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사랑니, 편도선이 말하는 존재의 이유

우리 몸에는 사랑니, 편도선 등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일 것 같은 신체부위가 있다. 그러나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 것 같은 이들 신체부위도 어떤 경우에는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사랑니. 조리 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시기에 인류는 질긴 음식을 많이 먹어야 했다. 그러려면 질긴 음식을 오랫동안 씹어야 했으니 치아 개수가 많을수록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점차 음식이 부드러워지면서 사랑니의 씹는 기능이 약해졌다. 또 인간의 얼굴과 턱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사랑니가 다른 치아들처럼 똑바로 나지 않는 경우도 생겼다.

사실 똑바로 난 사랑니는 매우 유용하다. 요즘은 다른 어금니가 손상돼 뺄 경우 자가 치아 이식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입안의 다른 어금니 자리에 본인의 사랑니를 옮겨 심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또 사랑니를 특수 처리하면 뼈 이식재로 만들 수 있다. 치조골이 부족해 치료가 곤란할 때 사랑니를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랑니에 통증이 발생했을 때는 전문의를 찾아 치료하는 것이 좋다. 특히 사랑니가 비뚤게 나 있으면 뼛속에 물주머니를 만들어 턱뼈를 녹이거나 앞 치아를 망가뜨릴 수 있다.

우리 몸에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으로 알고 있는 신체부위로 편도선도 대표적인 예다. 편도선이나 림프선이란 면역세포의 하나인 림프세포가 모여서 만들어진 구조로 림프조직이라고 불리는 것 가운데 하나다. 림프조직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쉬운 곳에 있어서 균들이 온몸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목에 있는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온 세균이 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보초병인 셈이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편도선이 면역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편도선을 절제하면 면역기능이 떨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편도선이 면역기능을 하는 것은 영아기(만 3세까지) 때이며 이후 성장한 뒤에는 면역기능의 역할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편도선을 절제한 뒤 나타나는 면역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 수술로 인해 면역기능이 유의하게 떨어졌다는 결과는 아직 없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고열을 동반한 편도선염을 연 3~4회 이상 앓을 땐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통증만 없으면 괜찮다?… 통풍에 대한 오해와 진실 통풍은 요산 대사 이상으로 발생하는 만성질환이지만, ‘통증만 사라지면 치료도 끝난다’, ‘음식만 조절하면 괜찮다’는 오해가 많은 질환이기도 하다. 통풍 발작은 양말조차 신기 어려울 정도의 극심한 통증으로 유명하지만, 급성기 치료 후 통증이 빠르게 가라앉는 특성 탓에 완치되었다고 오인하기 쉽다. 또한 음식만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오해하기도 경우도 많은데, 요산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반드시 약물치료가 필요한 환자도 많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관절류마티스내과 김세희 교수와 함께 통풍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와 진실을 짚어본다. 요산 수치만 높아도 통풍이다? X 요산 수치가 높다고 모두 통풍은 아니다. 통풍은 단순한 수치 이상이 아닌, 요산 결정(monosodium urate)이 관절에 침착되면서 생기는 염증반응이 주증상인 질환이다. 진단을 위해서는 요산 수치가 높아야 하고, 관절 요산 결정이 침착되어 있고, 심한 통증 발작을 경험해야 한다. 다만 무증상 고요산혈증의 경우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지만, 요산 수치가 9mg/dL 이상인 경우에는 향후 통풍 발병 위험이 크기 때문에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 통풍은 통증만 사라지면 끝이다? X 급성 통풍 발작으로 인한 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