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장학회(이사장 박형천)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의료 대응 강화를 위해 『대량 재난에서 압궤 손상자의 관리에 대한 권고안』 한국어 번역본을 공식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간은 국내 최초이자 전 세계적으로 아홉 번째 번역본으로, 우리나라가 글로벌 재난 의료 대응 체계에 학술적으로 본격 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 권고안은 국제신장학회(ISN) 및 유럽신장학회(ERA) 산하 ‘콩팥재난대응 대책반(Renal Disaster Relief Task Force, RDRTF)’이 제정한 글로벌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대한신장학회 재난대응위원회가 주도하고 대한재난의학회가 공동으로 번역·감수하여 완성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빈도 증가와 도시 밀집화에 따른 대형 사고 위험이 가중되는 가운데, 재난 의료 체계의 사전 준비와 실질적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권고안은 재난 상황에서 빈발하는 압궤 손상(crush syndrome)에 대한 체계적 치료 지침을 국내 의료계에 제시함으로써, 실무 활용도가 높은 표준 지침으로 평가된다.
압궤 손상은 지진, 건물 붕괴, 산사태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중증 외상으로, 급성콩팥손상(AKI) 및 고칼륨혈증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신속한 초기 수액 치료 및 신장 전문의의 개입 여부가 생존률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는 대규모 재난 상황을 전제로 한 압궤 손상 치료에 대한 공신력 있는 지침이 부재했다.
대한신장학회는 특히 이번 권고안이 전문의뿐 아니라 응급구조사, 간호사, 보건소 및 지자체 재난 담당자 등 다양한 보건의료 인력이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으로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영기 재난대응이사(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장내과 교수)는 “기후 위기로 인한 자연재해와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대량 재난의 위협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며, “이번 권고안은 단순한 의료 지침서를 넘어 재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재난 생존 매뉴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신장내과뿐 아니라 응급의학, 외과, 내과, 나아가 보건 당국 전반으로 이 지침이 확산되어 우리 사회의 재난 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번역본은 대한신장학회 홈페이지(www.ksn.or.kr) 및 재난대응위원회 공식 채널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열람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관련 학회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에도 순차적으로 배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