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축구하다가 갑작스러운 무릎통증이 나타났다면...이병 의심해야

십자인대 파열, 무릎에서 ‘뚝’소리, 무릎통증,붓거나 흔들거리고 휘청 증상 나타나

축구가 하고싶어서 공을 들고 오랜만에 학교 운동장을 찾은 A 씨(28세, 남)는 운동 중 갑자기 통증과 함께 무릎 움직임에 불편함이 생겼다. 일시적인 증상이려니 하고 며칠을 지켜봤지만 호전되지 않자, 병원을 찾은 A 씨는 반월상연골판 파열이었다. 작장인 김 씨(41세, 여)는 무릎 앞부분에 시큰거리는 통증이 있었다. 운동 부족인가 싶어 홈트레이닝과 런닝을 병행하며,  틈나는 대로 실내 자전거 타기를 했다. 그런데 며칠 전 지방 출장으로 장거리 운전을 하고 난 뒤 통증이 심해졌다. 구부리고 펴는 동작이 불편했고, 통증으로 자전거를 타기도 힘들었다. 진단 결과 김 씨는 연골연화증이었다.

신체활동이 높은 스포츠 활동을 꾸준히 하면 스트레스도 해소하고 체력도 강화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속력으로 달리거나, 시합경기에서 상대편 선수와 몸을 부딪히는 동작은 부상을 당할 위험이 높으니 주의 해야 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부상 중 하나가 전방십자인대 파열인데, 무릎 관절에 발생하는 부상인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을 자주 하는 일반인들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다. 무릎에는 4개의 중요한 인대가 있는데, 이 중 전방, 후방 십자인대는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과 무릎이 돌아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리가 비틀어지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꺾어지는 부상이 발생한다면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다. 발생 원인에는 크게 접촉성과 비접촉성 외상이 있는데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전체 발생률 중 80% 이상을 차지하게되며, 점프 후의 불안정한 착지와 급격한 방향 전환, 외반력 그리고 과신전 등의 동작이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주요 동작으로 꼽힌다. 

십자인대 파열 시에는 무릎에서 ‘뚝’하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며, 무릎통증이 느껴지면서 무릎이 붓거나 무릎이 흔들거리고 휘청하는 듯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상 후 통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릎을 삐끗한 정도의 가벼운 염좌로 오해하고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

정형외과 전문의인김도훈 대표원장은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인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무릎 관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파열된 조직을 오래 방치되면 무릎 관절에 과부하를 주어 무릎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초기에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도훈 원장은 또 “전방십자인대의 경미한 부분파열은 보조기 착용 및 물리치료, 도수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 방식을 적용하여 완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인대가 심하게 끊어진 상태라면 조기에 재건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연령, 성별, 직업 등을 고려해야 하며, 수술 후에는 원활한 회복을 위한 재활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아 모야모야병,혈액검사만으로 조기 진단. 치료 시대 열리나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소아 뇌혈관질환인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MMD)을 혈액 검사만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환자의 혈액을 분석해 miR-512-3p라는 특정 마이크로RNA(miRNA)의 수치가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바이오마커는 비정상적인 혈관 생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모야모야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 표적으로서 중요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김승기 교수, ㈜제이엘케이 고은정 박사,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최승아 연구교수 연구팀은 소아 모야모야병 환자의 혈장에서 miR-512-3p라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그 기능과 작용 기전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원인 없이 대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의 가지치는 부위 혈관이 서서히 좁아지는 만성 진행성 뇌혈관질환이다. 이로 인해 혈류가 부족해지고, 부족한 혈류를 보충하려는 비정상적인 미세혈관들이 자라나지만, 이 혈관들은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고 터지기 쉬워 뇌경색이나 뇌출혈과 같은 심각한 소아 뇌졸중을 유발하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