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보건단체

메디체크연구소 나은희 소장,종양표지자 검사... 참고 범위 설정 및 검증 발표

AFP (간암검사), CEA, CA19-9 (위장관 및 췌장암검사), CA125, HE4 (난소암검사), PSA (전립선암검사), Cyfra21-1, proGRP (폐암검사)의 참고범위 제시

한국건강관리협회(회장 김인원, 이하 건협) 메디체크연구소 나은희 소장(진단검사의학전문의) 연구팀은 ‘국내 1차 진료기관에서 종양표지자 검사의 참고범위 설정 및 검증: 후향적 단면 조사연구 (Establishment and validation of reference intervals for tumor markers (AFP, CEA, CA19-9, CA15-3, CA125, PSA, HE4, Cyfra 21-1, and ProGRP) in primary care centers in Korea: A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를 「Health Science Reports」최근호에 발표했다.

종양표지자검사는 암 진단을 위한 보조적인 역할 또는 암 환자 치료에 대한 경과를 관찰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스크리닝 검사로서, 혈액을 통해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종양표지자검사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서는 인종, 성, 연령 등에 맞는 적절한 참고범위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건협 16개 건강증진의원에서 종양표지자(AFP, CEA, CA19-9, CA15-3, CA125, HE4, PSA, Cyfra21-1, ProGRP) 검사를 받은 214,159명(18세~98세)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CT, MRI, 초음파 및 혈액검사 등을 함께 확인하여 암이나 잠재적인 비건강인을 제외하고 참고범위를 설정했으며, 다른 건강검진자들에서 이의 적절성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AFP, CEA, CA19-9, Cyfra 21-1 및 ProGRP에서 성별에 따른 참고범위의 차이를 보였다(p<0.05). AFP, CEA 및 Cyfra21-1은 남성에서 더 높게, CA19-9 및 ProGRP는 여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종양표지자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참고범위가 높아졌지만, CA125는 50세 이상에서 감소했다. CA15-3은 연령 증가에 따른 참고범위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설정된 참고범위를 토대로 검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5% 미만에서 참고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설정된 참고범위의 사용 적절함을 확인했다.

나은희 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대규모 정상인의 검사결과를 활용하여 종양표지자의 참고범위를 설정 및 검증하였다는 점과 18세~98세까지의 성인기 전반에 걸친 종양표지자의 변화가 평가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약분업 시행이 언젠데..."아직도 불법 대체조제 등 제도 운영 심각하게 왜곡"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는 최근 불법 대체조제 실태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조제가 의료현장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관련 제도 운영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닥터서베이’를 통해 2025년 9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3,234명의 회원이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현행 대체조제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해당 제도가 성분명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95.7%로 매우 높았다. 특히 약사가 의사에게 사전 동의나 사후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형사처벌 및 행정처분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응답자가 55.9%로 가장 많았고, 사전 동의나 사후통보가 없는 경우 실제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통보 등 조치하는 경우는 2.4%에 불과했다.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는 36.1%였다. 의협은 “회원 대상으로 대체조제로 인한 약화사고 등 대체조제 사후통보 문제점을 적극 홍보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법률을 개정해 불법 대체조제 처벌을 강화하고 정부와 협의해 행정처분 강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