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학술·좌담회,심포지엄

한국GSK, 아보다트 2025년 하반기 MZ심포지엄 개최

한국GSK(대표이사 구나 리디거)는 자사의 남성형 탈모 치료제 아보다트(성분명 두타스테리드)와 관련해 의료진을 대상으로 ‘2025 MZ심포지엄’을 지난 상반기(4월)에 이어, 10월 22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2030세대의 높은 탈모 유병률 을 조명하고, 남성형 탈모가 젊은 세대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2,3과 조기 진단 및 치료의 중요성4,5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남성 탈모 환자는 136,463명이었으며, 그 중 20대가 전체 환자의 약 18%를 차지해 50대(약 17%)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30대까지 포함하면 약 43%로, 전체 남성 탈모 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는 심리적 문제를 일으키는 복합적인 질환으로 환자들은 외모 만족도 저하로 인해 자신감을 상실하고, 자신의 신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사회생활에서 불이익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특히 젊은 연령일수록 환자의 삶의 질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실제로 402명의 남성형 탈모 환자 대상으로 환자의 정서, 증상,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스킨덱스(Skindex)-29 지수를 조사한 결과, 20대 환자군 점수는 평균 29.1±20.2점, 30대 24.5±20.4점인 반면, 40대 이상은 15.4±15.3점으로 나타났다. 스킨덱스(Skindex)-29 지수는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 저하가 큰 것을 의미한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아주대학교병원 피부과 최지웅 교수가 ‘임상 근거 기반의 폭넓게 사용되는 탈모 치료제, 두타스테리드 0.5mg(아보다트)(Dutasteride 0.5mg (Avodart): Clinically Evidenced, Widely Used, For Hair Growth Support)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강연에서는 남성형 탈모 환자의 조기 진단 및 치료의 중요성4,5과 함께, 실제 두타스테리드 0.5mg 등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로 치료받은 남성형 탈모 환자에서의 장기 치료 효과와 안전성 내용이 논의됐다.

국내 남성형 탈모 환자 600명을 대상으로 한 실사용 근거 연구(Real-World Evidence, RWE)에 따르면, 약 3.4년의 관찰 기간 동안 두타스테리드 0.5mg 복용군에서 다른 남성형 탈모 치료제 복용군 대비 M자형 탈모와 관련해 유의하게 높은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adjusted IRR = 2.06, p=0.029)6. 또한, 성기능 저하 관련 이상반응률은 두타스테리드 복용 환자군에서 약 1.6%로 다른 환자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보고되는 등(p<0.001)의 안전성 데이터도 관찰되었다6. 참고로, M자형 탈모는 국내 남성형 탈모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유형으로, 남성 환자의 82.2%가 M자형 탈모 증상을 보인다는 국내 역학 연구결과도 있다 . 

최지웅 교수는“남성형 탈모는 주로 두피의 앞부분과 정수리 부위의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고 짧아지며 색이 옅어지는 형태로 진행된다”며, “약물 치료는 일반적으로 2~3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해야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환자들은 치료 시기와 방법에 대해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4”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 부채표 가송재단(이사장 윤도준, 동화약품 회장)과 대한약학회(회장 김형식, 성균관대 약대 교수)는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를 ‘제18회 윤광열 약학상’ 수상자로 권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10월 23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만찬행사에서 진행됐다. ‘윤광열 약학공로상’은 10년 이상 국민 건강 증진에 헌신하고, 국내 약학 발전에 큰 공로를 세운 대한약학회 회원에게 수여되며, ‘윤광열 약학상’은 국내 약계의 학술 발전에 기여하고 10년 이상 탁월한 연구업적을 이룬 회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심창구 교수는 2005~2008년 대한약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약학의 국제화와 학문적 성장에 크게 이바지했다. 또한 2005~2011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약사시험위원장으로 재직하며 약사 국가고시 제도 개선에 힘쓰는 등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 심 교수는 약물동태학, 생물약제학, 약물송달학 등 약제학의 세 핵심 분야를 국내에 정립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국내 최초로 관련 교과서를 집필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