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심평원

상과염, 3명 중 2명은 40~50대

심평원 분석결과,2015년 진료인원 약 72만명, 年 5.1%씩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상과염’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5년 진료인원은 약 71만7,000명, 진료비용은 약 659억1,000만원으로 매년 5.1%, 9.8%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전체 진료인원 3명 중 2명은 40∼50대 중년층으로, 남성보다는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2011∼2015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상과염‘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1년 약 58만8,000명에서 2015년 약 71만7,000명으로 약 12만9,000명(22.0%)이 증가하여 연평균 5.1%의 증가율을 보였으며,총진료비는 2011년 약 452억8,000만원에서 2015년 약 659억1,000만원으로 약 206억2,000만원(45.5%)이 증가하여 연평균 9.8%의 증가율을 보였다.


‘상과염’ 전체 진료인원 3명 중 2명(67.5%)은 40∼50대 중년층이었으며, 남성보다 여성 진료인원이 많았다.

2015년 기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구간은 50대로 전체 진료인원의 36.3%를 차지하였으며, 40대 31.2% > 60대 15.4% > 30대 8.8% 순으로 많았다.

 <상과염> 연령구간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1∼2015년) (단위: 명, %)

구 분진 료 인 원 (명)연 령 별 점 유 율 (%)
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0∼ 9세2762702622592470.05%0.04%0.04%0.04%0.03%
1371451311461310.05%0.05%0.04%0.05%0.04%
1391251311131160.04%0.04%0.04%0.03%0.03%
10∼ 19세6,7946,6506,5556,6706,6061.1%1.0%1.0%1.0%0.9%
4,0983,9894,0273,9993,9791.6%1.4%1.3%1.3%1.2%
2,6962,6612,5282,6712,6270.8%0.8%0.7%0.7%0.7%
20∼ 29세13,90114,27514,37915,30215,8522.3%2.2%2.2%2.2%2.2%
7,0627,3487,5538,0868,5592.7%2.6%2.5%2.6%2.5%
6,8396,9276,8267,2167,2932.0%2.0%1.9%1.9%1.9%
30∼ 39세62,58761,72761,97562,54963,95410.5%9.7%9.3%9.0%8.8%
32,88833,65234,92036,49438,20212.7%12.0%11.6%11.6%11.3%
29,69928,07527,05526,05525,7528.8%7.9%7.4%6.9%6.6%
40∼ 49세201,300207,319211,123217,785226,64933.8%32.7%31.6%31.5%31.2%
80,00985,78889,94695,156101,73831.0%30.6%30.0%30.1%30.0%
121,291121,531121,177122,629124,91136.0%34.3%33.0%32.6%32.2%
50∼ 59세204,573227,647243,617251,730264,32634.4%35.9%36.5%36.4%36.3%
83,49193,041100,990105,892113,38432.3%33.2%33.6%33.5%33.4%
121,082134,606142,627145,838150,94235.9%38.0%38.9%38.8%38.9%
60∼ 69세79,61387,21995,561101,806111,87713.4%13.7%14.3%14.7%15.4%
38,88343,10147,40650,02855,80715.1%15.4%15.8%15.8%16.4%
40,73044,11848,15551,77856,07012.1%12.4%13.1%13.8%14.4%
70세 이상26,46029,69033,59435,64837,9624.4%4.7%5.0%5.2%5.2%
11,59013,22815,20415,97317,4664.5%4.7%5.1%5.1%5.1%
14,87016,46218,39019,67520,4964.4%4.6%5.0%5.2%5.3%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 내에서 점유율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0대까지는 남성 진료인원이 더 많지만, 40대부터는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연령층은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해 남성 진료인원이 많으며, 40대부터는 반복되는 가사노동 등으로 인해 여성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상과염> 진료인원 연령별 성별 비중 (2015년)

상과염’은 발생부위에 따라 내측(안쪽), 외측(바깥쪽)으로 구분되는데 외측 상과염 진료인원이 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과염’은

손목을 펴거나 굽히는 동작을 할 때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반복하여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힘줄에 미세한 찢김(파열)이 발생하게 되며, 치료상태가 불완전한 상태에서는 만성 통증이 발생한다.

손목을 펴는 동작에서는 외측(바깥쪽) 상과염, 손목을 굽히거나 뒤집는 동작에서는 내측(안쪽) 상과염이 주로 발생하며, 흔히 외측 상과염은 ‘테니스엘보’, 내측 상과염은 ‘골프엘보’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팔꿈치의 미세한 통증이 서서히 진행되어 아래팔까지 뻗쳐나가며, 심한 경우 가벼운 동작에서도 통증이 발생해 일상생활이 어렵다.


‘상과염’의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 수술적 치료로 진행된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 손목의 충분한 휴식,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지속적인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석현 상근심사위원은 “흔히 테니스, 골프엘보로 알려져 있어 테니스, 골프 선수 등 운동선수에게만 발생하는 질환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서도 손목의 과부하, 무리한 반복 사용 등으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특히 주부, 사무직, 요리사, 목수 등은 주의가 필요하며, 증상이 발생하면 무리하지 않고 즉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숙취해소 음료 10개 중 9개 제품..."실제 효능 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숙취해소 관련 표현을 사용해 표시·광고하는 식품에 대한 인체적용시험 실증자료를 검토한 결과, 실증자료를 갖추고 표시·광고하는 총 46개사 89품목 중 약 90%에 해당하는 39개사 80품목이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올해 1월 1일부터 숙취해소 관련 표현을 사용해 표시·광고하는 식품은 인체적용시험 실증자료를 갖추고, 자율심의기구(한국식품산업협회)의 심의 결과에 따라 표시·광고하도록 하는 제도를 시행한 바 있다. 이번 검토는 2020년에 관련 규정이 마련된 이후 4년의 유예기간을 두고 올해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업체가 구비한 실증자료의 객관성·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 식약처 실증 결과 "효능 확인" 된 제품 목록(39개사 80품목) 식약처는 지난 3월 숙취해소 표시·광고 식품을 생산·판매하거나 예정하고 있는 제조업체에 인체적용시험 등 실증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식약처는 자료를 제출한 46개사 89품목에 대해 ▲인체적용시험 설계의 객관적 절차·방법 준수 여부 ▲숙취 정도에 대한 설문 ▲혈중 알코올 분해 농도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농도의 유의적 개선 여부* 등을 살펴보았으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