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4.9℃
  • 흐림강릉 9.1℃
  • 흐림서울 6.1℃
  • 흐림대전 7.0℃
  • 구름조금대구 7.4℃
  • 맑음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고창 7.8℃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금산 6.9℃
  • 구름많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척추관 협착증 새 측정방법 개발

국제성모병원 김영욱 교수,황색인대 총 단면적 측정

척추관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져, 척수의 신경뿌리를 눌러 통증 및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이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퇴행성 변화로 황색인대가 두꺼워져 신경을 압박하면서 협착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의사들은 영상학적 검사를 통한 황색인대의 두께로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해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의료진에 의해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는 새로운 형태학적 측정방법이 개발됐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김영욱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서정훈 교수가 척추관 협착증에서 황색인대 면적의 역할이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기존에 황색인대의 두께를 사용하여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는 연구는 이미 발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황색인대의 총 단면적을 측정하여 이를 진단하는 연구 논문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연구는 척추관 협착증 환자 166명과 정상인 167명의 요추 자기공명영상(MRI)을 비교하여, 기존의 황색인대 두께 측정법과 김교수팀이 개발한 황색인대 총 단면적 측정법중 어느 방법이 민감도가 높은지 비교 분석했다. 민감도는 검사가 유병자를 골라내는 지표로 진단의 정확성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기존의 측정법은 척추관 협착증 진단 시 70.5%의 민감도를 보였다. 반면 새로 개발된 황색인대 총 단면적 측정법은 민감도가 80.1%9.6%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김영욱 교수(마취통증의학과)이번 연구는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특히 고령 인구에게 유병률이 높은 척추관 협착증의 새로운 측정방법을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척추관 협착증의 진단에 새로운 장을 열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세계적 권위의 미국 학술지 중 하나인 페인 피지션(Pain Physician)에 게재가 확정됐다. 이로써 김영욱 교수는 지난 8월에 이어 심사가 엄격한 것으로 알려진 이 학술지에 올해에만 두 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쾌거를 이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가능..."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성 열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 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26.7)’에 게재됐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세대에 걸친 항암제가 개발됐으며, 많은 환자에게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지속되면 ABL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어떤 약에 내성을 보이고 반응하는지 알기 어려워 진료 현장에서 각 환자에 맞는 항암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라는 최신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ABL1 유전자에 생길 수 있는 단일 아미노산 변이 98%(195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