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 'KSN202' 개최..34개국 279명 사전등록

5개 국제학회 및 3개 국내 유관학회와 공동심포지엄도

대한신장학회 (이사장 양철우,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는 2021년 9월 2일부터 5일까지 4일간 학술대회 “KSN2021”을 개최한다.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인하여 온라인 컨퍼런스로만 진행될 이번 학술대회는 “New Journey of KSN to the world (세계를 향한 대한신장학회의 여정)이라는 슬로건으로 전세계 34개국에서 279명의 해외 등록자 포함 1,552명이 사전 등록하였다 .

이번 KSN2021에는 아시아 국가 참가자들을 위한 Postgraduate education program을 마련하였으며 5개 국제학회 (국제신장학회, 유럽신장학회, 아시아신장학회, KDIGO, 대만-일본투석학회)와 신장학 분야의 다양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3개국 100여명의 신장병리학자들이 대거 참여하는 제1회 동아시아 병리 컨퍼런스가 열린다. 또한 국내 유관 학회인 대한고혈압학회, 대한내분비학회, 대한임상영양학회 등과 공동 심포지엄을 통해 신장합병증을 동반한 환자 관리에 대한 임상적 문제와 실제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공론의 장을 준비하였다. 

기조발표로는 최근 질환 기전 연구의 혁신 플랫폼으로 떠오르는 단일 세포 분석 연구의 대가인 Benjamin D Humphres 교수 (미국 워싱턴대)와 신장 보호효과로 각광받고 있는 SGLT2억제제 임상 연구를 주도한 Christoph Wanner 교수 (독일 Wuerzburg대)를 초대하여 신장 분야 연구와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R&D 세션을 통하여 신약과 투석기기 국내 개발에 대한 소개가 있을 예정이며 기초연구를 위한 KAIST 및 GIST 연구진의 발표 세션, 사회적으로 이슈인 미세먼지에 대한 연구 동향과 임상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세션을 준비하였다. 

학술대회기간중 대한신장학회 40주년 기념행사로서 동영상 상영과 심포지엄이 예정되어 있다. 심포지엄은 세계 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만성콩팥병의 정책에 대한 소개와 대한신장학회의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향한 발전방향을 토의할 예정이다. 

또한 신장학 분야의 연구업적을 평가하여 평생 1회 시상하는 학술상과 학회 발전에 공헌한 업적을 시상하는 공로상 시상도 진행된다.

이상호 학술이사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는 “COVID-19로 인하여 학회활동이 위축될 것을 걱정하였으나 전 세계 34개국에서 사전등록을 하였고 21개국에서 초록을 제출하여 국제학회로서 손색없는 학술대회가 될 것 같다”고 전망하였다. 양철우 이사장은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가 아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의료진이 참여하고 싶어하는 학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듀켐바이오, ‘전립선암 치료·진단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 개최 듀켐바이오(176750)는 25일(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과 27일(현대차증권 본사 5층 대강당) 양일에 걸쳐 국내 제약·바이오 담당 애널리스트 및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전립선암 치료 및 진단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플루빅토 출시로 부각되고 있는 전립선암 치료 시장의 변화, 전립선암 진단제 도입이 임상 치료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구현하는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시장의 미래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대한핵의학회 회장이자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유영훈 교수가 연자로 나선 가운데, 방사성 의약품 기반 전립선암 진단·치료의 최신 동향과 향후 발전 방향을 심도 있게 다뤘다. 유 교수는 ▲PSMA 표적치료제 ‘플루빅토’ 출시 이후 변화하는 글로벌 전립선암 치료 시장 ▲전립선암 진단제 도입이 임상 패러다임에 미치는 영향 ▲진단과 치료를 융합한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전립선암은 고령화에 따라 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대표적 질환”이라며 “정밀 진단기술과 표적치료제의 결합은 환자 맞춤형 치료를 앞당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