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6℃
  • 구름많음강릉 11.4℃
  • 연무서울 11.1℃
  • 구름많음대전 9.1℃
  • 구름많음대구 8.4℃
  • 구름많음울산 11.0℃
  • 맑음광주 10.8℃
  • 구름많음부산 13.1℃
  • 맑음고창 13.1℃
  • 흐림제주 15.8℃
  • 구름조금강화 11.2℃
  • 맑음보은 5.3℃
  • 맑음금산 7.4℃
  • 구름많음강진군 8.0℃
  • 구름많음경주시 8.5℃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의보공단

심부전..남성은 40대,여성은 80대서 큰폭 증가

건보공단 분석결과,'심장기능상실(심부전)'80세 이상 환자 전체 평균보다 14배 많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I50)’ 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09년 9만4천명에서 2013년 11만5천명으로 증가하였다.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 : 명)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형황
성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전체94,421100,480109,588114,393115,063
남성32,98936,33441,01042,93544,330
여성61,43264,14668,57871,45870,733

2013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230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285명으로 남성 176명 보다 1.6배 가량 많았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이 3,171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70대가 1,431명, 60대가 485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50대부터 많아지기 시작해 70대가 되면서 급격히 증가했다.

[인구 10만명당 연령별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진료현황(2013년)]

(단위 : 명)

[인구 10만명당 연령별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진료현황(2013년)]
구분전체9세이하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80세이상
전체23033724611694851,4313,171
남성17633825703384621,1792,744
여성28533722521595061,6223,362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 교수 "심부전이란 전신에 혈류를 공급하는 심장의 펌프 작용에 관련된 수축기 기능 또는 심장이 피를 받아들이는 이완기 기능의 장애로 원활환 전신 혈류 공급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원인은 매우 다양해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장판막질환, 심근(myocardial)질환(확장성 심근염, 비후성 심근염, 제한성 심근염 등), 당뇨병,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등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만성 신부전증이나 말기 신장질환(ESRD)과 같은 다른 장기(기관)의 질환에서도 심부전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심부전은 보통 30∼40대에 최초 발생 후 10∼20여년이 경과하는 시점인 50대부터 많아지기 시작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중증 증상까지도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2009∼2013년 심장기능상실(심부전)로 인한 진료인원은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4.5%씩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남성(연평균 증가율 7.1%)이 여성(연평균 증가율 3.0%)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성은 40대에서 가장 크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7.1%)하였고, 그 뒤를 이어 30대에서 연평균 5.3%씩 늘었다.

여성은 80세 이상에서만 연평균 0.5% 증가하였고, 나머지 연령에서는 모두 감소하였다.

[2009∼2013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

(단위 : %)

[2009∼2013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
구분전체9세이하10대20대30대40대50대60대70대80세이상
전체4.5-2.6-9.0-4.92.13.02.3-1.4-0.90.5
남성7.11.2-8.7-1.55.37.12.22.31.00.5
여성3.0-6.9-9.3-8.2-1.4-1.5-1.1-4.1-1.60.5

전동운 교수는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심부전의 원인 질환은 30∼40대부터 특히, 남성에서 발병하기 쉽고, 업무적인 스트레스나 높은 흡연율 등도 영향을 끼쳐 30∼40대에서 해마다 진료인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9년 718억원에서 2013년 963억원으로 1.3배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13년 급여비는 721억원이었다.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건강보험 진료비/급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건강보험 진료비/급여비 현황]
구분총진료비공단부담금
2009201020112012201320092010201120122013
71,82383,43091,517100,21496,28452,70962,08568,12174,55372,056
입원41,19150,23854,28459,19363,02031,90539,58242,95647,01450,140
외래7,3417,8928,2719,2019,6624,2684,4634,5244,8605,096
약국23,29125,30128,96131,81923,60216,53618,04020,64122,67916,820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전동운 교수는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I50)’ 의 증상,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의 증상

호흡곤란, 폐부종, 전신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장 펌프 기능의 상실로 인해 저혈압 및 어지러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심장기능상실과 자주 병발하는 심방세동 같은 부정맥에 의한 혈전증이 문제가 될 수 있다.

‘ 심장기능상실(심부전)’ 의 예방 및 치료법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심장기능상실이 발생하므로 각각의 원인 질환에 따른 예방 및 치료가 선행되어야 하며, 심장기능상실을 방치할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돌연사이기 때문에 심장기능상실 발생 시에는 약물치료, 돌연사 예방 치료 및 필요시에는 수술적 치료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연례점검회의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국제백신연구소의 ‘25년 성과와 ’26년 주요 계획을 공유하고, 백신 연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한국아스트라제네카, ‘폐암 사망 없는 사회’ 실현 전국 활동 강화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19일 대구광역시 동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IAT) 1층 대강당에서 ‘폐암제로 기업강연’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강연은 흡연 외 폐암의 다양한 위험요인을 알리고, 저선량 흉부 CT를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폐암제로 기업강연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를 비롯해 글로벌 폐암 치료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협력기구 ‘폐암 전문가 협의체(Lung Ambition Alliance, LAA)’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4년 부터 현재까지 삼성전자, 한국가스기술공사를 비롯해 총 19개 기업 및 기관에서 약 1,400여명을 대상으로 기업강연을 시행했으며, 폐암 인식 제고와 조기검진 참여 독려를 통해 대국민 폐 건강 증진에 기여해 오고 있다. 이날 강연에는 영남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안준홍 교수가 연자로 참여했으며,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임직원을 비롯해 대구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임직원과 취약계층 및 시민 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강연에서는 ▲폐암 조기검진의 중요성 ▲비흡연 폐암의 위험성 및 위험 요인 ▲국가폐암검진 현황 및 한계 ▲저선량 흉부 CT등을 활용한 폐암 조기검진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