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회

닥터헬기, 내릴 곳이 없어서 구조 못한 경우 허다

문정림의원,이·착륙장 부족 등으로 임무 중단 또는 미투입된 경우 많아

세월호 사태 시 진도 팽목항에서 환자 이송 업무를 실시한 바 있는 ‘닥터헬기(응급의료 전용헬기)’가 환자 이송 시 필요한 이·착륙장이 부족하여 신고를 받고도 출동하지 못하거나, 임무 수행 중 중단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은 2014년 국정감사를 위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닥터헬기 사업 실시 후 총 663건의 임무 중단 및 기각 사유 중 이·착륙장이 협소하거나 없어서 임무를 수행하지 못한 경우가 총 59건에 달해, 응급의료헬기사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복지부의 닥터헬기 운용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닥터헬기 임무 중단은 출동 결정 혹은 출동 후 사정에 의해 임무 수행을 중단한 경우를 말하며, 임무 기각은 출동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임무 수행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닥터헬기 임무 중단은 사업 개시 후 총 106건이 있었으며, 이 중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중단은 총 2건이었다.

 

<닥터헬기 임무 중단현황 및 사유>

구 분

전남

인천

강원

경북

합 계

106

51

25

17

13

의학적요인1)

33

13

9

6

5

기상요인2)

31

21

2

4

4

시공간요인3)

5

3

1

1

0

물리적요인4)

2

 -

1

 -

1

요청자취소/환자거부5)

29

11

11

4

3

타이송수단이용6)

6

3

1

2

 -

<문정림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1) 출동 후 환자 사망(출동 중 또는 현장 사망)으로 임무 중단하는 경우
   2) 출동 중 악기상(저시정 및 강수(설) 등) 조우로 인하여 임무 중단하는 경우
   3) 출동결정 후 기체결함 또는 임무시간이 부족하여 임무 중단하는 경우
   4) 인계점 협소 또는 장애물 등에 의한 이착륙 불가로 임무 중단하는 경우
   5) 출동 결정 후 요청자 취소 또는 환자 탑승거부로 임무 중단하는 경우
   6) 출동 결정 후 타 이송수단(타 부처 헬기 또는 선박 등) 사용으로 출동요청을 취소하여 임무 중단하는 경

       우

 

닥터헬기 임무 기각은 사업 개시 후 총 557건이 있었으며, 이 중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기각은 총 57건이었다. 

 

<닥터헬기 임무 기각현황 및 사유>

구 분

전남

인천

강원

경북

합 계

557

284

131

52

90

의학적요인1)

88

54

10

4

20

기상요인2)

266

130

70

28

38

시공간요인3)

94

46

27

11

10

물리적요인4)

57

35

16

3

3

요청자취소/환자거부5)

14

3

4

3

4

우선적인다른출동발생6)

34

14

4

2

14

타이송수단이용7)

4

2

 -

1

1

<문정림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1) 환자의 상태가 닥터헬기 출동기준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2) 악기상(저시정, 강수(설), 강풍 등)으로 인하여 헬기가 출동 할 수 없는 경우
   3) 일몰임박 및 임무대기시간 외 요청, 기체결함 등으로 출동 할 수 없는 경우
   4) 인계점 미선정 지역 및 기 선정된 인계점 내 장애물 산재로 인계점을 이착륙 장소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
   5) 출동가능 문의 및 출동요청 접수 중 요청자(환자)가 요청을 취소하는 경우
   6) 출동 임무 수행 중 출동요청 접수 또는 동시 출동요청 접수 시 우선 출동으로 인하여 기각되는 경우
   7) 출동요청 접수 중 출동요청자가 타 이송수단(타 부처 헬기, 선박. 차량 등)을 이용하겠다고 요청 취소하

       는 경우(보호자의 이송병원 지정 및 헬기 동승 관련사항 등)


물리적 요인에 의한 닥터헬기 운행 중단 및 기각은 이·착륙장이 없거나, 협소하고, 이·착륙장 내 장애물 등으로 인해 임무를 중단하거나 출동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므로 물리적 요인에 의한 운행 중단 및 기각을 줄여, 닥터헬기 운용의 실효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착륙장의 증설이 필요하다.

