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젠코리아(대표 신수희)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정진호, 이하 한림원)은 지난 21일 한림원 회관에서 ‘제5회 암젠한림생명공학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이룬 젊은 연구자 3인을 시상했다.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은 생명과학 분야의 유망한 인재를 발굴해 국내 과학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고, 과학자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암젠코리아와 한림원이 공동 제정한 상이다. 올해로 5회를 맞은 이번 시상식에서는 ‘차세대과학자’ 부문에 김상우 교수(연세대학교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박사후연구원’ 부문에 부성호 박사(한국과학기술원 AI-혁신신약연구단)와 오형철 박사(연세대학교 약리학교실)가 선정되어 총 6천만 원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됐다.
올해 수상자들의 연구는 분자·유전·세포 수준에서 생명 현상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차세대 과학자’ 부문 수상자 김상우 교수는 유전체 데이터 분석 원천 기술 개발 및 암·뇌신경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 확인에 이바지하며, 생명정보학 분야의 차세대 선도 연구자로 평가받았다. ‘박사후연구원’ 부문 수상자 부성호 박사는 생체내 DNA에서 만들어지는 안정한 형태인 원형 RNA가 표적 논센스 돌연변이 매개 mRNA 분해를 유도한다는 혁신적 기전(circNMD)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며 RNA 기반 질환 치료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또 다른 수상자인 오형철 박사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해 단일 염기 변이를 대량으로 유도하고 이를 정확히 탐지하는 ‘PEER-seq’ 크리스퍼 스크리닝 기법을 개발, 각종 암과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의 기능 규명을 통해 정밀의학 연구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정진호 한림원 원장은 “기초과학의 발전은 젊은 연구자들의 탐구와 집념에서 비롯된다. 올해 수상자들의 성과는 생명과학의 학문적 저변을 확장함과 동시에 기초연구의 가능성이 인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다.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과 성취를 이뤄 나갈 유망한 과학자들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