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심평원

공공의 적 ‘흡연’…폐 기능 저하, 버거병까지 유발시켜

심사경가원 분석결과 2014년 기준,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버거병 등 흡연 관련 질환 진료인원 약 28만명으로 나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세계 금연의 날(5월 31일)’을 맞아 흡연과 관련이 있는 질환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2014년 총 진료인원은 약 28만3천명, 총 진료비는 약 1,430억원으로 2010년에 비해 8천명(-2.9%)이 감소하고 194억원(15.7%)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버거병’은 노년층이,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는 중년층 진료인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흡연’ 관련 질환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진료인원은 2010년 약 29만1천명에서 2014년 약 28만3천명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8천명(-2.9%) 감소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0.7%이며,총진료비는 2010년 약 1,236억원에서 2014년 약 1,430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194억원(15.7%)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3.7%를 보였다.


 ‘흡연’ 관련 질환 진료인원의 90% 이상은 50세 이상으로 고연령층에서의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 연령구간별 진료인원은 70세 이상이 15만1천명(51.7%)으로 가장 많으며, 이어서 60대 7만3천명(25.1%) > 50대 4만2천명(14.3%) 순으로 많았다.

       표,  <흡연 관련 질환>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구 분

진 료 인 원 ()

연 령 별 점 유 율 (%)

2010

2011

2012

2013

2014

2010

2011

2012

2013

2014

0~ 9

1,252

1,500

1,909

1,485

1,660

0.4%

0.5%

0.6%

0.5%

0.6%

738

892

1,152

877

990

0.4%

0.5%

0.5%

0.4%

0.5%

514

608

757

608

670

0.5%

0.5%

0.7%

0.6%

0.8%

10~ 19

2,772

2,617

2,448

1,632

1,606

0.9%

0.9%

0.8%

0.6%

0.5%

1,565

1,450

1,387

921

955

0.8%

0.7%

0.7%

0.5%

0.5%

1,207

1,167

1,061

711

651

1.1%

1.1%

0.9%

0.8%

0.7%

20~ 29

4,346

3,847

3,917

2,698

2,427

1.5%

1.3%

1.2%

0.9%

0.8%

2,160

1,940

2,110

1,488

1,393

1.1%

1.0%

1.0%

0.8%

0.7%

2,186

1,907

1,807

1,210

1,034

2.0%

1.7%

1.6%

1.3%

1.2%

30~ 39

8,434

8,240

8,262

6,303

5,895

2.8%

2.7%

2.5%

2.2%

2.0%

4,569

4,567

4,812

3,950

3,775

2.4%

2.3%

2.3%

2.0%

1.9%

3,865

3,673

3,450

2,353

2,120

3.5%

3.3%

3.0%

2.5%

2.4%

40~ 49

19,620

18,785

18,942

15,211

14,398

6.6%

6.1%

5.8%

5.2%

4.9%

11,726

11,469

11,644

9,946

9,662

6.2%

5.9%

5.5%

5.1%

4.8%

7,894

7,316

7,298

5,265

4,736

7.2%

6.6%

6.4%

5.6%

5.3%

50~ 59

42,383

45,280

47,864

41,767

41,709

14.2%

14.8%

14.7%

14.4%

14.3%

27,239

29,408

31,399

28,447

29,388

14.5%

15.1%

14.9%

14.5%

14.5%

15,144

15,872

16,465

13,320

12,321

13.7%

14.3%

14.4%

14.1%

13.8%

60~ 69

79,386

79,244

82,384

72,705

73,426

26.6%

25.9%

25.3%

25.0%

25.1%

54,681

54,919

58,261

53,435

55,330

29.1%

28.1%

27.6%

27.2%

27.3%

24,705

24,325

24,123

19,270

18,096

22.4%

21.9%

21.1%

20.4%

20.3%

70세 이상

140,006

146,664

159,495

149,118

151,126

47.0%

47.9%

49.0%

51.3%

51.7%

85,300

90,625

100,069

97,181

101,486

45.4%

46.4%

47.5%

49.5%

50.0%

54,706

56,039

59,426

51,937

49,640

49.6%

50.5%

52.0%

54.9%

55.6%

                                                                                ※ 연령별 점유율은 각 성별내에서의 점유임.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14년 기준 ‘흡연’ 관련 질환 중 COPD 진료인원은 27만6천명으로 가장 많았다. 2014년 기준 각 질환들의 진료인원은 ‘COPD’ 27만6천명, ‘버거병’ 5천5백명,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2천2백명이었다.
 

