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회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전화 건 10명 중 7명은 상담사와 연결조차 되지 않아

자살 신고가 가장 많은 밤 11시부터 자정 사이 자살 예방 상담 전화 미응대율 73%에 달해

보건복지부는 적극적인 상담과 정신 건강 서비스 연계 강화를 통한 자살률 감소를 위해 지난 2018년 12월부터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자살 신고 및 자살 관련 상담 전화 수요가 폭증하는 심야시간 대 응답률이 34%에 불과해 오히려 전화를 건 사람에게 좌절과 상실감을 안겨준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재선/전주시병/보건복지위원회)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하루 평균 62,696건의 자살 신고가 접수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20%에 달하는 12,419건이 밤 10시부터 다음 날 새벽 1시의 심야시간대에 접수되며, 특히 밤 11시부터 자정까지 가장 많은 자살 신고(4,274건)가 접수된다. 

한편, 해당 시간대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 역시 전화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밤 11시부터 자정까지 걸려오는 전화 수는 평균 7,103건으로 하루 중 가장 많은 전화가 걸려오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밤 10시부터 새벽 1시까지의 응답률은 34%에 불과하다. 특히 자살 신고와 자살 관련 상담 전화가 가장 많이 접수되는 밤 11시부터 자정까지의 응답률은 고작 27%에 그쳤다. 즉, 밤 11시부터 자정 사이에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에 전화를 건 10명 중 7명은 상담사와 연결조차 되지 않는 것이다.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의 일평균 응답률은 서비스를 처음 시작한 2018년 42%에서 2019년 64%로 증가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상담 수요가 급증하면서 2020년 8월 기준 37%로 감소하였다. 자살예방상담전화의 낮은 응답률은 상담 인력이 부족한 탓이 크다. 

자살예방상담은 4조 3교대의 형식으로 이뤄진다.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의 상담사 정원은 29명이지만 2020년 8월 기준 상담사는 19명에 불과하다. 2근과 3근 근무자가 중복되는 14시부터 15시까지의 1시간을 제외하면 매 시간 9명의 상담사가 걸려오는 전화를 응대한다. 

129 보건복지상담센터의 위기대응팀 상담원 중 일부(23명)가 1393 자살예방상담센터 상담사와 함께 자살과 관련된 상담을 담당하고 있으나 이 역시 쏟아지는 전화를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인력 부족과 관련 보건복지부는 자살과 관련된 상담이 워낙 어렵고 힘든 업무라 퇴사가 잦고 신규인력 채용도 쉽지 않다며 어려움을 표했다. 

김성주 의원은 "자살예방상담전화는 '타이밍'이 매우 중요한 정책"이라며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고민하다 전화를 건 사람들에게 국가마저 박탈감이나 절망감, 외로움을 느끼게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로나 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상담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담 인력을 보강하기 위해 상담원의 처우를 개선하고 운영 시스템을 개편하는 등 보건복지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 ‘식욕억제제’ 등으로 광고 하다 덜미.. 324억 원 상당 판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누리소통망(SNS) 등에서 일반식품을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비만치료제로 불법 광고하여 판매한 5개 업체 대표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유튜브 등 누리소통망(SNS)에서 인플루언서가 과·채가공품 등 일반식품을 비만 치료, 식욕억제 등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확인하고 정확한 위반 경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수사 결과 피의자들은 인플루언서의 블로그,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일반식품을 ‘먹는 위고비(비만치료제)’, ‘식욕억제제’, ‘체지방 감소’ 등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처럼 부당 광고하고, 해당 광고에 판매사이트가 연결되도록 링크를 걸어두는 방식으로 2024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324억 원 상당을 판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의자들은 개인 SNS에 특정 제품에 대한 후기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노려 인플루언서에게 ‘한 달에 7kg 감량’, ‘초강력 식욕억제’ 등 광고 키워드를 전달하고 해당 키워드를 활용해 자신의 체험 후기인 것처럼 영상 등을 제작하여 게시하도록 하는 수법으로 불법 광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대체조제 사후통보 약사법 개정안 철회해야” 대한의사협회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한 대체조제 사후통보 지원 정보시스템 운영 관련 약사법 개정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의협은 20일 성명을 내고 “해당 개정안은 국민건강과 환자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제도”라며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개정안은 약사가 의사의 처방 의약품을 대체조제한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보시스템을 통해 사후 보고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협은 이에 대해 “대체조제가 훨씬 쉽고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구조”라며 “의사에게 직접 변경 사실 통보가 불가능해졌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또 “같은 성분의 약이라도 제형·흡수율·방출속도 차이에 따라 치료 효과와 부작용 발생 위험이 달라질 수 있다”며 “특히 만성질환자, 고령자, 다약제 복용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심평원을 거친 간접·지연 통보 방식은 의사가 환자의 부작용에 즉각 대응할 수 없게 하며, 의사의 처방권을 무력화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의협은 이번 개정이 의약분업의 근간을 흔든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의사 처방을 약사가 쉽게 변경하고, 그 사실조차 바로 확인할 수 없다면 이는 의약분업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