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김희수총장 자서전/62/기숙사 생활―혼돈의 시절

담력훈련, 잊지 못할 추억거리로 남아

시대가 아무리 험난하고 절망적이라 하지만 푸릇푸릇한 젊음을 지닌 청년들에게는 숨길래야 숨길 수 없는 낭만과 포부가 있기 마련이다. 당시의 기숙사 생활을 돌이켜보면 규율이 엄격하여 힘들기도 했지만, 나름대로의 즐거움도 있었다.


하급생들은 아침 5시에 기상나팔이 울리면 자리에서 급히 일어나 학교 운동장에 나가 점호와 아침체조를 한 다음 상급생의 시중들기에 바빴다. 침구 정리, 방안 청소를 시작으로 실장의 세숫물 준비, 책가방 챙기기 등 쉴새없이 바쁘게 움직이다 보면 아침식사 시간이 되었다.

 

공주중학교 기숙사 전경.

 

식사 나팔소리와 동시에 재빨리 식당으로 뛰어가는데 그 이유는 배가 고파서이기도 하지만 늦은 학생은 끝번서부터 몇 명을 잘라 오후 수업이 끝난 뒤 기숙사에 돌아와서 변소 청소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시 기숙사의 식당은 급식량이 부족하여 한창 성장기에 있던 학생들은 늘 배가 고파했다. 이 시기에 태어나 자란 사람들의 대부분이 작은 체격을 가진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밤 10시가 되면 복도에 나와 앉아 야간 점호를 받았는데 점호가 끝난 후 잠시 동안 즐거운 오락시간이 허용되었다. 선배들이 노래를 시키면 이 시간에는 유행가도 자유롭게 부를 수 있도록 돼 있어 노래 잘하는 학생들은 유행가를 멋지게 불러서 기숙사생들의 흥을 돋우기도 했다.

 

그것이 끝나면 각자의 방에 들어가 하루 일과를 되새겨보거나 집 생각을 하다가 잠이 들었다. 하지만 기숙사 생활에서 때로 엉뚱한 재미를 즐기는 때가 있었다. 대개 비 오거나 비바람 부는 궂은 날 밤중에 참외와 토마토 서리를 나서는데 상급생 명령에 따라 울타리를 넘어 몰래 빠져나가 닥치는 대로 따다가 한자리에 모여 배를 채우던 일은 커다란 즐거움의 하나였다.


1학년 때 일이다. 담력을 길러주는 훈련의 하나로 선배들이 주관하는 행사인데 저녁식사를 마친 후에 1학년만 식당에 모아 놓고 귀신이야기 등 그림까지 그려가며 무서운 이야기를 해주면서 겁을 잔뜩 준다. 그리하곤 캄캄한 밤중이면 느닷없이 시담(試膽) 훈련을 한다고 신입생들을 밖으로 내몰았다.

 

 약 2km 거리에 위치한 공동묘지 어느 곳엘 가면 봉분 위에 흰 보자기로 싸 놓은 물건이 있는데 그것을 가져오라든가 묘 위에 설치된 종이에다 도장을 찍고 오라는 식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무령왕능이 있는 부근의 공동묘지로 짐작된다.

 

오밤중에 덜덜 떨며 묘지를 살피다가 저쪽 능 뒤에서 귀신 우는 소리가 들리면 간이 콩알만해져 머리끝이 쭈빗거릴 만큼 무서웠다. 바로 이때 “이놈아, 넌 누구냐?” 하고 3~4명이 우르르 튀어나오는 통에 화들짝 놀래어 달아났는데 알고 보니 선배들의 장난이었다. 이와같은 일들은 기숙사 생활에서 잊지 못할 추억거리로 남아 있다.


당시 공주중학의 기숙사 실장은 김종필(金鍾泌, 전 자민련 총재) 씨였다. 기숙사를 요(療)라 불렀는데 그때 JP(김종필 씨의 약칭)가 요장이었다는 걸 나중에 알았다. 김종필 씨는 공주중학 19회 졸업생으로 나의 1년 선배였다. 어느 날인가 요장실을 청소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의 책꽂이에는 여러 종류의 책들이 꽂혀 있었다.

 

우리말은 입도 벙긋 못할 때이니 그가 소장하고 있는 책들은 모두 일어판이었는데 나쓰메(夏目嗽石)의 소설집, 아쿠다가와(芥川龍之助)의 『거미줄』, 시기(子規) 전집, 괴테의 『파우스트』, 기쿠지(菊池寬)의 연애소설, 『영웅 나폴레옹』, 『소크라테스』, 심지어 히틀러의 『나의 투쟁』까지 눈에 띄었다. 주변에선 그가 사상전집까지 읽는다고 소문이 자자했는데 그때도 남들의 이목을 끌었던 분이다.


그 무렵엔 소위 불순한 학생들이 퇴학을 당하거나 유치장에 구금되는 사건이 간간이 일어났다. 일부 학생이 ‘독서회’를 조직, 불량 서적을 접했다는 것인데 짐작컨대 『막스』나 『엥겔스』 『자본론』 같은 걸 읽다가 들통난 것이 아닌가 싶다. 또 어떤 경우는 하숙집에 모여 일인 선생을 배척하자는 모의를 하면서 “일본은 전쟁에서 진다”고 떠드는 걸 순사가 추녀 밑에서 엿듣고 일망타진했다는 소문도 나돌았다.


