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솔젠트, ‘USA 바이오 2011’ 국제대회 참가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아

유전체분석 관련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바이오 벤처기업 솔젠트가 지난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USA 바이오 2011’ 국제대회에 참가해 관련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한국바이오협회 주관으로 바이오코리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과 함께 한국관에서 독립부스를 운영한 솔젠트는 숙주 DNA 제거 다중증폭용 효소(DNA free multiplex PCR pre-mix), 말라리아 관련 유전자 진단 키트(G6PD genotyping kit),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분류키트(Influenza Virus A Sub-typing Kit) 등의 제품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바이오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특히 최근 국내에 새롭게 출시한 숙주 DNA 제거 다중증폭 시스템에 대한 문의가 줄을 이었다. 이 제품은 앞서 패혈증과 관련해 세계적인 분자 진단기업 씨젠으로부터 우수 진단제품으로 평가 받은 바 있다.

 

솔젠트 명현군 대표는 “이번 국제대회는 솔젠트의 첫 해외 전시참가라 더욱 의미가 깊다”며 “오랜 시간 축적한 기술노하우를 선보인 만큼 현지의 반응도 뜨거웠다”고 전했다.

 

솔젠트는 이번 국제대회를 계기로 세계적인 분자 진단제품 전문 생산기업으로 발돋움, 세계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각도의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그동안 솔젠트는 분자 진단제품의 세계화를 위해 기존 연구소 외에 제 2연구소와 생산센터를 설립하는 등 제품개발과 안정화된 생산 시스템을 갖추는데 노력해왔다. 또 질병관리본부 등 국가 기관과 공동으로 다양한 분자진단 키트의 개발노하우를 확보, 씨젠과 협력해 분자진단 키트의 핵심연료인 효소제품들의 경쟁력을 세계적으로 키워왔다.

 

한편, 솔젠트는 미래 전략사업으로 추진중인 생물소재 사업을 통해 최근 혈당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인 ‘로하스피니톨’을 개발, 출시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자회사인 내츄럴플랜(www.naturalplan.co.kr)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또 현재 지식경제부 충청광역권 선도사업으로 선정돼 ‘당뇨관련 신약개발 전임상과제’를 진행 하는 등 바이오 분야의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가볍게 여긴 어지럼증, '이것' 이상 신호일 수 있어 일상 속에서 한두 번 느끼는 어지럼증은 대부분 피로나 빈혈로 인한 일시적인 증상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증상이 반복되거나 도는 듯한 느낌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생리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어지럼증은 자신이나 주변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상태를 포괄하는 용어로, 두통과 함께 신경과 외래에서 가장 흔히 호소 되는 증상 중 하나다. 대부분은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일부는 뇌질환이나 심혈관계 이상 등 중대한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다. 나승희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지럼증은 단일 질환이 아닌 여러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상태”라며 “특히 반복되거나 강도가 심하고, 복시 등 다른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경우 전정질환 또는 뇌졸중 등 신경계 이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어지럼증은 생리적 요인부터 말초 전정기관 이상, 중추신경계 질환, 심혈관 및 자율신경계 이상, 심리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인 말초성 어지럼증 질환으로는 전정기관의 이석이 잘못된 위치로 이동해 발생하는 이석증(양성돌발성체위현훈), 내림프액 이상으로 인한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