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0℃
  • 구름많음강릉 10.8℃
  • 연무서울 11.1℃
  • 박무대전 7.4℃
  • 흐림대구 6.9℃
  • 흐림울산 8.3℃
  • 구름조금광주 8.0℃
  • 흐림부산 11.6℃
  • 맑음고창 10.7℃
  • 구름많음제주 15.5℃
  • 맑음강화 9.4℃
  • 구름많음보은 3.1℃
  • 구름많음금산 5.1℃
  • 흐림강진군 7.7℃
  • 흐림경주시 6.6℃
  • 흐림거제 9.9℃
기상청 제공

분당차병원 김남근 교수, “제21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대장암 환자의 치료에 쓰이는 항암제 5-플루오로우라실의 효과, MTHFR, TS 유전자 돌연변이형에 의해 조절

CHA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최중언)은 임상의학연구소 김남근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선정한 “제21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창의적인 연구 활동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 향상과 선진화에 기여한 과학 기술인 에게만 수여되는 상이다.

이번 수상은 2010년 한국유전학회지에 발표한 ‘대장암 치료에 쓰이는 항암제 5-플루오로우라실(5-FU)의 효과가 MTHFR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과 TS (thym Idylatesynthase) 유전자의 돌연변이 형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밝힌 연구결과로 이루어진 것이다.

김남근 교수팀은 “이번 연구결과로 앞으로는 개개인의 유전자형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는 맞춤의학
의 시대가 올 것”이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구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근 교수는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95년 CHA 의과학대학교 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 유전학 연구실장을 시작으로 현재는 분당차병원 임상의학연구소 연구실장 및
CHA 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대장암, 위암, 간암 등의 종양 발생의 유전
학적 원인 유전자 규명과 치료효과(예후)에 미치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뇌졸중, 심
장병, 모야모야병, 습관성유산 등의 원인 유전자 규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1991년부터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통하여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자의 연구의욕과 사기를 앙양하고자 국내 과학기술과 관련된 320여 개 학회로부터 추천된 최우수 논문 중 우수논문을 선정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올해는 2010년도 한 해 동안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우수 논
문들을 연합회 학술진흥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하였다.

한편 시상식은 7월 5일(화) 광주 김대중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는 ‘2011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
서 거행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연례점검회의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국제백신연구소의 ‘25년 성과와 ’26년 주요 계획을 공유하고, 백신 연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전립선암 진단 새로운 시대 열리나... 실시간 영상 통해 전립선 종양 평가,불필요한 검사와 환자 불안감 감소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는 기존 초음파보다 3배 더 높은 해상도의 실시간 영상을 통해 전립선 종양 평가가 가능한 마이크로 초음파 장비를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고 밝혔다. 29MHz 마이크로 초음파를 사용하는 이 장비는 전립선과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를 선명히 표시하고 표적 조직검사를 유도한다. 의심 영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전립선 조직의 미세한 변화와 병변을 식별하고 조직검사 채취를 위한 바늘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립선 암 진단을 위한 초음파 검사 가이드인 PRI-MUS(Prostate Risk Identification Using Micro-Ultrasound) 위험도 식별 시스템과 연계돼있어 전립선암 병변의 악성 가능성 평가는 물론, 어느 부분에서 조직을 채취해야 하는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한다. PRI-MUS는 초음파 상 병변의 모양이나 크기를 자동으로 판단해 병변의 악성도를 1~5단계(높을수록 위험)로 분류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조직검사를 줄이면서도 암을 놓치지 않게 돕는다. 기존의 경직장 초음파는 해상도가 낮아 전립선 종양, 특히 작은 암 병변을 감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마이크로 초음파의 높은 해상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