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올해의 헬스 기사상’ 선정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http://healthcom.or.kr 회장 김영욱,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는 오는 12월6일(토) 이화여자대학교 ECC관에서 개최되는 추계학술대회에서 ‘올해의 헬스 기사상’을 선정 시상한다고 밝혔다.

제 2회 '올해의 헬스 기사상'에는 방송부문 ▲자살률 특집(4) - ‘자살공화국’ 한국, 원인과 대책은? (JTBC 주정완 기자), 신문부문 ▲암과의 동행 시리즈 – 말기 암환자 편안하게 임종 맞을 병실 부족하다 (국민일보 조민규 기자) 등 각 부문 별 1편의 기사가 선정됐다.

‘올해의 헬스 기사상’은 국내 헬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과 국민들의 건강 의식 고취를 위해 최고의 건강 기사를 선정하는 제도이다. 특히 올해는 총 9개의 건강관련 키워드(▲건강 ▲감염병 ▲중독 ▲금연 ▲폭력 ▲음주 ▲암▲자살 ▲헬스)를 대상으로 헬스커뮤니케이션 전공 교수들이 올 한 해 보도된 신문과 방송 기사들을 엄선하여 선정했다.

기사선정 기준은 국내 최대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 방송부문 건강 관련 기사 약100만 건을 1차로 검색한 후, 이 중에서 기사의 헤드라인, 방송사(지상파 3사 및 보도 전문 종편방송: TV조선, 채널A, YTN, MBN, JTBC), 기간(2014년1월1일~2014년10월31일까지) 등을 고려하여 총 4,067편의 건강관련 방송기사들을 2차로 걸러냈다. 최종적으로 25편의 방송기사가 선정되었다.

또한, 신문부문은 건강 관련 기사 약10만여 건을 1차로 검색한 후, 기사의 헤드라인, 종합일간지 신문사, 기간 등을 고려하여 총 72편의 신문기사들을 2차로 걸러냈다. 이 부문 역시 최종적으로 25편의 신문기사가 선정됐다.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http://healthcom.or.kr) 기사선정위원회 위원들은 각 부문 별  총 50편의 기사를 대상으로 최종 심의를 진행해 방송부문 1편, 신문부문 1편의 기사를 선정했다. 심사기준은 ▲심층성 ▲충실성 ▲사회적 영향력 등을 고려하였으며, 상업적 이해관계가 있다고 판단된 기사는 제외했다.

학회는 방송부문으로 선정된 ▲JTBC의 '자살공화국' 기사는 시리즈 특집기사를 통해 OECD 자살률 1위인 우리나라의 현실과 높은 자살률에 대한 원인과 대책 차원의 사회적 영향력을 끼쳐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신문부문으로 선정된 ▲국민일보의 '말기 암환자' 기사는 늘어나는 암환자들의 수요에 비해 공급차원의 의료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감춰진 사회적 문제를 조명해 준 것에 대한 충실성을 높이 평가했다.

김영욱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http://healthcom.or.kr 회장(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은 “언론에 게재되는 건강관련 기사는 국민들에게 건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의식 고취 및 행동 유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정보 전달의 수단"이며, "따라서 학회에서는 매년 좋은 건강관련 기사를 선정•시상함으로써 언론의 노고를 격려하고, 동시에 언론의 영향력에 대한 책임성을 강조하는 계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영욱 회장은 "향후 의료전문지까지 분석작업을 확대할 예정이며, 보도준칙에 벗어나는 기사도 함께 선정해 좋은 헬스 기사를 위한 자극제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상식은 오는 12월6일(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ECC관에서 오전 10시~오후 6시까지 열리는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 추계학술대회에서 진행되며 수상자에게는 상패가 수여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