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대표: 현동욱)는 HIV 감염인, 의료진, 내부 직원 등 총 5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에이즈 질환 인식 및 치료제 복용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서베이는 한국MSD가 지난 9월부터 2달 간 실시한 ‘HIV 바로알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국내 HIV 감염인의 삶의 질 개선과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해 진행됐다.
조사 결과, HIV 감염인들은 여전히 에이즈 질환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힘든 점으로 경제적 문제(38.5%)를 가장 많이 꼽았고 사회적 편견(23.5%), 대인관계(17%)가 그 뒤를 이었다. 실제로 응답자 10명 중 7명이 현재 직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뒷받침했으며, 가족들이 HIV 감염 여부를 모르는 경우도 절반 가량(46.4%)에 육박했다.
또한 HIV 감염인의 에이즈 치료제 복용 실태 조사도 함께 이뤄졌다. 조사 결과 10명 중 6명이 에이즈 치료제 복용 중 약물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또한 HIV 감염인 63.8%가 복용 약제를 변경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약제 변경이 가장 큰 원인(47.1%)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 기간이 길수록 약제 변경 경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제 부작용으로 인해 느끼는 일상생활의 불편함 정도는 5점 만점 중 3.9점으로 나타나 HIV 감염인들이 약제 부작용으로 인해 삶의 질에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흔하게 겪은 부작용 증상으로는 ‘설사 및 복통(63%)’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피로감(59.3%), 우울 및 수면 장애/피부발진 및 간지러움(49.1%), 구토/얼굴색 변화(44.4%)순으로 보고됐다. 또한 치료제 복용 후 몸의 이상 변화를 진단받은 항목으로는 간기능 장애(40.2%)와 대사질환(30.5%), 지방이양증(18.3%), 신장 이상(15.9%) 순으로 나타났다.
‘에이즈 질환이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닌 평생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라는 인식은 환자, 내부 직원, 의료진 이 세 그룹 모두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의료진의 경우 81.7%, 내부직원의 77.1%, HIV 감염인의 61.7%에서 에이즈 질환이 만성질환이라는 것에 동의했다. 또한 HIV 감염인의 일상 생활 수행 능력에 대해서도 의료진의 90.8%, 내부직원의 66%에서 건강한 사람과 비슷한 수준으로 모든 일상 생활이 가능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일반인 그룹에서는 아직 HIV 감염인과 에이즈 환자에 대한 정확한 개념 차이에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념의 차이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는 내부직원은 35%에 그쳤다. ‘HIV 감염인’은 감염은 됐지만 뚜렷한 증상이 없는 사람을 지칭하며, ‘에이즈 환자’는 HIV 감염 후 오랜 기간이 지나 면역체계가 파괴돼 각종 기회감염이나 암 등의 증상이 나타난 상태를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