2014년 6월 현재, 닥터헬기가 배치된 4개 지역의 이·착륙장은 인천 166개소, 전남 210개소, 강원 57개소, 경북 112개소 등 총 645개소이나, 이는 각 지역의 특성과 출동 여건을 고려할 때, 매우 부족한 수준이다. 강원의 경우, 남한 면적의 17%를 차지하고 구급차 운행에 제약이 많은 산악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이·착륙장의 수가 인천의 1/3에 불과한 실정이며, 전남의 경우 4개 지역 중 가장 많은 이·착륙장을 보유하고 있으나, 섬이 많고 관할 면적이 넓어 이·착륙장이 증설이 필요한 상태다. 

한편, 이·착륙장의 부족은 닥터헬기 임무 중단 및 기각은 물론, 응급환자의 사고 발생 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시간, 즉 골든타임 확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복지부는 2012년 7월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 사업 공모를 통해, 닥터헬기는 5분 이내 출동 가능한 응급 환자 전용헬기라고 밝혔으나, 5분 이내 출동을 준수한 경우가 전체 출동 건수의 약 19%에 불과했고,

 

<출동시간(출동결정-이륙)>

시간

합계

~2012년

(2011.9.23~2012.12.31)

2013년

~2014년

(2014.1.1~2014.5.31)

건수

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건수

비율(%)

합계

1247

100

394

100

483

100

370

100

5분이내

231

19

127

32

69

14

35

9

6~8분

440

35

123

31

154

32

163

44

9~11분

301

24

83

21

130

27

88

24

12~15분

168

13

39

10

78

16

51

14

16분 이상

107

9

22

6

52

11

33

9

<문정림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이 중 상당수는 이·착륙장의 부족에 따른 대체 이·착륙장 선정 및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이·착륙장 사용 문제에 기인하고 있다.    

문정림 의원은, “보건복지부는 닥터헬기의 운용 효율성을 최대화하여 보다 많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할 책무가 있다”며 “이를 위해 닥터헬기의 임무 중단 및 기각 사유 중 개선이 가능한 사안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향후 정책 운용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문정림 의원은 “복지부는 이·착륙장 확보에 있어 각 지역의 특성과 출동 여건을 반영하고, 이·착륙장은 닥터헬기는 물론 모든 공공목적의 헬기가 함께 이용 가능하므로 예산배정 등에 있어 소방방재청, 산림청 등 유관 부처와의 공조를 모색하며, 각 지자체가 약속대로 이행하지 못할 시 복지부의 이·착륙장 건설 국비 지원을 축소하는 등 이착륙장의 조속한 확보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각 지자체도 닥터헬기 사업 선정 시 약속한 병원 주변 이·착륙장 확보를 위한 지역주민 설득에 더욱 노력하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분당서울대병원 세쌍둥이 35주 자연분만 성공 분당서울대병원은 세쌍둥이(삼태아) 임신을 35주 3일까지 유지한 뒤 자연분만으로 삼형제를 출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분만은 대량수혈이나 자궁동맥색전술 등 조치없이 안전하게 이뤄졌으며, 세 아기 모두 2kg 이상의 건강한 상태로 태어나 출산 3일 만인 31일 산모와 함께 건강하게 퇴원했다. 삼태아 임신은 임신 주차가 지날수록 자궁이 빠르게 한계치에 도달하며 조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고위험 임신이다. 조기진통이나 자간전증(임신중독증)과 같은 심각한 임신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출산 시기가 빨라 미숙아가 태어날 확률이 높다. 산모 역시 출산 시 대량출혈·양수과다·자궁무력증 등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수 있어 매우 전문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삼태아 임신은 출산 시기가 너무 이르면 폐 기능, 체온 조절 능력 등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 아기가 인큐베이터 치료를 받아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지나치게 늦으면 자궁 과팽창과 태반 기능 저하 등으로 산모와 태아가 모두 위험해진다. 따라서 임산부와 태아의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해 최적의 출산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삼태아 분만의 핵심이다. 산모 하나정 씨(33세)가 분당서울대병원 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