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보건단체

케이메디허브, R&D 전년比 12% 증가

22년 연구개발비 407억원 수주하면서 양적·질적 성장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가 22년 수주한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12% 양적 성장했다.

연구개발비 규모의 성장과 함께 케이메디허브는 디지털헬스케어, 합성신약 등 다양한 R&D 사업들을 주도하면서 국내기업을 견인하는 질적 성장도 하고 있다. 

2022년 케이메디허브 연구개발비 수주금액은 407억원 규모다.

이는 전년대비 12% 성장한 수치이며, 특히 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탁하여 양적·질적으로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케이메디허브는 지난해 △합성신약개발 산학연계지원사업(6년, 250억원 규모), △디지털헬스케어 의료기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5년 150억원)과 △차세대 의료연구기반 육성사업(3년, 122억원) 등을 수주했다.

이는 양진영 이사장이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직접 성과를 챙기며 동기부여하고 전직원이 합심하여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케이메디허브는 신약개발분야에서 합성신약개발 산학연계지원사업과 백신 및 면역증강제 개발지원사업을 통해 기업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합성신약개발 산학연계지원사업(6년, 250억원 규모)은 케이메디허브가 주축이 되어 대학·출연(연)의 기초연구성과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후보물질 최적화를 지원하고, 바이오기업의 파이프라인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백신 및 면역증강제 개발 지원사업(3년, 30억원)은 대학·병원·연구소 등의 기초연구결과를 활용해 백신 및 면역증강제 후보물질 개발을 지원하고, 우수한 기술을 기업에 소개하는 산학연 연계사업이다. 

이러한 사업은 학계의 기초연구성과를 산업계로 이어주는데 케이메디허브가 구심점 역할을 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첨단의료기기연구개발분야에서는 디지털헬스케어 의료기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과 병원-기업 협력 공동사업화기반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맡게 되었다.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5년 150억원)은 식약처 인허가가 완료된 국내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진단·치료기기의 세계시장 진입을 위해 인프라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병원-기업 협력 공동사업화기반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사업(5년, 약104억원)은 케이메디허브 인프라와 병원 내 의료인이 연계하여, 기업의 국산 의료기기 제품의 인허가 및 보험등제를 통해 첨단의료기기의 시장진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한 차세대 의료연구기반 육성사업(3년, 122억원) 수요기반 기술서비스 지원을 통해 맞춤형 전임상, 의약생산 지원을 하면서 의료제품의 사업화 상위단계 진입을 지원한다.

1차년도였던 22년에는 AI기반 영상행동학적, 병리학적 평가법을 확립하고, 학습데이터 수집과 이미지 인식 기술 기반을 확보하는 등 AI를 의료산업으로 연계하기 위한 선제적 기술지원을 수행하였다.

연구개발에 집중하면서도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제도 도입기반구축사업과 식약처 심사자 교육을 수탁하여 공공연구기관으로 케이메디허브의 공공성을 높이는 사업도 병행하였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미래를 선도하는 의료산업 허브라는 케이메허브의 비전에 발맞춰 연구개발사업 또한 충실하게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지난해 수주한 내실 있는 기업지원 사업을 활용하면서 케이메디허브가 의료산업 기초연구와 기업 사업화 연계의 구심점으로 자리잡도록 파급력을 확장시킬 것”이라 포부를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