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복지부,의료법 위반 의사 늦장 행정처분" 논란

최도자의원,95회 무면허 의료행위 지시한 의사는 6개월간 면허취소 유예 받아

95회에 걸쳐 무면허의료행위를 지시하고, 환자 진료기록부를 허위로 작성한 의사에게 복지부가 6개월 동안이나 면허취소를 연기해준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보건복지위원회 바른미래당 최도자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각종 의료법 위반혐의로 자격정지‧면허취소 된 의사 수는 1,453명에 달했다.
 
최도자 의원이 복지부의 ‘행정처분결정일별 처분개시일’을 분석한 결과, 법원 판결로 행정처분을 받은 날부터 실제 처분이 이루어지기까지 평균 3개월(97.3일)이 소요됐다. 실제 행정처분까지 소요된 기간은 90일 이내가 720건, 91일 이상~180일 이하 564건, 180일 이상이 169건이었다.


리베이트로 자격정지 처분을 받은 한 의사는 무려 504일 동안 복지부로부터 행정처분을 유예 받았다. 대리수술로 자격정지를 받은 의사가 372일 동안 처분을 미룬 사례도 있었다. 처분이 미뤄진 이 기간 동안 계속 진료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외에도, 광주 모 성형외과 의사는 2011년 9월부터 2015년 7월까지 비의료인에게 95건의 무면허 의료행위를 지시하였는데, 2015년 10월경 범행을 은폐하기 위하여 환자 진료기록부를 수정‧삭제하여 금고형을 선고받았다. 해당 의사의 면허취소 처분결정일은 2018년 10월 4일이었으나 복지부는 6개월이 지난 올해 4월 1일에야 해당 의사의 면허를 취소했다.  


복지부는 행정처분 결정일과 실제 처분 개시일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다.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다보니 의사들이 병원사정 ‧ 환자진료 안정성 등을 이유로 행정처분을 연기해달라는 의견서를 제출했을 때 이를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최도자 의원은 “복지부가 법률에도 없는 ‘행정처분 연기신청’을 받아주면서 자격정지‧면허취소가 결정된 의사들이 수개월 넘게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료를 보고 있다”고 지적하며 “행정처분이 엄격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사 행정처분(자격정지면허취소) 현황

(단위 : )

구분

자격정지

면허취소

합계

2016

449

49

498

2017

462

36

498

2018

411

46

457

합계

1,322

131

1,453

* 의사 수(치과의사 포함) 자료: 보건복지부, 최도자 의원실 재구성

 

 

 

행정처분결정 이후 처분개시 소요 기간 (단위 : )

행정처분 소요기간

90일 이하

91일 이상~

180일 이하

180일 이상

평균

의사 수

720

564

164

97.3

* 의사 수(치과의사 포함) 자료: 보건복지부, 최도자 의원실 재구성

 

   

무면허 의료행위 지시 관련 행정처분 대표 사례(5)

 

면허

종별

위반사항

처분내용

처분시행

일자

처분시작

일자

차이 

사유

의사

법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의료인이 아닌 자로 하여금 의료행위를 하게 한 경우, 의료인이 면허된 것 외의 의료행위를 한 경우

자격

정지

2016-09-27

2017-06-01

247

기존환자 진료 안정 및 병원직원(17) 정리 등 사유

의사

법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의료인이 아닌 자로 하여금 의료행위를 하게 한 경우, 의료인이 면허된 것 외의 의료행위를 한 경우

자격

정지

2016-10-25

2017-11-01

372

병원정리(환자, 시설 등), 직원(12) 정리 등

의사

법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의료인이 아닌 자로 하여금 의료행위를 하게 한 경우, 의료인이 면허된 것 외의 의료행위를 한 경우

자격

정지

2017-05-04

2017-12-01

211

행정처분 불복 및 진료환자 안정성 등 이유

의사

법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의료인이 아닌 자로 하여금 의료행위를 하게 한 경우

자격정지

2018-01-19

2018-10-01

255

신변정리 및 병원정리

의사

법 제8조제4호의 어느 하나의 결격사유에 해당된 경우(법 제27조제1항을 위반하여 의료인이 아닌 자로 하여금 의료행위를 하게 한 경우, 법 제33조제8항을 위반하여 의료기관을 개설·운영한 경우, 법 제22조를 위반하여 진료기록부등을 고의로 사실과 다르게 추가기재·수정한 경우)

면허취소

2018-10-04

2019-04-01

179

기존 환자 치료 안정 등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대웅, 임직원 건강관리 맞춤 솔루션 ‘대웅 헬스케어’ 론칭 대웅(대표 윤재춘)은 오는 7월 7일부터 7월 10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2025 국제안전보건전시회(KISS)에 참가하여, 기업 임직원들을 위한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 ‘대웅 헬스케어’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대웅 헬스케어는 ▲힐리언스 코어운동센터, ▲선마을, ▲웰다,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임직원들의 신체 건강, 정신 건강, 대사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이 직면한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시한다. 대웅 헬스케어는 기업들이 근골격계 문제, 정신 건강, 대사 질환 관리 등 임직원 건강에 관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 솔루션은 임직원 개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춘 맞춤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 증진과 유지를 돕는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임직원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건강한 근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대웅 헬스케어 솔루션은 기업 안전보건 관리자들이 직면한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고, 임직원 건강 증진을 통해 건강친화기업 인증,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인증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