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신장투석환자 단백질 구조 규명

숙명여대 함시현 교수팀,네이쳐(Nature)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에 게재...아밀로이드증과 관절염, 골낭종 등 각종 질환 치료제 개발에 전환점 마련해

숙명여자대학교 화학과 함시현 교수팀이 신장 투석 치료와 관련된 아밀로이드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응집 구조와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만성 신장투석 환자의 아밀로이드증과 관절염, 골낭종 등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9월 8일 게재되었다. 사이언티픽 리포트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네이처의 자매지로 자연과학 분야 전체를 다루는 온라인 오픈 액세스 저널이다.


함 교수에 따르면 투석 관련 아밀로이드증은 만성 신장 투석환자들에게서 발견되는 심각한 질병이며 관절염, 골절유발 골낭종, 손목터널 증후군 등의 임상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베타 투 마이크로글로불린(b-2-microglobulin)이라고 하는 단백질의 응집으로 일어나는데, 이 단백질의 응집유발 구조 또는 응집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에 함 교수 연구팀은 원인 단백질의 구조 뿐 아니라 신장 투석환자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돌연변이 단백질들의 질환유발 단백질 구조를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역동열역학 연구방법을 통해 원자 수준에서 규명했다.


특히 함 교수 연구팀에서 독창적으로 개발한 연구법인 역동열역학 방법은 지난 6월 화학분야 최고학술지인 Account of Chemical Research(IF=24.3)에 표지논문으로 소개됐으며, 단백질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데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돼 다국적 제약회사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는 원천기술이다.


함 교수는 “신장 투석으로 유발되는 아밀로이드증의 원인 단백질 구조와 응집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이 단백질을 타겟으로 한 신약 개발 연구가 가능해졌다”며 “관련 후속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함시현 교수는 1991년 숙명여대를 졸업한 뒤 2003년부터 숙명여대 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계 최초로 치매 단백질의 응집 과정을 규명한 성과 등으로 지난해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대표과제 연구 책임자로 선정됐으며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현재 숙명여대 나노바이오 분자네트워크 센터장을 역임 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네이버쇼핑 라이브, 카카오쇼핑 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 라이브커머스 통한.. 식품·화장품 부당광고 29건 적발 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네이버쇼핑 라이브, 카카오쇼핑 라이브, 쿠팡 라이브 등 라이브커머스(온라인 실시간 상거래) 방송에서 광고하는 식품·화장품·의료기기를 집중점검한 결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화장품법」, 「의료기기법」을 위반한 부당광고 총 29건을 적발하여 신속하게 접속 차단과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소비자와 실시간 소통하며 제품을 광고·판매하는 라이브커머스 방송이 새로운 전자상거래 방식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부당광고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실시했다. ◆ 라이브커머스 방송(일명 ‘라방’) : 실시간 방송을 뜻하는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과 전자상거래의 ‘e-커머스(e-commerce)’가 합쳐진 단어로 유명인, 전문 진행자 등이 소비자와 쌍방향으로 소통해 구매를 유도하는 방송 점검결과 식품 광고 18건, 화장품 광고 10건, 의료기기 광고 1건을 적발하였으며 해당 플랫폼 사 등에는 접속 차단을, 관할 행정기관에는 위반업체 행정처분 등을 의뢰했다. 이번에 적발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부당광고는 총 18건으로, 위반 내용은 ▲‘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