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심평원

국민 다발병 봤더니 의외네..디스크·기관지염 환자 크게 늘어

입원 다발생 질환 ‘ 기타 추간판 장애 〉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노년성 백내장 〉 위장염 및 결장염’ 順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국민들이 병원을 많이 찾는 다발생 순위 상병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4년 입원 다발생 순위 1위는 ‘ 기타 추간판 장애(디스크)’ 로 연간 27만 9천명이 진료 받아 전년 대비 4만2천명(17.9%)이, 5년전에 비해 11만8천명(73.1%)이 증가했다.<표1>

또 2014년 외래 다발생 순위 1위는 ‘ 급성 기관지염’ 으로 연간 1,508만4천명이 진료받아 전년 대비 23만6천명(1.6%)이, 5년전에 비해 280만1천명이(2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표3>

2014년 입원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 기타 추간판 장애’ 로 27만 9천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전년 대비 4만2천명(17.9%)이 늘어났다.

‘ 기타 추간판 장애’ 의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4.7%로 2010년에는 진료인원이 16만1천명으로 다발생 순위 7위였으나, 매년 크게 증가하여 2014년에는 27만9천명으로 1위로 올라섰다.

입원 다발생 상위 5순위 질환은 ‘ 기타 추간판 장애’ 27만 9천명 > ‘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26만 6천명 > ‘ 노년성 백내장’ 25만 1천명 > ‘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 22만 2천명 순이다.

                                  표1. 입원 다발생 상위 5순위 질환 진료인원 (2014년 기준)

                                                                                                                  (단위: 명)

상병명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연평균 증가율
기타 추간판 장애161,337 186,338 217,542 236,999 279,327 14.7%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220,161 275,349 255,219 242,105 266,450 4.9%
노년성 백내장221,418 237,719 232,742 234,016 251,052 3.2%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164,362 164,412 189,406 212,605 222,367 7.8%
치핵212,382 217,124 216,622 207,833 194,596 - 2.2%

※ 입원 다빈도 1순위 ‘ 출산장소에 따른 생존 출생(Z38)'은 질병과 직접적인 관련이 적어 해당 상병은 순위에서 제외함

‘ 기타 추간판 장애’ 는 흔히 허리 디스크로 알려져 있으며, 연령별로는 남성은 30대, 여성은 50대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기타 추간판 장애’ 는 남성 진료인원이 30대에 3만6천명, 여성은 50대에 4만3천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전에 비해 증가한 진료인원도 각각 1만5천명, 2만2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목 디스크로 알려진 ‘ 경추간판 장애’ 는 남, 녀 모두 50대 진료인원이 각각 1만1천명, 1만6천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 디스크’ 연령별 성별 진료인원 (입원)

                                                                                                            (단위: 명)

상병명 성별 연령구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기타 추간판 장애 (허리 디스크)20세 미만1,900 2,285 2,713 2,986 3,579
20∼29세10,879 12,048 13,251 13,952 16,893
30∼39세20,528 24,027 27,532 30,415 35,535
40∼49세18,532 21,159 24,563 27,057 32,203
50∼59세14,349 17,201 20,662 23,511 28,480
60∼69세8,077 9,020 10,112 10,895 13,213
70세 이상5,045 5,323 6,077 6,615 7,372
20세 미만1,061 1,203 1,445 1,665 2,182
20∼29세6,017 6,891 8,056 8,752 10,410
30∼39세12,123 14,686 17,118 18,636 21,538
40∼49세20,834 23,743 27,858 29,361 34,121
50∼59세21,179 26,155 32,907 36,403 42,863
60∼69세11,582 12,644 14,205 14,966 18,162
70세 이상9,709 10,539 11,760 12,548 13,858
경추간판장애 (목 디스크)20세 미만91 116 164 166 240
20∼29세954 1,096 1,534 1,911 2,286
30∼39세2,972 3,814 5,100 5,985 7,136
40∼49세5,048 6,292 8,018 8,999 10,946
50∼59세4,435 5,892 7,922 8,947 11,067
60∼69세1,817 2,204 2,594 2,956 3,657
70세 이상783 914 1,054 1,207 1,392
20세 미만81 86 154 169 202
20∼29세760 1,101 1,565 1,818 2,233
30∼39세2,344 3,074 4,262 4,867 5,589
40∼49세6,577 8,232 10,654 11,461 13,088
50∼59세5,978 8,511 11,457 13,093 15,757
60∼69세1,827 2,198 2,872 3,180 3,887
70세 이상1,074 1,161 1,446 1,533 1,705

※ 연령구간 별로 중복인원이 발생할 수 있어 합계는 <표1>과 다를 수 있음

2014년 외래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상병은 ‘ 급성 기관지염’ 으로 1,508만4천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전년 대비 23만6천명(1.6%)이 증가하였다.

‘ 급성 기관지염’ 진료인원은 매년 1,000만명 이상으로 5년간 진료인원 역시 가장 많았다.

