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3일 화장품산업 육성협의회(R&D분과)를 개최하고, 이달부터 본격 지원되는 화장품 연구개발지원사업 신규과제를 발표했다.
글로벌 신소재ㆍ융합기술 개발 등 4개 분야에서 총 30개 과제가 선정되어, 52개의 대학ㆍ연구소ㆍ기업 등에 총 35억원의 연구비가 신규 지원될 계획이다.
지원 기간(단위과제)은 총 4년으로, 과제당 정부지원 규모는 연간 1~5억원 수준으로 참여기업은 정부지원액의 매칭금액(대기업 100%, 중소기업 35% 이상)을 연구비에 자체 투자해야 한다. 자유공모과제(15개 과제)는 1~2년간 과제당 연간 0.5~1.5억원 지원된다.
과제선정은 공모(‘10.12.22 ~ ’11.1.21)시 104개 과제․192개 기관(3.5대 1 경쟁률)이 참여하였고, 엄정한 서면ㆍ구두평가 등을 거쳐 이루어졌다.
연구개발지원은 사업관리체계 개선, 지원규모 확대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 학계ㆍ산업계 등의 관심이 높았다.
이는 지난해 12월 「글로벌 코스메틱 연구개발사업단(단장 박장서)」출범으로 산업계 R&D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는 전문지원체계가 구축되었고, 한-EU FTA를 대비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산소재 개발지원을 위해 연구개발 신규지원 규모(20 → 35억원)가 대폭 확대되었다.
또공모 방식도 기존 산‧학‧연 컨소시엄 중심 단위과제* 외에 잠재력ㆍ창의성이 높은 신진 연구자의 참여가 가능토록 자유공모가 추진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과제선정 결과의 특징은 선진국과의 기술격차(약 5.2년) 단축을 위해 기업이 투자 실패를 우려하는 글로벌 신소재, 융합기반기술 등 4개 분야에 집중 지원되었다.
공모방식의 이원화로 기존 단위과제 15개와 자유공모과제 15개를 각각 선정하여, 다양한 연구개발수요에 균형을 맞추었으며, 한-EU FTA 등으로 피해가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나, 자체 기술 여력이 열악한 중소기업(대기업 2개, 중소기업 13개) 지원이 강화되었다.
신규 선정된 30개 과제에 대해서는 향후 본래의 성과 창출을 위한 사업 관리를 차질 없이 수행하는 동시에, 연구개발 경험과 노하우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연구계획부터 성과 창출, 특허 등록, 제품화 연계 등 맞춤형 멘토링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작년 정부ㆍ업계의 공동 노력으로 화장품 수출액이 전년대비 80%가 늘어나, 처음으로 수출액이 7억달러를 넘어섰다고” 언급하며, “작년의 해외시장 개척의 성과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명품 브랜드 개발을 위한 R&D 지원을 매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