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4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메디데이터, 환자중심 모바일 헬스케어 기반 확장 모색

양사 협력으로 모바일 의료(mHealth) 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 광범위한 툴을 통해 환자로부터 수집된, 실행 가능한 임상시험 데이터 사용 가능

생명공학분야의 임상연구 관련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업체 메디데이터(NASDAQ: MDSO)가 지난 7월 21일,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분야의 선두 기업인 Validic과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본 협력을 통해 환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함으로써 임상시험의 연결성 및 혁신성 증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메디데이터는 Medidata Clinical Cloud®와 Validic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합해, 안전하고 준법적이며 실행가능한 환자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해 임상시험의 혁신을 이끄는 기술 인프라를 제공할 예정이다.

양사의 협력으로 임상연구를 지원하는 모바일 의료(mHealth) 기기의 지평을 넓혀 임상시험 스폰서들에게 특정 연구 및 환자 요구에 따라 센서, 웨어러블, 앱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가민(Garmin), 핏빗(Fitbit), 조본(Jawbone), 위딩스(Withings)를 포함한 Validic의 175개 이상의 기기 및 앱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메디데이터 플랫폼에 통합된다. 안전성과 준법성을 갖춘 Validic 플랫폼과 Medidata Clinical Cloud®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되면, 모바일 의료(mHealth)기기로 수집된 환자 데이터는 기존 임상 기록 및 결과에 통합된다.

메디데이터 대표 글렌 드 브리스(Glen de Vries)는 “메디데이터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 생태계에서는 개방성과 연동성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며, “Validic과의 파트너십으로 생명공학 관련 기업 및 기관들에게 특정 환자 집단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임상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의료(mHealth) 기기 사용으로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임상연구 부분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기술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는 Validic과 같이 기술을 통해 헬스케어 산업에 있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협력하고 혁신하는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공유하는 회사와 함께 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Validic의 혁신적이고 확장성이 뛰어난 FDA Class I Medical Device Data System(MDDS)은 최적화된 소비자 및 의료 등급 기기, 앱을 통해 표준화되고 건강정보 관련 법률(HIPPA)을 준수하는 환자 건강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메디데이터의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는 모바일 의료(mHealth) 기기로 환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실험실내 정보, 임상의가 직접 확인한 바이탈 사인, 부작용 사례 등 전통적인 방법으로 수집한 임상시험 데이터와 통합한다. 메디데이터 플랫폼은 모바일 의료(mHealth)를 통해 현재 세계 최고의 생명공학 기업들이 정교하게 임상 1상에서 4상까지의 임상시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Validic 공동창업자겸 CEO 라이언 벡랜드(Ryan Beckland)는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의 성장을 위해 기존 임상 연구방식을 바꾸고 전세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약 개발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는 등 이 분야에서 선구자 역할을 해온 메디데이터와 협력하게 되어 영광이다. 양사의 상호보완적인 기술 플랫폼으로 기업들은 임상시험 진행 시 모바일 의료(mHealth) 데이터에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환자들의 참여 및 임상시험 결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Validic
Validic은 가정용 기기 및 웨어러블, 환자 헬스케어 앱을 활용해 환자 관련 데이터의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킨,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을 지닌 선도적인 기업이다. 플랫폼 관련 제공자, 제약회사, 투자자, 건강관련기업, 헬스케어 관련 IT 벤더 등 증가세를 보이는 다양한 고객층에게 점차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시켜줌으로써, 헬스케어 기업들에게 집단 대상에 따른 치료법 최적화, 환자 참여전략 개선, 환자 그룹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Validic의 혁신적이고 확장성이 뛰어난 FDA Class I Medical Device Data System(MDDS) 기술은 최우수 모바일 의료기기와 앱을 사용하여 실행가능하고, 표준화된 건강정보 관련 법률(HIPPA)을 준수한 환자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Validic은 가트너에 의해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적인 기업으로 알려졌으며, 프로스트 앤 설리번 베스트 프랙티스 앤 베스트 밸류 어워드의 헬스케어 정보 호환성부문(Frost & Sullivan's Best Practices and Best Value in Healthcare Information Interoperability award)을 수상했다. Validic은 전세계 모바일 헬스케어 생태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써 현재 47개국 1억 6천만명에게 도달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Validic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Validic 트위터(@validic) 나 웹사이트(www.validic.com)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단백질 형태 분석 기술서비스 개시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가 분석용 초고속원심분리기(Analytical Ultracentrifuge, AUC)를 이용한 단백질 형태 분석 기술서비스를 지원한다. 신약개발에서 단백질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주요 표적(Target)이자 약물의 작용 매개체로 이러한 단백질의 형태 분석은 표적 단백질의 기능조절 메커니즘 규명, 약물 디자인, 약물-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분석용 초고속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재조합 단백질 ▲약물 접합체 ▲나노입자 ▲리포좀 ▲세포외 소포체 ▲바이러스 부하 등 신약개발 관련 타깃 입자에 대한 단백질 형태 분석서비스를 개시한다. 분석용 초고속원심분리기는 단백질 등 거대 분자를 초고속으로 원심 분리해 침강계수를 측정할 수 있어 단백질의 분자량, 중합 상태, 유체역학적 형태 및 생체 고분자간의 상호작용 등 분석에 활용할 예정이다. 서비스는 케이메디허브가 공공기관 최초로 지원하며 분석에 사용되는 샘플은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수용액 상태의 거대분자를 그대로 이용해 신뢰도 높은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고가의 분석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경희대한방병원 중풍뇌질환센터 권승원, 이한결 교수 '일본한방의학 실용서, 기타사토류 한방처방핸드북’ 번역 출간 경희대한방병원 중풍뇌질환센터 권승원, 이한결 교수가 일본 기타사토대학 동양의학종합연구소에서 발간한 '기타사토류 한방처방핸드북'을 번역 출간했다. 일본한방의학의 주축이 되는 기타사토대학 동양의학종합연구소에서 발간한 이 책은 일본의 한방의학을 집대성한 서적으로 평가받는다. 대표역자인 권승원 교수는 “일본한방의학의 역사를 하나로 압축하여 담은 임상 한방의학책으로 방대한 일본한방의학을 간결하지만 간단하지 않게 구체적이지만 장황하지 않게 구체적이고 빈틈없이 채워 넣은 일본한방의학 지식과 경험이 모두 담겨있는 보고(寶庫)와 같은 책”이라고 소개하며 번역을 위해 반복해서 읽어본 역자의 입장에서 이 책을 국내에 소개하는 것 자체에 큰 기쁨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공동역자로 참여한 이한결 교수는 “일본한방의 이론, 실제 임상에서의 처방, 침구 및 근거중심의학과 처방 및 약재 해설에 아우르기까지 실용적인 내용으로 가득하다.”며, “특히 설명을 간략화하고 도표를 적극 활용하여 내용을 빠르게 찾아볼 수 있어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