2013년 스케일링 급여확대로 인한 ‘ 치은염 및 치주질환’ 진료인원은 전년 대비 20% 이상씩 크게 증가하였다.


                                    표3. 외래 다발생 상위 5순위 질환 진료인원 (2014년 기준)

                                                                                                                    (단위: 명)

상병명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연평균 증가율
급성 기관지염12,282,399 13,053,768 14,221,788 14,847,561 15,083,588 5.3%
치은염 및 치주질환7,931,336 8,037,994 8,428,603 10,276,654 12,896,270 12.9%
급성 편도염8,643,429 7,605,777 7,436,184 7,139,305 6,924,705 -5.4%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 감염6,985,816 6,655,808 6,816,821 6,576,675 6,562,113 -1.6%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5,564,179 5,552,313 5,979,705 6,086,540 6,298,202 3.1%

‘ 급성 기관지염’ 은 주로 3, 4월에 진료인원이 많이 발생하며 8월까지 감소하다 이후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4월 평균 진료인원이 약 290만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9월에 전월대비 53.7% 증가하여 환절기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표4. ‘ 급성 기관지염’ 월별 진료인원 (외래)

                                                                                                           (단위: 천명)

연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2010년1,828 1,608 2,243 2,897 2,369 1,757 1,328 1,084 1,868 2,381 2,499 3,079
2011년2,348 1,770 2,266 2,406 2,321 1,780 1,403 1,502 2,279 2,593 2,622 2,913
2012년2,859 2,900 3,101 3,040 2,555 1,720 1,397 1,370 2,231 2,717 2,780 2,543
2013년2,645 2,877 3,141 3,086 2,518 1,840 1,560 1,561 2,368 2,712 2,876 2,671
2014년2,968 3,711 3,092 3,056 2,577 1,870 1,792 1,650 2,266 2,700 3,217 2,892

※ 월별 진료인원은 진료개시일 기준임 (2010년 1월∼2015년 1월 심사결정분 중)

아직 청구되지 않은 건이 있을 수 있어 2014년 12월 등은 실적이 과소집계 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2011년과 2014년을 비교한 결과 소아·청소년은 호흡기 질환자가, 성인은 치과 질환자가 많이 증가하였다.

0∼10세에서는 ‘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의 진료인원이 27만1천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11∼20세에서는 ‘ 급성기관지염’ 의 진료인원이 16만1천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소아·청소년 세대의 경우 호흡기 질환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1세 이상 구간들(21∼40세, 41∼60세, 61세 이상)에서는 ‘ 스케일링 급여적용’ 으로 인해 ‘ 치은염 및 치주질환’ 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5. 연령구간별 진료인원 1순위 상병 (2014년 기준_입원, 외래)

                                                                                           (단위: 명)

연령구간 상병명2011년2012년2013년2014년
0∼10세 급성 기관지염3,545,990 3,652,209 4,275,212 3,670,454
11∼20세 급성 기관지염1,667,260 1,772,022 1,722,111 1,828,259
21∼40세 치은염 및 치주질환2,071,626 2,087,827 2,841,200 3,961,097
41∼60세 치은염 및 치주질환3,389,461 3,621,259 4,440,807 5,454,912
61세 이상 본태성(일차성)고혈압2,717,390 2,738,130 2,856,817 2,915,865

                표6. 연령구간별 진료인원 증가 상위 10상병 (2011년, 2014년 비교_입원, 외래)

                                                                                                                  (단위: 명)

0∼10세11∼20세21∼40세41∼60세61세 이상
상병명 증가인원 상병명 증가인원 상병명 증가인원 상병명 증가인원 상병명 증가인원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271,145급성 기관지염160,999치은염 및 치주질환1,889,471치은염 및 치주질환2,065,451치은염 및 치주질환784,868
감염성 및 상세불명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217,762치은염 및 치주질환120,317급성 기관지염451,511급성 기관지염788,457급성기관지염528,549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182,936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64,078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301,356 (한방)요추 및 골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염좌 및 긴장243,253기타척추병증259,103
급성기관지염124,464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46,260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117,910위-식도 역류병234,286위-식도 역류병256,351
기타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114,749매몰치 및 매복치39,572 (한방)요추 및 골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111,828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233,286 (한방) 등통증227,930
기타 및 원인 미상의 열73,189기타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25,815칸디다증111,743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연조직 장애224,892본태성 (일차성) 고혈압198,475
두드러기68,345급성인지 만성인지 명시되지 않은 기관지염25,714급성인지 만성인지 명시되지 않은 기관지염100,549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216,935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191,119
치아우식51,120바이러스 사마귀22,851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88,198급성인지 만성인지 명시되지 않은 기관지염191,884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연조직 장애190,145
농가진40,087피부의 농양, 종기 및 큰종기21,175각막염80,918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191,258무릎관절증187,704
급성 비인두염 [감기]36,091등통증19,524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연조직 장애72,994각막염176,875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187,539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