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소요 재정 분석해 보니...."비급여 확대가 가장 큰 규모 차지?"

강석진의원,"3800여개 비급여의 급여 전환으로 비용 부담 훨씬 더 클 것" 으로 분석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소요 재정 가운데 3800여개  비급여의 급여 전환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당초 보건복지부가 추계한 것 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게 됐다. 


소요재정 중 비급여 확대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 할 것으로 보인다는 이같은 주장은 보건복지부의 추계와는 다른 해석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석진 의원(자유한국당, 경남 산청 함양 거창 합천군)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정부에서 발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방안 중, 복지부가 항목별 추계한 내용을 보면, 30.6조원이나, 의료정책연구소에 추계한 34조 6천억 + 추가 비용(비급여의 급여화, 신포괄 확대 등)에 따른 추가비용을 합치면, 훨씬 넘을 것이라는 추정치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복지부의 소요재원의 항목별 세부내역 추계자료를 살펴보면, 예비급여와 약제선별급여에 11조 498억원, 3대 비급여에 7조 8천 484억원, 신포괄확대에 1조 2천 718억원, 본인부담상한제 개선에 2조5천 177억원, 재난적 의료비 지원에 5천 615억원, 취약계층의료비부담완화에 7조 3천 673억원으로 나타났다.


취약계층 의료비부담완화 대책의 재정추계 세부내역은, 틀니에 1조3천810억원, 임플란트에 1조1569억원, 치매(산정특례)에 1조7천34억원, 어린이입원에 5천479억원, 치아홈메우기에 1,699억원, 장애인보장구에 235억원, 기타에 2조3천847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계했다.


-복지부 소요재원(30.6조원)의 항목별 세부내역 추계자료
                                                                                                                                    (단위 : 억원)

연도

합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총계

306,164

4,834

37,184

50,590

60,922

71,194

81,441

예비급여,

약제선별급여

110,498

2,098

11,952

16,733

21,774

26,818

31,123

3대비급여

78,484

1,401

9,390

13,742

15,856

17,980

20,115

신포괄

12,718

-

937

1,800

2,475

3,217

4,289

취약

계층

의료비

부담

완화

틀니

13,810

358

2,297

2,472

2,678

2,881

3,124

임플란트

11,569

-

1,071

2,314

2,524

2,725

2,935

치매

(산정

특례)

17,034

586

2,345

2,744

3,210

3,756

4,394

어린이입원

5,479

224

936

990

1,048

1,108

1,173

치아홈메우기

1,699

-

336

338

340

342

343

장애인보장구

235

-

2

8

27

75

123

기타

23,847

167

3,010

3,992

4,913

5,516

6,249

본인부담상한제

25,177

-

3,860

4,374

4,957

5,617

6,369

재난적의료비

지원

5,615

-

1,048

1,083

1,120

1,160

1,204


강석진 의원은 “복지부가 항목별로 추계를 했으나, 3800여개  비급여의 급여 전환으로 비용 부담은 훨씬 더 클 것이며, 소요재정 중 비급여 확대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 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가 예측한 비급여 급여전환 비용 11조원 초음파와 MRI  추계비용만도 9조6600억원에 달할 것이기 때문에, 추계규모보다 비용이 훨씬 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난 정부의 점진적인 비급여 확대처럼, 재정능력을 고려한 단계적 확대방안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성분명처방·한의사X레이 반대 ...국회앞 1인시위 열기 고조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가 성분명처방 강제화 및 한의사 불법 엑스레이 사용 등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개악에 맞서기 위해 국회 앞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20일 아침에는 박명하 상근부회장이 시위에 나섰다. 박명하 상근부회장은 “성분명처방은 수급불안정의약품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야 할 정부가 의사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라며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는 성분명처방 강제화를 섣불리 법제화 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반대의사를 강력히 밝혔다. 이어서 한의사 엑스레이(X-ray) 사용에 대해 “서영석 의원이 입법취지에서 수원지방법원 판결을 근거로 들고 있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내용이다. 해당 사건의 기기는 내장돼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성장추정치가 자동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성장판 부위를 기초로 영상진단행위를 하지 않았고 성장추정치를 진료에 참고하였을 뿐이라는 취지로 무죄 판결이 난 것이며, 이는 피고인의 억지 주장을 받아들여 형사 처분 대상이 아니라고 본 것일 뿐, 한의사의 엑스레이 사용을 합법화하거나 정당화한 판결이 결코 아니다”라고 설명하고 “의료법상 엄연히 한의사 면허범위를 벗어나는 행위를 합법화해 국민의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