'COPD'은 고연령층 진료인원의 비중이 높았으며,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는 중년층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의 진료인원은 매월 2~3백명 수준이었으나, 2014년 12월은 ‘담뱃값 인상’을 앞두고 금연을 결심한 인원이 증가하면서 진료인원이 500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표. <흡연 관련 질환> 연령별 진료인원 현황 (2010년~2014년)
                                                                                                                         (단위: 명)

구 분

성별

2010

2011

2012

2013

2014

버거병

5,071

5,047

5,582

5,539

5,530

0_9

-

-

-

1

-

10_19

20

25

27

35

13

20_29

133

107

115

121

87

30_39

389

352

374

327

345

40_49

897

886

940

866

890

50_59

1,111

1,199

1,359

1,368

1,404

60_69

1,192

1,129

1,235

1,219

1,205

70세 이상

1,467

1,538

1,738

1,767

1,771

COPD

284,499

292,390

308,104

275,268

275,588

0_9

1,247

1,497

1,902

1,481

1,653

10_19

2,711

2,543

2,385

1,560

1,563

20_29

4,066

3,607

3,617

2,420

2,201

30_39

7,590

7,486

7,386

5,476

5,052

40_49

18,085

17,349

17,363

13,682

12,885

50_59

40,809

43,576

45,968

39,861

39,739

60_69

78,017

77,951

80,996

71,290

72,039

70세 이상

138,582

145,179

157,801

147,391

149,415

담배흡연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2,130

1,965

2,280

2,307

2,202

0_9

5

3

7

3

7

10_19

41

49

36

37

30

20_29

148

135

188

158

139

30_39

461

403

506

506

502

40_49

655

558

653

672

632

50_59

490

539

577

589

604

60_69

265

236

240

276

230

70세 이상

77

65

86

84

75

                                                                                ※ 월별 진료인원은 요양개시일 기준임.``


COPD'는 기관지나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나며, ‘버거병’은 손과 발의 중소 동정맥에 염증과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다.


COPD의 경우 초기에는 증상을 전혀 느끼지 못하다가 질병이 진행되면서 만성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나타나게 되며,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어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안정 시에도 호흡곤란을 느낄 수 있다.
 

버거병 초기에는 냉감, 파행증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되면서 휴식 시 통증, 궤양, 괴사 등을 유발하게 된다. COPD, 버거병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금연’이다.
 

모든 흡연자들이 COPD, 버거병으로 진행되지는 않지만 현재까지 흡연은 COPD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버거병은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13년 성인의 흡연율은 남성 42.1%, 여성 6.2%였으며 남성은 30대, 여성은 20대의 흡연율이 높았다.


강보험심사평가원 김학주 심사위원은 “흡연자는 기침, 가래, 손․발이 차거나 저림 등의 가벼운 증상이라도 진단을 받아야 하며, 간접흡연도 폐암이나, 허혈성 심질환, 호흡기질환, 유아 돌연사증후군 등의 위험 인자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비흡연자도 간접흡연에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피부과 의사 추천”, “병원전용 화장품”... 이런 표현 사용하는 광고,"문제있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대한화장품협회와 함께 ‘00의사추천’, ‘병원전용 화장품’ 등을 표방하며 온라인에서 유통·판매되는 화장품의 판매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화장품법」을 위반한 237건을 적발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 해당 표현들은 지난 1월 개정된 「화장품 표시·광고 관리지침」에 새롭게 사용금지 표현의 예시로 추가되었다. 식약처는 ▲‘00의사 추천’, ‘병원전용’, ‘병원추천’ 등 사실과 다르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가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91건, 38.4%) ▲‘피부염증감소’, ‘피부재생’, ‘항염’ 등 의약품 효능·효과를 표방해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114건, 48.1%) ▲‘주름개선’ 등 일반화장품을 기능성화장품으로 오인하거나 기능성화장품 심사 내용과 다른 광고(32건, 13.5%) 등에 대해 점검하여 적발했다. 또한, 이번 점검은 1차 적발된 판매업체의 부당광고 186건에 대한 책임판매업체를 추적·조사하여, 책임판매업체의 위반 광고 51건을 추가로 적발한 결과 총 237건을 차단 조치했다. 적발된 책임판매업자 35개소에 대해 관할 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현장 점검 및 행정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