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로 소아청소년 정신과의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15살 남학생이 방문했다. 간헐적인 기억 소실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뇌전증클리닉을 찾았다. 정신건강 평가 결과 매우 심한 우울증 (PHQ-9=27점)과 불안증을 보였고, mini-Plus 자살경향성 척도는 33점으로 자살 최고위험군이다. 매일 자살생각과 계획을 하고 있으며 어제는 아파트 8층 집에서 시도했다고 한다. 같은 집에 사는 부모는 전혀 모르고 있었고, 정신과 의사는 소량의 항우울제(렉사프로 5mg)와 항불안제(알프람 0.125mg)만 투여하고 있었다.
자살예방 대책은 전무했다. 학생은 외동아들이다. 필자는 자살예방을 위하여 긴급 입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교수에게 전화를 하여서 오늘 오후 진료를 하고 적절한 조치를 부탁했다. 하지만 아이는 부모에게 단호하게 정신과에 가거나 입원하지 않겠다고 말했지만 필자는 학생에게 “지금은 자살충동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 오늘 꼭 정신과 진료를 받자. 선생님과 상담만 하면 되. 그렇게 할래?”라고 물어보았더니 ‘예’하고 고개를 끄떡였다. 나의 간절한 마음이 아이에게 전해진 것이다. 주치의는 환자를 가장 잘 설득할 수 있고, 자살예방 능력도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살예방 대책에 모든 비정신과 의사들을 제외한 한국 정부는 이것을 모르는 것 같다. 정부와 국민들은 정신과에 다닌다고 자살이 예방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그동안 정신과 진료를 받다가 자살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병의원에서 어떤 예방조치를 하였고 어떤 투약을 했는지부터 긴급히 조사해야 한다. 심리부검만 할 것이 아니라 자살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투약과 조치가 있었는지도 분석해야 한다. 심한 우울증 환자가 정신과에 다녀도 자살생각을 자주 해도 자살예방약 리튬(표준진료지침 권장)을 처방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응급 자살방지약인 스프라바토(비강 분무 형태의 신약)는 투여 후 의료진이 2시간 동안 혈압, 호흡과 맥박을 감시해야 하므로 의원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자살이 임박한 사람들에게 적절한 치료와 조치를 하려면 정신과 병동이 있는 상급병원으로 바로 이동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필자는 삼성서울병원 명예교수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전화로 정신과 교수에게 직접 부탁할 수 있지만 다른 의사들이나 일반 사람들은 불가능하다. 119에 전화해도 정신과 입원을 할 수 있는 병원을 찾기 어렵다. 위 학생의 경우 하루만 늦어도 생명을 잃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마땅한 대책이 없다. 필자는 모든 신환에서 PHQ-9 우울척도와 mini-Plus 자살경향성 척도로 정신건강 평가를 하기 때문에 자살 최고위험군 학생을 우연히 발견한 것이다, 다른 의사들은 거의 다 못하고 있다. 정신과도 제대로 못하는 것 같다. 한국에는 자살예방의 근본이 없다. 가장 위태로운 자살이 임박한 사람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자살 고위험군은 PHQ-9 척도 등으로 스크리닝하고 물어보고 찾아야 하는데 찾은 후 대처할 방법이 없다면 누가 찾겠는가.
자살 최고위험군을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찾았을 때 119와 같은 긴급 자살방지 시스템이 구축될 때까지는 자살예방은 요원하다. 자살예방대책 정부 예산은 자살이 임박한 최고위험군(학생, 성인)의 조기 발견과 긴급 대처에 사용되어야 실효가 있다. 위에 기술한 학생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어떻게 조치가 될지 모르므로 내일 오후에 뇌전증도움전화(1670-1142) 의료사회복지사가 부모와 학생에게 전화를 하여서 어떤 조치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도록 요청했다.
지난 5년 동안 전국의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에게 의료, 사회복지, 심리, 돌연사 및 자살 예방 상담을 제공해 온 뇌전증 생명의 전화인 뇌전증도움전화가 뜻하지 않게 1670-1142로 변경되었다. 뇌전증도움전화가 변경된 것을 모르는 환자와 가족들이 불편을 겪고 소중한 기회를 놓칠까 매우 걱정된다. 뇌전증지원센터(국제뇌전증협회 공인)는 새로운 번호의 뇌전증도움전화(1670-1142)로 더 향상된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뇌전증도움전화는 전국의 뇌전증 환자들이 각 지역에서 고루 최적의 뇌전증 치료와 사회복지 지원을 받을 때까지 최선을 다할 것이다. 국민들의 관심과 성원이 필요하다. 본 칼럼 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다.
홍승봉교수 (대한우울자살예방학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