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문정림 의원, 해외환자 유치실적 부풀리기 근절 방안 제시

국내에 살고 있는 외국인도 해외환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문정림 의원(선진통일당 정책위의장 겸 원내대변인)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이 상당부분 부풀려져 있으며, 특히 외국인 환자 유치 등록기관 중 58%가 넘는 곳에는 외국인 환자가 한명도 방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정림 의원은, 18일에 진행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라 함) 국정감사에서 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를 분석·제시하면서, 관련 문제를 집중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외국인 환자 통계 분석
 - 미국, 일본, 중국 국적 순?
국적별-진료유형별 외국인환자 현황(표1)에 따르면, 2011년도에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환자는 국적별로 미국 27,506명(22.5%), 일본 22,491명(18.4%), 중국 19,222명(15.7%)으로 이들 3개국의 환자가 전체 외국인 환자의 56.6%를 차지했다.

 - 주한미군도 해외 외국인 환자 유치에 포함?
미국인 환자 중 주한미군 환자(표2)을 보면, 전체 미국 국적 환자 27,506명 중 주한미군이 7,891명(28.7%)을 차지하고 있어, 주한미군을 제외한 미국인 환자는 19,615명으로 실제로는 2순위(일본, 미국, 중국 순)에 해당한다.

문 의원은 “주한미군을 해외환자 유치 통계에 넣을 경우 통계를 왜곡시킬 수 있어, 국내 상주 외국인을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의 실적에 포함시킬 것인지 혹은 별도로 분류할 것인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 유치 등록의료기관이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지 않는 이유?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의료기관 현황(표3) 분석 결과,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의료기관 총 2,091개소 중 1,216개소(58.2%)가 외국인 환자를 전혀 유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문정림 의원은 “세계적 수준의 국내 의료 인력과 기관을 바탕으로 보건의료산업을 고부가가치 국가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하여 국가경제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사업 취지를 위해서라도, 해외환자 유치 등록의료기관에 대한 각종 완화와 세제 혜택 등 실질적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 의원은 “특히, 유치실적이 없었던 의료기관을 종별기준으로 살펴보면, 의원(60.4%), 치과의원(72.3%), 한의원(67.0%) 등이었던 바, 의원급 의료기관도 해당 전공과목이나 질환별로 특화된 부분을 살려 외국인 환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등 실질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3.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업체 문제
한편, 2012. 10. 11. 기준 진흥원에 유치업체로 등록한 기관은 총 508개로 매년 그 숫자가 늘고 있는데, 일부 비등록 유치업체 및 해외 유치업체가 진료비의 상당 부분에 해당하는 수수료를 의료기관에 요구하면서 의료현장의 질서를 어지럽히고 실제 외국인 환자 유치를 기피하게 만드는 요인으로도 지적되고 있다.
 
이에 문정림 의원은 “일부 유치업체의 이러한 무리한 수수료 요구 등은 국내 의료기관은 물론 해외환자에게까지 피해로 돌아가 결국 국가 이미지를 실추시킬 수 있다”며, “정부는 실적에 연연하기보다 적정 수준의 수수료를 유도하고 사각지대에 있는 유치업체에 대한 관리․감독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하였다.

 

표1. 국적별-진료유형별 외국인환자 현황
                                                                                                     (단위 : 명, %)

국적

건강검진

외래

입원

국적 비율

미국

3,201

20,822

3,483

27,506

22.49

일본

4,187

17,042

1,262

22,491

18.39

중국

1,179

16,083

1,960

19,222

15.72

러시아

1,301

6,896

1,454

9,651

7.89

몽골

356

2,334

576

3,266

2.67

캐나다

365

1,552

134

2,051

1.68

베트남

210

944

182

1,336

1.09

필리핀

40

1,022

116

1,178

0.96

영국

93

803

68

964

0.79

사우디아라비아

5

731

184

920

0.75

기타국가

1,004

10,768

1,372

13,144

10.75

미확인국적

2,601

16,813

1,154

20,568

16.82

14,542

95,810

11,945

122,297

100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출 자료(2011년 기준)를 토대로 문정림 의원실에서 재구성(2012.10.)

 

표2. 미국인 환자 중 주한미군 환자 현황
                                                                                                             (단위 : 명, %)           

구분

건강검진

외래

입원

미군 환자 수

2(0.03)

6,190(29.73)

1,699(48.78)

7,891(28.69)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출 자료(2011년 기준)

 

표3. 외국인환자 유치 등록의료기관 현황

                                                                                                           (단위 : 개소, 백만원)

구분

등록

기관

실적제출

기관

유실적

기관

유실적기관

/등록기관

실환자수

진료수입

진료수입비율

상급병원

43

43

39

90.70

47,000

79,652

44.04

종합병원

109

97

85

77.98

26,495

29,686

15.41

병원

200

145

103

51.50

11,025

12,447

6.88

치과병원

71

51

34

47.89

2,219

2,312

1.28

치과의원

375

206

104

27.73

1,299

1,208

0.67

한방병원

30

25

22

73.33

4,822

2,420

1.34

한의원

191

119

63

32.98

5,067

1,729

0.96

의원

1,072

697

425

39.65

24,370

51,427

28.43

2,091

1,383

875

41.85

122,297

180,881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출 자료(2011년 기준)를 토대로 문정림 의원실에서 재구성(2012.10.)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김민관 회장 "공공의대 문제, 성분명 처방 문제, 건보공단 특사경 문제 등 난제 슬기롭게 극복" 경상남도의사회(회장 김민관)는 5월 31일(토) 14시,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4층 이정자홀에서 제26회 경남의사의 날 기념 종합학술대회를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성황리에 개최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정착된 이번 행사는 1천 1백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여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학술대회는 김지현 학술대회 준비위원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조민우 교수(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한의사협회 자문위원): 환자안전의 이해를 비롯 차라리 교수(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역류성 식도염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박정현 교수(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내분비내과): 우리는 왜 살찌는가? 비만치료제의 변신, 조현태 변호사(경상남도의사회 법제이사): 판례를 중심으로 한 의료법 위반의 유형별 정리 등 총 4개의 강의가 마련됐다. 이날 학술대회 행사 중간에는 김양수 총무이사의 진행으로 제26회 기념식이 진행되었다.김민관 회장의 기념사, 조재홍 의장의 격려사, 박은실 준비위원장의 인사에 이어 다양한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김민관 회장은 기념사에서 “공공의대 문제, 성분명 처방 문제, 건보공단 특사경 문제 등 하반기에도 난제가 예상되지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