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망막 수술 환자,2년 이내 백내장 수술 받을 확률 90%

김안과병원 김철구 원장 “ 망막 수술 받은 환자 정기검진을 통해 백내장의 진행 정도를 확인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받아야"

백내장 치료를 위해 수술을 할 때 보통의 백내장 환자보다 어려운 수술이 필요한 케이스가 있다. 이미 망막 수술을 받은 환자나 합병백내장, 외상백내장, 과숙백내장은 수술이 까다롭다. 또 백내장 수술 도중 후낭이 파열하거나, 인공수정체가 낭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면 망막 수술을 함께 받아야 한다. 이와 함께 60대 이후 망막 수술 시 백내장 수술을 같이 하는 경우도 많아, 이런 환자들은 백내장과 망막 수술 모두에 숙련된 망막 전문의에게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백내장 수술은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것이다. 백내장은 일반적으로 60세 이상 70%, 70세 이상 90%가 경험하는 증상으로 근본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다. 백내장의 진행 정도나 생활의 불편 정도, 직업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 시기가 달라지는데 2021년에만 약 78만 1천220건(국민건강보험공단, 주요수술통계연보)이 시행됐다.

이와 같이 많이 시행되는 백내장 수술이지만 케이스에 따라 수술이 쉽지 않거나 망막 수술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망막은 안구의 가장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술이 매우 어렵다. 망막 수술을 받은 대부분의 안구는 수정체를 받쳐주는 유리체가 없다. 유리체는 끈끈한 점액질의 조직으로 안구 속을 채우고 있는데, 망막은 안구 가장 뒤에 위치해 수술기구가 망막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이 유리체를 제거하기 때문이다.

유리체가 없으면 수술 중에 수정체가 뒤로 밀리거나 꿀렁거리는 등 안구의 조직이 안정되지 않아 보통의 백내장 수술보다 그 난도가 높다. 이는 책상 위에 있는 종이에 글씨를 쓰는 것과 달리 받쳐 주는 책상 없이 허공에 있는 종이에 글씨는 것과 같은 이치다. 

전신질환의 합병증으로 인한 합병백내장, 외부 충격에 의한 외상백내장, 백내장이 많이 진행된 과숙백내장의 수술은 일반적인 백내장 수술보다 상당히 까다롭고 위험도가 높아 수술 중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크다. 문제가 발생하면 대부분 망막 수술을 함께 시행해야 한다. 

또한 백내장 수술 도중 수정체를 감싸고 있는 후낭이 파열되거나, 수정체가 낭 밖으로 빠져나가는 등 돌발상황이 발생해도 망막 수술을 함께 시행해야 한다. 60대 이후 환자가 망막 수술을 받을 경우 수정체가 자극을 받아 2~3년 이내에 백내장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망막과 백내장 수술을 동시에 하기도 한다.

한편, 수정체의 중심부인 핵이 딱딱해지고 뿌옇게 변하는 핵경화 백내장은 초기에 근거리 시력이 좋아져 자칫 수술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망막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므로, 수술 후 정기적인 안과검진을 통해서 백내장의 발병과 진행 정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김안과병원 김철구 원장은 “백내장은 노화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겪는 증상으로 수술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는 어려운 망막 수술이 될 수 있어 망막과 백내장 두 수술 모두에 숙련된 전문의의 집도가 요구된다.”며 “특히 임상경험에 의하면 망막 수술을 받은 환자가 2년 내에 백내장 수술을 받을 확률이 약 90%이므로 망막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정기검진을 통해 백내장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6종 제·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원장 강석연)은 「디지털의료제품법」 하위규정 시행에 따라 디지털의료기기 관련 가이드라인 1종을 제정하고 5종을 5월 7일 개정했다고 밝혔다. 주요내용은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특성을 반영한 허가신청서, 첨부서류 등 작성 방법을 안내하고, 인공지능·가상융합기술 등이 적용된 디지털의료기기에 대해 ▲제품 분류 판단기준과 흐름도 정비 ▲기술별 제품 사례 안내 ▲허가 제출자료의 범위 정비 및 작성방법 예시 등이다. 붙임 가이드라인 제·개정 주요 내용 구분 제목 목적 주요사항 제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독립형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① 독립형 디지털의료기기소프트웨어 관련 형태적·기능적 특성에 따른 안내 ② 독립형 소프트웨어 신청서 작성방법 및 예시, 성능평가 지표(AUC,민·특이도) 등 제시 ③ 「디지털의료제품 허가·인증·신고 심사 및 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첨부서류 안내 개정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허가 심사 가이드리인 내장형 소프트웨어의 허가·심사 시 기술문서·첨부자료 작성방법 등 제시 기존 내장형·독립형 소프트웨어 관련 포괄적 내용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여럿이 자는 환경에서도, ‘내 숨소리’로 ..."수면 상태 분석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 ·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이 에이슬립 홍준기 CTO 연구팀과 공동으로 ‘여럿이 함께 수면하는 환경에서도 각 개인의 숨소리를 분리해 개인별 수면 단계를 정확히 구분’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을 검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과 구조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표준검사다. 하지만 여러 센서를 부착해야하는 불편함, 높은 비용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반복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웨어러블 기기와 수면 측정 애플리케이션이 주목 받고 있지만 그 정확도는 아직 수면다원검사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 분석 기술들은 대부분 혼자 수면하는 환경을 기준으로 설계돼있어 실제처럼 두 명 이상 수면하는 경우에는 숨소리, 뒤척임, 코골이 등 타인의 소음으로 인해 개인별 수면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숨소리만으로 수면 단계(▲깨어있음 ▲렘(REM) 수면 ▲얕은 수면 ▲깊은 수면)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 공동 수면 상황에서도 개인마다의 수면 단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성인 44쌍(총 88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