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정 신)이 국내 최초로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 치료를 위한 보건복지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승인을 획득했다. 이번 임상연구가 성공한다면 말기 심부전 환자 치료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4일 ‘2025년 제7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를 열고, 전남대병원이 박셀바이오가 제공하는 자가 골수유래 단핵세포를 활용해 시행하는 해당 연구를 ‘적합’으로 29일 의결했다.
이번 임상연구는 박셀바이오가 개발한 ‘자가 골수유래 단핵세포 치료제’를 활용해, 6개월 이상 최적의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비허혈성 확장성 심근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는 기존 심부전 치료법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확장성 심근병증은 심장 근육이 확장되고 기능이 저하돼 심장이 제대로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는 질환으로, 심부전, 부정맥, 혈전, 심정지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특히 말기 심부전의 경우 현재로서는 심장이식 또는 좌심실보조장치(LVAD) 등 고난도 시술 외에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를 이끄는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심두선 교수는 “말기 심부전은 5년 내 사망률이 50%에 이를 정도로 예후가 매우 나쁜 질환이며, 현재 치료 방법이 극히 제한적”이라며 “저위험 자가 골수유래 단핵세포를 활용한 이번 임상이 성공한다면 확장성 심근병증 치료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남대병원은 이번 임상연구를 통해 첨단재생의료 분야에서도 연구중심병원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며, 향후 박셀바이오와의 협력을 통해 임상적 데이터를 축적하고 치료제 상용화 기반도 모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