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GSK, 진행성 신세포암에서 보트리엔트와 수니티닙 비교 임상 결과발표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이하 GSK)은 주요 3상 연구인 COMPARZ (COMParing the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of paZopanib vs. sunitinib)가 일차 결과 변수를 충족했다고 밝혔다. 공개적으로 진행된 직접 비교임상에서 파조파닙이 질병 무진행 생존기간(PFS)에서 수니티닙에 비해 비열등성이 입증되었다.

이전에 전신 치료 경험이 없는 투명세포성 진행성/전이성 신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최근 열린 제 12차 ESMO 기간 중 프레지덴셜 심포지엄에서 COMPARZ 임상의 책임 연구자인 미국 메모리얼 슬로언 캐터링 암센터의 로버트 모쩌(Robert J. Motzer) 박사가 발표했다.

1,110명의 환자가 무작위로 파조파닙과 수니티닙 중 하나를 배정받아 각각의 표준용량 (파조파닙 – 800mg/일; 수니티닙 - 50 mg/일/4주 투약+2주 휴약)으로 치료 받았다. 두 약제 모두 질병이 진행되거나 수용이 불가능한 독성 발현, 또는 자발적인 임상 참여 철회 시까지 투약되었다.

이 연구의 일차 결과 변수는 질병 무진행 생존기간(PFS)였고, 이차 결과변수는 전체 생존기간(OS), 객관적 반응률(ORR), 반응 기간,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 안전성, 증상 부담(symptom burden), 의료 자원 활용(Medical resource utilisation) 등이었다.

독립평가기관(Indepent Review Committee)의 평가에 따르면 COMPARZ임상에서 보트리엔트(파조파닙)와 수니티닙의 질병 무진행 생존기간에서 위험도(hazard ratio)는 1.047 (95% CI 0.898, 1.220)이었고 비열등성을 입증하기 위해 선결정된 범주는 1.25 (양측 상위 한도 95% CI) 였다.

독립적 평가기관이 평가한 파조파닙 군의 질병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8.4개월 (95% CI 8.3, 10.9),  수니티닙은 9.5개월 (95%CI 8.3, 11.1)이었고 임상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가 평가한 (Investigator Review) 파조파닙 군의 질병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은 10.5개월 (95% CI 8.3, 11.1),  수니티닙은 10.2개월 (95%CI 8.3, 11.1)이었다.

이차 결과변수인 객관적 반응율(Objective response rate)의 경우, 파조파닙군은 31%, 수니티닙군은 25% (p=0.032) 이었다. 전체생존기간을 분석해 보니 양군의 위험도(hazard ratio)는 0.908 (95% CI 0.762, 1.082; p=0.275)로 파조파닙군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은 28.4개월(95% CI 26.2, 35.6), 수니티닙군은 29.3개월 (95%CI 25.3, 32.5) 이었다.

이 연구에서 피로감, 구내/인후 쓰림, 수족증후군 등을 평가하기 위한 4종류의 삷의질 평가 질문지의 14개의 지표 중 11개의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파조파닙 투약군에 우호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파조파닙과 수니티닙 투약 시 호발한 이상반응(≥ 30%,all grade)은 각각 다음과 같다.(파조파닙 vs. 수니티닙) 설사(63% vs. 57%); 피로감(55% vs. 63%); 고혈압(46% vs. 41%); 구역(45% vs. 46%); 식욕감퇴(37% vs. 37%); ALT수치 상승(31% vs. 18%); 모발 변색(30% vs. 10%); 수족증후군(29% vs. 50%); 미각 변화(26% vs. 36%), 혈소판 감소(10% vs. 34%) 였다.

42%의 파조파닙 투약군과 41%의 수니티닙 투약군이 중대한 이상반응(Serious AE)을 경험 하였는데, 파조파닙 투약 환자 중 3% 이상에서 발생한 중대한 이상반응은 ALT와 AST 수치의 증가였고, 수니티닙 투약 환자 중 3% 이상에서 발생한 중대한 이상반응은 발열과 혈소판감소였다.

파조파닙 투약군 중 13명(2%)과 수니티닙 투약군 중 19명(3%)에서 치명적이 이상반응이 발생하였는데 이 중 두드러진 이상반응은 없었다. 연구가평가에서 발견한 11명의 약제 관련 치명적 이상반응 중 3명(<1%)은 파조파닙 투약군, 8명(1%)은 수니티닙 투약군에서 발생되었다.

GSK 항암제 사업부 대표인 파올로 파올레티(Paolo Paoletti, MD) 박사는 “COMPARZ 연구 결과에 매우 기쁘고 진행성 신세포암을 치료하는 임상의들에게 우리의 연구결과가 공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그 동안 파조파닙 과 수니티닙처럼 같은 질환 내에서 사용되는 약제의 직접비교 정보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임상의의 치료 약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번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김민관 회장 "공공의대 문제, 성분명 처방 문제, 건보공단 특사경 문제 등 난제 슬기롭게 극복" 경상남도의사회(회장 김민관)는 5월 31일(토) 14시,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4층 이정자홀에서 제26회 경남의사의 날 기념 종합학술대회를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성황리에 개최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정착된 이번 행사는 1천 1백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여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학술대회는 김지현 학술대회 준비위원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조민우 교수(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한의사협회 자문위원): 환자안전의 이해를 비롯 차라리 교수(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역류성 식도염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박정현 교수(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내분비내과): 우리는 왜 살찌는가? 비만치료제의 변신, 조현태 변호사(경상남도의사회 법제이사): 판례를 중심으로 한 의료법 위반의 유형별 정리 등 총 4개의 강의가 마련됐다. 이날 학술대회 행사 중간에는 김양수 총무이사의 진행으로 제26회 기념식이 진행되었다.김민관 회장의 기념사, 조재홍 의장의 격려사, 박은실 준비위원장의 인사에 이어 다양한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김민관 회장은 기념사에서 “공공의대 문제, 성분명 처방 문제, 건보공단 특사경 문제 등 하반기에도 난제가 예상되지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