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걸을 때마다 다리가 저릿하거나 당긴다면 일상에서도 불편함을 느끼기 마련이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듯이 아파서 중간에 앉아서 쉬지 않을 수 없는 경우도 생기는데, 대부분은 피로나 혈액순환 장애를 의심하게 된다. 그러나 충분한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계속해서 반복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이라는 허리 질환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척추관이란 척추뼈 속에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를 부르는 이름이다. 이러한 척추관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져서 신경이 눌리는 것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한다. 흔한 원인으로는 노화에 의해 척추관 내부의 벽을 이루는 구조물이 두꺼워지거나 척추뼈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눌린 신경은 해당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신경을 통한 순환에 장애가 생기며 특히 보행 시에 통증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부터 엉덩이, 다리까지 서서히 증상이 진행되는 병이다. 보행 시 느끼는 불편함으로 많은 환자들이 원인을 허리라고 생각하지 못하며, 일부는 증상이 심해졌다가 완화되는 경우가 있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실제로 증세가 나아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방치하면 보행 불능이나 하지마비로까지 진행될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당장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된다면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
- 보행 시 허벅지와 종아리가 터질 듯이 당기고 아프다.
- 몇 분 이상 걸으면 통증으로 멈춰 쉬어야 한다.
- 허리와 다리뿐만 아니라 허벅지와 종아리, 발끝까지 저리다.
- 다리 전체에 힘이 빠지고 마비가 온 듯한 느낌이 든다.
- 다리가 가늘어지고 힘이 약해진다.
- 가만히 있을 때 통증이 약하고 움직이면 심해진다.
- 서 있을 때 증상이 심해지고, 앉거나 허리를 굽히면 완화된다.
- 어느 정도 움직이면 허리 통증이 약해지고 부드러워진다.
- 자다가 다리가 저려서 깨곤 한다.
최원서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다리가 뻣뻣하고 저린 느낌을 혈액순환 장애로 여겨서 방치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보행 시 불편함을 단순한 피로감으로 오인하지 않고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신경외과 전문의와 함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평소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걷기나 수영과 같은 유산소 운동이나 복부 코어를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이 척추 건강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