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1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1명, 사망자는 1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661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513명, 해외유입 사례는 18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2,69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524,538명(해외유입 37,358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403명(11.2%)이며, 18세 이하는 3,363명(26.9%)이다. 7월 1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513(최근 1주간 일 평균 18,183.3명)이며, 수도권에서 7,177명(57.4%), 비수도권에서 5,336명(42.6%)이 발생하였다.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행장 김성순)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주 세부계통 4주를 7월 11일(월)부터 분양할 예정이다 분양 예정인 균주는 오미크론 변이주(SARS-CoV-2 GRA: BA.2.12.1, #NCCP 43423)오미크론 변이주(SARS-CoV-2 GRA: BA.2.3, #NCCP 43424) 오미크론 변이주(SARS-CoV-2 GRA: BA.4, #NCCP 43425)오미크론 변이주(SARS-CoV-2 GRA: BA.5, #NCCP 43426) 등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분양은 생물안전 3등급(BL3)* 연구시설을 보유하거나, BL3 시설이 있는 기관과 시설 사용 계약을 맺은 기관에 분양 가능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핵산(바이러스로부터 추출된 유전물질) 분양은 수행 실험 내용에 따라 기관에 요구되는 생물안전 등급이 달라질 수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10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7명,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64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160명, 해외유입 사례는 250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0,41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511,845명(해외유입 37,178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3,055명(15.2%)이며, 18세 이하는 4,553명(22.6%)이다. 7월 1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160(최근 1주간 일 평균 17,265.0명)이며, 수도권에서 11,543명(57.3%), 비수도권에서 8,617명(42.7%)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9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1명,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62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063명, 해외유입 사례는 22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20,28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491,435명(해외유입 36,928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708명(13.5%)이며, 18세 이하는 4,569명(22.8%)이다. 7월 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0,063(최근 1주간 일 평균 15,793.6명)이며, 수도권에서 11,503명(57.3%), 비수도권에서 8,560명(42.7%)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8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2명, 사망자는 1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605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132명, 해외유입 사례는 19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9,32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471,172명(해외유입 36,70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541명(13.3%)이며, 18세 이하는 4,048명(21.2%)이다. 7월 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132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4,434.7명)이며, 수도권에서 10,932명(57.1%), 비수도권에서 8,200명(42.9%)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7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6명, 사망자는 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59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317명, 해외유입 사례는 19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8,51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451,862명(해외유입 36,510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276명(12.4%)이며, 18세 이하는 3,672명(20.0%)이다. 7월 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8,317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3,042.4명)이며, 수도권에서 10,468명(57.1%), 비수도권에서 7,849명(42.9%)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6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1명,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58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147명, 해외유입 사례는 22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9,371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433,359명(해외유입 36,316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2,393명(12.5%)이며, 18세 이하는 3,865명(20.2%)이다. 7월 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9,147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1,776.7명)이며, 수도권에서 10,949명(57.2%), 비수도권에서 8,198명(42.8%)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4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576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976명, 해외유입 사례는 17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8,147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413,997명(해외유입 36,093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995명(11.1%)이며, 18세 이하는 3,737명(20.8%)이다. 7월 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7,976명(최근 1주간 일 평균 10,506.6 명)이며, 수도권에서 10,578명(58.8%), 비수도권에서 7,398명(41.2%)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6명,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574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089명, 해외유입 사례는 16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6,25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395,864명(해외유입 35,926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748명(12.3%)이며, 18세 이하는 1,484명(24.4%)이다. 7월 4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089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938.7명)이며, 수도권에서 3,333명(54.7%), 비수도권에서 2,756명(45.3%)이 발생하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7월 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3명, 사망자는 7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56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542명, 해외유입 사례는 173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0,71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8,379,552명(해외유입 35,571명)이다.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396명(13.2%)이며, 18세 이하는 2,055명(19.5%)이다. 7월 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542명(최근 1주간 일 평균 8,400.7명)이며, 수도권에서 6,040명(57.3%), 비수도권에서 4,502명(42.7%)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