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회

쌍벌제 시행되면 리베이트 관행 사라질줄 알았더니..

김성주 의원,쌍벌제 후 의사 10명, 약사 2명 행정처분 ,“국민 건강보험 가로채는 리베이트 근절되어야” 지적

리베이트 쌍벌제가 시행된 이후 제약사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의사 10명, 약사 2명이 처분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복지부는 제약사들로부터 금품 등을 수수한 의사, 약사 등 777명에게 의료법 위반 혐의로 행정처분을 내릴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성주 의원(전주 덕진)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년 11월부터 시행된 리베이트 쌍벌제 적용 이후 총 10명의 의사와 2명의 약사가 벌금과 추징금 그리고 자격정지 2개월 이상의 행정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번

성명

의뢰기관

(경유기관)

의뢰일자

수사 및 재판결과

행정처분

(처분일자)

<의 사>

1

김**

의약품정책과

(인천지방검찰청)

’11.8.17.

벌금 300만원,

추징금 750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5.23.)

2

박**

의약품정책과

(인천지방검찰청)

’11.8.17.

벌금 300만원,

추징금 750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5.23.)

3

노**

의약품정책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12.5.7.

벌금 300만원,

추징금 400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2.)

4

이**

의약품정책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12.5.7.

벌금 200만원,

추징금 300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2.)

5

최**

의약품정책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12.5.7.

벌금 400만원,

추징금 600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2.)

6

염**

의약품정책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12.5.7.

벌금 250만원,

추징금 354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2.)

7

서**

의약품정책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12.5.7.

벌금 400만원,

추징금 671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2.)

8

이**

의약품정책과

(부산지방검찰청)

’12.4.18.

기소유예

자격정지 2개월

(12.6.18.)

9

박**

의약품정책과

(부산지방검찰청)

’12.4.18.

기소유예

자격정지 2개월

(12.6.18.)

10

민**

의약품정책과

(서울남부지방검찰청)

’12.5.7.

벌금 800만원,

추징금 1,000만원

자격정지 4개월

(12.6.29.)

<약 사>

1

박**

춘천지방검찰청

속초지청

’11.11.14.

벌금 300만원,

추징금 746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5.)

2

이**

춘천지방검찰청

속초지청

’11.11.14.

벌금 150만원, 추징금 323만원

자격정지 2개월

(12.6.15.)


최근 서 모 의사는 제약사로부터 리베이트를 수수한 혐의로 벌금 400만원, 추징금 671만원을 선고 받았고, 복지부로부터 자격정지 2개월의 처분을 받았다. 또한 민 모 의사는 벌금 800만원에 추징금 1천만원으로 자격정지 4개월을 받는 등 리베이트 쌍벌제 이후에도 불법 리베이트 관행을 끊이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전후의 리베이트 수수 건으로 행정처분 사전 통지된 의사, 약사가 777명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모 제약사로부터 판매촉진 명목의 금품을 받은 의료인 95명에게도 행정처분 사전통지서가 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주 의원은 “의료인에게도 강력한 처벌이 될 수 있는 리베이트 쌍벌제가 시행된 지 2년이 되었음에도 국민이 낸 보험료를 중간에서 몰래 가로채는 리베이트가 아직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보건복지부는 리베이트와 같은 불공정 행위에 대해 제약사와 의료계가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공정하면서도 엄중히 처벌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