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싸이모신 알파1, 유방암 환자 통증 및 면역력 회복 효과

면역조절 물질인 싸이모신알파1은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화학요법 병용치료 시에 극심한 통증이나 부작용을 낮추고 면역 T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을 회복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관련 바이오 전문 제약기업인 파마리서치(대표이사 김신규 · 강기석)는 이는 지난 2011년 아프리카 약학저널(African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2011)에 발표된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MRM;Modified radical mastectomy)을 받은 환자에 대한 싸이모신알파1이 미치는 영향”(Immuno-stabilizing effect of thymosin-alpha-1 on postmodified radical mastectomy (MRM) of breast cancer patients) 임상 논문을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당시 논문에 의하면 임상은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MRM)을 받은 침습성 유방암 환자 36명에 대해 수술 후 ‘호르몬요법 치료 그룹’과 ‘화학요법 치료 그룹’ 두 그룹을 대상으로 자닥신(싸이모신알파1) 투여 후 △체온, 심박수 △통증, 상처배액 △상처부위 △면역 피라미터 등에 대한 항목별 변화에 대해 시험했다.


호르몬요법 치료 그룹은 변형 근치 유방절제술(MRM) 환자에 대해 수술 전과, 수술 중, 수술 후에 페마라정(2.5mg)을 투여하였으며, 화학요법 치료 그룹은 5-플루오로우라실(500mg/㎡), 항악성종양제 에피루비신(100mg/㎡), 시클로포스파미드(500mg/㎡) 등을 수술 4주 전부터 투여했다.


시험 결과 심박수 및 상처와 관련한 부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통증의 경우 두 그룹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만, 7일차에는 결과적으로 비슷한 통증 지수를 나타냈다. 자닥신(싸이모신알파1)을 병용 투여한 두 그룹 중에서 호르몬요법 치료 그룹은 수술 직후 통증 지수가 6.1을 나타난 반면, 화학요법 치료 그룹은 3으로 나타내 화학요법 치료 그룹의 통증 수준이 호르몬요법 대비 절반 수준으로 낮았다.


1일 후에는 통증 수준이 5.3 대 2.9로 나타났으며, 3일 후에는 4.8대 2.0으로 나타났다. 7일 후에는 통증 지수가 0.7에서 1사이로 나타나 두 그룹간 차이가 없을 정도로 통증이 현격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