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스 기반의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전문기업 디어젠과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네오젠TC가 AI 면역세포 치료제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디어젠과 네오젠TC는 ▲신생항원(Neoantigen) 및 TCR(T-Cell Receptor) 서열(Sequence) 예측 인공지능 플랫폼의 개발과 검증 ▲이후 플랫폼의 사업화 및 연구개발 등의 범위에서 공동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이번 공동연구 협약으로 양사는 플랫폼 개발 이후 발생되는 사업화 결과물 및 수익에 대해서는 공동 지분을 갖게 된다.
디어젠과 네오젠TC가 개발하는 AI 면역세포 치료제 플랫폼은 TCR-T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TCR을 예측하는 플랫폼이다. 본 협약에 따르면 디어젠은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의 주도 및 고도화를 담당하고, 네오젠TC는 플랫폼의 공동연구 및 검증, 모델 고도화를 위한 실험 데이터 제공을 담당하게 된다.
TCR-T 치료제는 종양의 특정 항원을 인식할 수 있는 면역 T 세포 수용체(TCR)를 발현시켜 강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치료방법이다. 특히 종양세포의 돌연변이에서 발생한 표적 단백질인 신생항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는 환자 개개인의 신생항원을 타깃하여 환자 맞춤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번 협력으로 개발하는 플랫폼을 통해 신생항원 예측능력이 향상된다면 암백신 개발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길리어드의 킴리아(티사젠렉류셀)로 잘 알려진 CAR-T치료제도 T세포가 특정 항원을 타깃 하는 치료 방법이다. 하지만 CAR-T치료제는 세포 표면의 특정 항원만 인식할 수 있어 주로 혈액암에 쓰인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TCR-T치료제는 세포 내외의 항원을 모두 타깃 할 수 있어 고형암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네오젠TC는 2020년 2월 설립된 면역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종양 면역학을 기반으로 종양침윤림프구 (TIL) 세포치료제, T세포수용체 변형 T세포 (TCR-T)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 작년 4월 150억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를 완료했으며, 9월 하남에 340평 규모의 연구소를 구축하였다. 올해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종양침윤림프구(TIL)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디어젠은 시퀀스 기반의 인공지능 신약개발 기업이다. 대부분의 신약개발 연구에 사용되는 3D 구조데이터는 지금까지 알려진 단백질에 극히 일부이다. 디어젠은 3D 구조데이터가 아닌 시퀀스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알려진 모든 단백질을 데이터로 활용 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2월 200억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완료했으며, 동탄에 800평 규모의 AI 융합 신약개발연구소(iDear Center)를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