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82명(전일 대비 5명 감소), 사망자는 16명(전일 대비 5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08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34명(83.0%),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5명(93.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4주(7.24~7.30.)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1,221명, 해외유입 사례는 56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11,78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932,439명(해외유입 45,305명)이다. 8월 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1,221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3,261.4명)이며, 수도권에서 60,273명(54.2%), 비수도권에서 50,948명(45.8%)이 발생하였다. 8월 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BA.2.75 변이 감염 환자 2명이 추가 확인되어 총 9명(+2)*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8월 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87명(전일 대비 3명 증가), 사망자는 21명(전일 대비 1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5,068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34명(81.5%),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8명(85.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4주(7.24~7.30.) 보고된 사망자 172명 중 50세 이상은 167명 (97.1%)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61명(36.5%)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4,253명, 해외유입 사례는 436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4,68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820,739명(해외유입 44,756명)이다. 8월 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4,253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1,507.3명)이며, 수도권에서 22,621명(51.1%), 비수도권에서 21,632명(48.9%)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251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9.9%, 준-중증병상 51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서 확보한 인체자원*을 8월 1일부터 국내 연구자들에게 공개한다. 공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인체자원은 제7기(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8,398명의 한국인칩 유전체정보로, 기존에 제공된 한국인칩 정보와 함께 정밀의료*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코호트 연계 대기오염 자료는 20만 명 참여자들의 2005~2017년 대기오염물질 노출농도 및 기상자료로, 미세먼지 등 환경요인에 의한 건강영향 연구에 활용이 예상된다. 아울러, 사구체신염, 전신혈관염, 크론병 등 희귀질환 관련 6개 국가연구개발과제에서 수집한 794명분 희귀질환 인체유래물 및 임상·역학정보도 같이 공개된다. 공개된 인체자원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분양신청이 가능하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분양신청 방법 및 구비서류는 분양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3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84명(전일 대비 42명 증가), 사망자는 20명(전일 대비 15명 감소)으로 누적 사망자는 25,04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31명(81.3%),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8명(90.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3주(7.17~7.23.)에 보고된 사망자 127명 중 50세 이상은 121명 (95.3%)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50명(41.3%)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3,248명, 해외유입 사례는 34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3,58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776,050명(해외유입 44,320명)이다. 7월 3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3,248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0,259.6명)이며, 수도권에서 36,593명(50.0%), 비수도권에서 36,655명(50.0%)이 발생하였다. □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232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8.6%, 준-중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3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42명(전일 대비 8명 증가), 사망자는 35명(전일 동일)으로 누적 사망자는 25,02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02명(83.5%),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2명(91.4%)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3주(7.17~7.23.) 보고된 사망자 127명 중 50세 이상은 121명 (95.3%)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50명(41.3%)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605명, 해외유입 사례는 397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2,002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702,461명(해외유입 43,979명)이다. 7월 3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605명(최근 1주간 일 평균 79,089.7명)이며, 수도권에서 42,990명(52.7%), 비수도권에서 38,615명(47.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3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BA.2.75 변이 감염 환자 3명이 추가 확인되어 총 7명(+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34명(전일 대비 38명 증가), 사망자는 35명(전일 대비 10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4,99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97명(84.2%),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3명(94.3%)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3주(7.17~7.23.) 보고된 사망자 127명 중 50세 이상은 121명 (95.3%)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50명(41.3%)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4,881명, 해외유입 사례는 439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5,32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620,517명(해외유입 43,538명)이다. 7월 2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4,881명(최근 1주간 일 평균 77,186.7명)이며, 수도권에서 45,302명(53.4%), 비수도권에서 39,579명(46.6%)이 발생하였다. □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191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5.0%, 준-중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96명(전일 대비 19명 증가), 사망자는 25명(전일 동일)으로 누적 사망자는 24,95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57명(80.1%),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3명(92.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3주(7.17~7.23.) 보고된 사망자 127명 중 50세 이상은 121명 (95.3%)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50명(41.3%)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7,959명, 해외유입 사례는 42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8,384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535,242명(해외유입 43,103명)이다. 7월 2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7,959명(최근 1주간 일 평균 74,820.3명)이며, 수도권에서 47,124명(53.6%), 비수도권에서 40,835명(46.4%)이 발생하였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6,122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3.0%, 준-중증병상 43.6%,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77명(전일 대비 9명 증가), 사망자는 25명(전일 대비 8명 증가)으로 누적 사망자는 24,93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46명(82.5%),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3명(92.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7월 3주(7.17~7.23.) 보고된 사망자 127명 중 50세 이상은 121명 (95.3%)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50명(41.3%)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9,753명, 해외유입 사례는 532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00,28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446,946명(해외유입 42,683명)이다. 7월 2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9,753명(최근 1주간 일 평균 72,383.1명)이며, 수도권에서 52,438명(52.6%), 비수도권에서 47,315명(47.4%)이 발생하였다.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내려진 가운데, 기온과 습도가 높아 일최고체감온도가 33~35℃로 매우 무더울 것으로 예보(기상청)됨에 따라,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온열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지난해(2021년)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주로 7월 말부터 8월 초(7.20~8.10) 사이에 전체 환자의 57%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격 무더위 시작으로 폭염이 지속될 경우 온열질환자도 크게 늘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올해(5.20.~7.25.)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로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885명(사망 7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2.1%(160명) 증가하였다.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주로 남자(78.8%), 실외(81.6%), 12~17시의 낮시간대(48.9%), 65세이상(28.5%) 노인층에서 발생이 많았다. 연령대별 온열질환 발생이 많은 장소로는, 영유아・아동・청소년(0-18세)은 운동장(50%), 청중장년층(30~64세)은 실외작업장(41.7%), 노인층(65세 이상)은 논밭(33.3%)으로 나타났다. 어지러움, 두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168명(전일 대비 24명 증가), 사망자는 17명(전일과 동일)으로 누적 사망자는 24,907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37명(81.5%),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5명(88.2%)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7월 3주(7.17~7.23.) 보고된 사망자 127명 중 50세 이상은 121명 (95.3%)이었으며, 이들 중 백신 미접종 또는 1차접종자는 50명(41.3%)으로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높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8,974명, 해외유입 사례는 35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99,32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346,764명(해외유입 42,196명)이다. 7월 2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8,974명(최근 1주간 일 평균 68,989.9명)이며, 수도권에서 55,635명(56.2%), 비수도권에서 43,339명(43.8%)이 발생하였다. 한편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5,947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1.8%, 준-중증병상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