소좀은 면역 세포 성질 전환을 통해 신경 염증을 억제하고 인지 기능이 개선되는 등 알츠하이머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는 동물실험 단계에서 효과가 입증된 것이며 임상 안전성은 확인되고 있으나, 효과에 대한 대규모 임상 근거는 아직 부족하다"며 "향후 임상 연구 결과에 따라 치매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무병 장수의 꿈, 지금부터 준비할 수 있는 것은?
이처럼 지방줄기세포의 활용 가능성이 커지면서, 건강할 때 미리 젊은 줄기세포를 보관해 두었다가 향후 질환이나 노화로 문제가 생겼을 때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관찰되고 있다.
지방줄기세포는 허벅지나 복부 등에서 국소마취 지방흡입을 통해 양질의 지방을 채취한 뒤, 원심분리 등 특수한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지방은 골수에 500배, 말초혈액에 2만5000배 많은 줄기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줄기세포 수율이 월등히 높아 이를 냉동 보관한 뒤 추후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셀 뱅킹(Cell Banking)'에 특히 유리하다.
365mc 지방줄기세포센터 김정은 대표원장은 "연구에 따르면 지방줄기세포는 한번 채취로 최장 23년까지도 보관한 기록이 있어 장기간 보관에 용이한 특성이 있다"며 "특히 뱅킹 기술에서는 채취한 줄기세포의 생존력이 핵심인데, 자회사인 모닛셀의 특허 기술을 적용하면 최대 40배 이상 높은 생존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