일제 때 이런 사건의 배후에는 예외없이 독립 투사나 좌익 계열이 도사리고 있었던 것 같다. 그때 소요에 가담했던 학생들은 해방 후 대부분 정치판에 가담했다가 6·25 때 희생당한 이가 많았다. 암울했던 일제 말에도 학생들의 기개는 대단해서 장차 자신은 사상가·외교관·군인·학자가 되겠다고 목청을 높이기 일쑤였는데 그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공주중학 출신 중에는 정치인·군 장성·실업인·학자들이 많이 나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5년 주기로 실시 하는 '의약품 품목갱신 제도'...안전성.유효성 강화 디딤돌 되나 의약품 품목갱신 정보가 유통 중 의약품 현황 파악 및 개발·출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식약처가 최신 의약품 안전 정보를 반영하여 주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의약품을 관리할 경우 의약품 안전확보 강화에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식약처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품목갱신 대상 의약품은 총 9,495개 품목이었으며, 이 중 6,878개(73%) 품목이 갱신됐다. 의약품 갱신제도로 인해 품목허가가 실제 유통되는 의약품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24년도 갱신율은 제도시행 초기 대비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일반의약품의 갱신율은 70%로 ’18~’23.6월동안의 갱신율 42%와 비교했을 때 대폭 증가했다. 식약처는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2024년 갱신된 품목 중 ‘바클로펜’ 정제 18개 품목 등 총 54개 품목에 대해 허가사항 변경 조치를 실시했다. 조치내용은 ▲‘바클로펜’ 정제의 소아 투여량을 체중당 용량으로 변경하고, 연령별 최대 투여량 설정 ▲‘트리플루살’ 캡슐제 효능·효과 중 혈전증에 의한 합병증을 포함한 동맥혈전색전질환의 ‘예방’을 ‘재발방지(2차예방)’으로 변경 ▲‘디오스민’ 캡슐제에 대하여 수유부 금기를 추가하는 등 사용상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대우제약,안구건조증 치료제 시장 지배력 강화 되나... 레바미피드 1.5% 일회용 점안액 3상 성공 대우제약㈜(대표이사 지용훈)은 24일 안구건조증 치료제인 레바미피드 1.5% 일회용 점안액의 3상 임상시험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성공적으로 임상을 종료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 개량신약 허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레바미피드(rebamipide)는 뮤신 생성과 분비를 촉진시켜 안구건조증 치료에 탁월한 성분. 일본에서는 2012년부터 레바미피드 2.0% 점안액이 출시됐으나,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 성질 때문에 현탁액 제제로 만들어져 이물감과 자극감, 특유의 쓴맛을 갖고 있다.국내에서는 2개 제약사 공동 개발로 2023년 3월 동일 농도인 2% 수용액 개량 신약으로 출시한 뒤 다회용과 일회용으로 판매 중이다. 의약품 처방 통계기관인 유비스트에 따르면 레바미피드 2.0% 점안제 시장은 2024년도 다회용 16억 원, 일회용 72억 원으로 총 90억 원에 달하는 시장 규모로 성장했다. 다만, 다회용 제품은 현탁 발생 이슈로 당분간 공급 중단 상황에 있다. 이런 시장 상황 가운데 대우제약이 동일 성분 1.5% 일회용 점안액 임상 3상에 성공하고 개량 신약 허가 신청을 낸 것. 이를 기념해 지난 4월 17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임상 3상에 참여한 8개 병원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보양식도 사람마다 효과 상이, 체질에 맞는 보양식 필요 한국 고유의 의학인 사상의학은 소음인, 소양인, 태음인, 태양인으로 사상체질을 구분한다. 체질 별로 가장 중요한 핵심 에너지를 보명지주(保命之主)라고 하는데, 보명지주가 약해지면 다양한 병적 증상이 나타난다.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사상체질과 황민우 교수와 함께 사상체질 별 보명지주가 약해졌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 이에 대한 보양 방법을 알아본다. 체질‧몸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 소증(素證)사람마다 타고난 사상 체질과 건강 상태를 드러내는 징후를 사상의학에서는 ‘소증(素證)’이라고 한다. 소증은 특정 증상이나 질병이 발현되기 이전의 몸 상태를 나타내는 임상 정보를 의미한다. 세부적으로는 수면, 식욕 및 소화, 배변 및 배뇨, 땀, 한열 상태 등으로 분류한다. 이를테면 평소 잠을 깊게 자는지 자주 깨는지, 대변이 무른 편인지 굳은 편인지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수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체질과 건강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소증의 이상, 보명지주 약화로 이어져소증의 이상 변화가 지속되면 보명지주(保命之主)가 약해질 수 있다. 보명지주(保命之主)는 사상의학에서 사상체질별로 건강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에너지를 일컫는 말이다. 자신의 체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