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코골이로도 다이어트가 된다?

단순한 잠버릇으로 여겨지는 코골이는 의외로 비만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주변을 살펴보면 코를 고는 사람 중 상당수가 뚱뚱한 체형임을 알 수 있다. 즉 비만할수록 코골이가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으로는 코를 자주 골면 칼로리 소비량이 늘어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도 제기된다.
 
비만이 코골이에 미치는 영향, 장기간 방치한 코골이의 위험성 등에 대해  어경남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뚱뚱하면 기도 좁아져 코골이 위험↑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와 구개수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쉽게 말해 공기가 코와 입으로 드나들 때 기도나 입천장 등이 떨려서 나는 소리로 이해하면 된다. 의학적으로 코골이가 심해지면 수면 중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잠자리에서 코를 골게 되는 이유는 다양한데, 그 중 하나가 바로 비만이다. 한 해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체질량지수가 35㎏/㎡ 이상인 고도비만 남성 중 절반이 코를 골고, 33%는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연구에서도 복부비만 등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에 걸릴 위험이 2배 가까이 높았다.
 
어 대표원장은“비만한 사람이 코를 골게 되는 이유는 기도가 좁아졌기 때문”이라며 “보통 숨을 들이마실 땐 내쉴 때보다 기도가 좁아지는데, 비만으로 인해 복부와 목 부근에 살이 찌면 기도 안쪽이 더욱 좁아져 숨을 들이마실 때 코를 골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턱이 좁거나 뒤로 들어간 무턱인 사람이 살찌면 코골이 증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고 덧붙였다.
 
코를 골면 정말 칼로리 소모될까?
 
인터넷 등에선 코골이가 칼로리 소모량을 높여 살을 빼는 데 도움이 된다는 속설이 떠돌지만 사실과 다르다. 일단 코를 고는 행위 자체가 칼로리 소모량을 늘린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것은 맞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립대의 에릭 케지리언 박사팀에 따르면 코골이 환자들의 평균 칼로리 소모는 1999kcal로, 정상적으로 잠을 자는 환자들 평균 1626kcal보다 373kcal를 더 소비했다. 이는 체육관에서 30분 동안 격렬한 운동을 했을 때 소비되는 칼로리와 맞먹는 수치다.
 
어 대표원장은 “코를 골면 이와 관련된 신경계가 더 많이 활동해 칼로리 소모량 자체는 늘어날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코골이가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것은 아니다”며 “오히려 코를 자주 고는 사람일수록 더욱 뚱뚱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만성 코골이, 비만·대사증후군 위험 높여
 
코골이가 비만을 더욱 악화시키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연구팀이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 국제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1주일에 6번 이상 코를 고는 사람은 코를 골지 않는 사람보다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남성은 2.1배, 여성은 1.5배 높았다.
 
대사증후군 중에서도 특히 복부비만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다. 1주일에 6일 넘게 수면 중 코를 고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복부비만 위험도가 남성은 2.6배, 여성은 2.9배에 달했다.
 
어 대표원장은 “코골이가 심해져 수면무호흡증으로 악화되면 호흡에 차질이 생긴다”며 “이럴 경우 체내 산소의 양이 부족해져 신진대사에 문제가 생기고, 음식물을 통해 흡수된 에너지가 제대로 연소되지 않아 여분의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돼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골이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인 렙틴의 분비가 줄어 식욕이 더 왕성해지고, 낮 시간대 피로함으로 활동량이 줄어드는 것도 비만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분당서울대병원, 고위험 산모·신생아 진료·전원 공백 해소 협력 방안 논의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 10월 17일 병원 대강당에서 「2025년 분당서울대병원 권역모자의료센터 네트워크 구축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산모·신생아 안전분만 네트워크’를 주제로 열렸으며, 지역 간 의료 인프라 격차로 인한 진료·전원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권역 단위의 실무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통계로 본 경기도 내 고위험산모신생아 진료 현황(이희영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분당서울대병원 임상예방의학센터장) ▲고위험산모신생아 치료 인프라 확충과 미래(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영화 교수) ▲권역 고위험산모신생아 전원 네트워크 사업(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정다은 교수) ▲고위험산모신생아 모바일 전원 시스템 구축 사례(김용혁 에이식스티 대표이사)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이후 토론 세션에서는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기도 보건건강국, 분당서울대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등 관련 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해 권역과 지역 간 협력 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경기도 내 고위험 산모·신생아의 안전한 진료·전원 체계 시스템을 통합하고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