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사랑니, 관리 못하면 치통 먼저 찾아와

무조건 발치는 좋지 않아, 정상적인 사랑니의 경우 관리 잘하면 저작 기능을 할 수 있어
개인에 따라 치아 발달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정기검진 통해 꾸준히 관리해야 치아 건강 지켜

‘사랑니’ 통증은 사랑 후 이별의 상처만큼 아프다는 말이 있다. 치통 때문에 고생해 본 사람이라면 공감되는 말일 것이다. 20세 전후 성인이 되어 사랑을 알게 될 즈음 그 모습을 드러낸다는 의미에서 이름 붙여진 사랑니는 자연스럽게 자리잡는 경우도 있지만, 충치가 잘 생겨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사랑니란 치아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큰 어금니 중 하나다. 가장 뒤늦게 자라는 치아로 양쪽으로 위, 아래 하나씩 총 4개가 있지만 나타나는 정도는 개인차가 있다. 일반적으로 드러난 사랑니와 숨어 있는 사랑니로 나뉘는데 보통 성인의 경우 28개 치아 개수에 비해 턱이 작기 때문에 사랑니가 온전히 나오지 못하고 누워서 나거나 삐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잇몸 안에 묻혀 보이지 않는 사랑니의 경우 주변 치아 옆 뿌리를 손상시키거나, 잇몸을 붓거나 아프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사랑니라고 해서 무조건 발치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치아처럼 반듯하게 자라 청결상태를 잘 유지한다면 어금니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삐뚤게 났거나, 잇몸 속에 숨어 있는 경우는 칫솔질이 제대로 되지 않아 관리가 힘들어 충치나, 잇몸 염증, 구취 등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방치하면 사랑니 바로 앞 치아까지 충치가 생기거나 염증으로 인해 잇몸과 얼굴이 붓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수 있어 발치가 필요한 상황.


일산 사과나무치과병원 구강외과 김영연 원장은 “정상적인 사랑니의 경우 관리를 잘 한다면 저작 기능을 할 수 있어 무조건적인 발치는 좋지 않다”며 “그러나 잇몸으로 덮여 있거나 옆으로 누워난 경우는 주위 치아와 잇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빨리 발치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사랑니가 난 상태에 따라 발치 방법이 다른데 사랑니가 잇몸으로 덮여 있는 경우 발치할 때 절개가 필요하고 옆으로 누워난 경우 치아를 잘라서 몇 조각으로 나누어 발치해야 한다. 사랑니 발치 후에는 환부를 혀로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틀 정도는 심한 운동이나 사우나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구강에 압력을 줄 수 있는 빨대 사용이나 침 뱉기는 자제하고 발치 후 2~3일까지는 냉찜질을 해주는 것도 부기와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김원장은 “아프지 않으면 치과를 찾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옆으로 누워난 사랑니의 경우 통증없이 앞 어금니까지 충치가 생기게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리 검진을 받고 아프지 않아도 예방적으로 발치하는 것이 좋다”며 “특히 임산부의 경우 아무래도 임신중에는 사랑니를 발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리 검진을 통해 사랑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마약류에 다시 중독되지 않도록 사회재활 지원 범위 확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세부사항을 규정하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개정(안)을 5월 21일 입법예고하고 6월 30일까지 의견을 듣는다. 개정 법률에 따라 마약류 중독자에 대한 사회재활 지원 범위가 ‘사회복귀’에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유지·보호’까지 확대(’25.10.2. 시행)되고, 의료용 마약류 처방 시 투약내역 확인 예외 사유로서 ‘긴급한 사유’, ‘암환자의 통증 완화’ 이외에 ‘이에 준하는 사유’가 추가(’25.9.19. 시행)된다. 이에 따른 시행령 개정안에서는 ❶마약류 중독자의 사회재활을 위해 확대되는 세부 지원 범위, ❷의료용 마약류 처방시 투약내역 확인 예외 추가 사유, ❸마약류중독관리자시스템 구축·운영에 필요한 세부사항 등을 규정했다. ❶ 전문인력 양성·재활센터 운영 등 기존 사회재활사업에서 정상적인 일상생활의 유지까지 지원 범위를 넓히는 한편, 중독자에 대한 직업훈련ㆍ취업지원 연계, 민간 상담기관 지원, 관계 기관 및 단체 간 사업 연계 등까지 사회재활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❷ 의료용 마약류 처방 시 투약내역을 의무적으로 확인해야 하지만, 법에서 정한 사유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연세의료원, 후원캠페인 ‘The Great Future 위대한 미래를 여는 밤’ 개최 연세의료원은 20일 저녁 6시 서울 중구 반얀트리 호텔에서 진료·교육·연구 발전을 위한 모금캠페인 중간보고회 및 미래발전위원 추가 위촉식 ‘The Great Future 위대한 미래를 여는 밤’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그간 연세의료원이 펼쳐온 모금캠페인 성과를 공유하고 기부 활성화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허동수 연세대 이사장, 이경률 연세대 총동문회장, 금기창 의료원장, 전영한 하님 회장을 비롯해 미래발전위원 등 110여명이 참석했다. 허동수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연세의료원은 모든 생명이 존엄하게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더욱 담대하고 체계적인 여정을 이어 가고자 한다”며 행사의 시작을 알렸다. 이어진 미래발전위원 위촉식에서 김상열 서울신문 회장(호반그룹 창업주)과 이재범 연세대 의대 총동문회장이 공동 미래발전위원장에 위촉됐다. 김상열 회장은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다 대한민국을 도약시킬 수 있는 분야로 바이오헬스의 가능성을 봤다”며 “그 여정의 자선적 파트너로 선하고 뿌리 깊은 사명감과 그 사명을 실현할 수 있는 연세의료원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금기창 의료원장은 행사에서 독지가 세브란스 씨의 기부로 시작해 미국 록펠러 재단이 설립한 차이나메디컬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