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1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회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부실 관리

김성주의원,장비 A/S 건수 3년새 3,700% 증가, 폐기 건수 3,400% 급증 대책 마면 촉구

홀로 사는 어르신들과 중증장애인이 응급상황에 처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마련된 취약계층지원시스템을 안일하게 관리하고 있는 탓에 대상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었지만 정부가 뒤늦게 관련 전수조사에 착수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김성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간사/전주 덕진)이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취약계층지원시스템 중 독거노인 돌봄기본서비스는 가입자가 2013239,865, 2014258,408, 20156247,652명에 이르고 있다. ‘독거노인 응급안전서비스201365,280, 201481,226, 20156월에 79,165명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인 장애인응급알림e20132,041, 20142,698, 201562,698명이 가입돼 있다.

 

< 독거노인 가입자수>

(단위: )

구분

2013

2014

20156

돌봄

기본

응급

안전

돌봄

기본

응급

안전

돌봄

기본

응급

안전

가입자 수

239,865

65,280

258,408

81,266

247,652

79,165

<장애인응급알림e 가입자수>

(단위: )

2013

2014

20156

합계

2,041

2,698

2,698

 

<독거노인 응급상황별 신고건수>

(‘156월말 기준, 단위 : )

연도

합계

응급상황별

화재

가스

응급통화

합계

11,429

3,726

123

7,580

‘15

1,525

289

7

1,229

‘14

3,219

1,103

26

2,090

‘13

2,670

1,044

32

1,594

‘12

2,234

718

25

1,491

‘11

1,781

572

33

1,176

가입자 수 뿐 아니라, 응급상황 신고건수도 해마다 늘었다. ‘111,781건에서 ’143,219건으로 증가추세이며, 올 상반기 기준 1,525건이 신고 됐다. 신고 사유로는 응급통화가 가장 많고, 화재 3,726, 가스 123건이었다.

 

장애인응급알림e 역시, ‘1318, ’14240, ‘15년 상반기 188건으로 최근 3년간 446건의 신고가 발생했다. 응급통화가 374, 화재 72건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응급알림e 응급상황별 신고건수>

(‘156월말 기준, 단위 : )

연도

합계

응급상황별

화재

가스

응급통화

합계

446

72

-

374

‘15

188

17

-

171

‘14

240

53

-

187

‘13

18

2

-

16

 

문제는 해마다 독거노인과 장애인알림e의 신고 건수가 늘어남과 동시에 사실상 오작동이라 할 수 있는 민감작동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독거노인의 경우 ‘113,609건에 불과했던 민감작동이 ’14년에는 11,100건에 이르렀고 올해 7월말 이미 9,680건에 달했다. 장애인알림e의 경우 ‘13101’14901, ‘157월까지 1,115건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 및 장애인응급알림e 민감작동 현황>

('157월말 기준, 단위 : )

연도

독거노인

장애인응급알림e

합계

38,987

2,117

'15

9,680

1,115

‘14

11,100

901

‘13

7,869

101

‘12

6,729

-

‘11

3,609

-

 

장비에 대한 A/S 및 폐기 현황도 급증하고 있었다. 독거노인 기준 ‘12년도 177건에 불과하던 장비 A/S’14년에 6,607건으로 3,700%나 급증하였고, 폐기 역시 ‘12684건에 불과하던 게 ’157월말기준 23,589건으로 3,400% 급증하였다. 장애인응급알림e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눈에 띄게 늘고 있었다.

<독거노인 및 장애인응급알림e A/S, 폐기 현황>

(‘157월말 기준, 단위 : )

연도

독거노인

장애인응급알림e

구분

A/S

폐기

A/S

폐기

합계

15,008

27,504

1,489

543

'15

7,992

23,589

409

408

‘14

6,607

2,059

1,054

135

‘13

232

1,172

26

0

‘12

177

684

-

-

이는 장비의 통상 사용가능한 연한인 5년이 도래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회보장정보원에서 제출한 연도별 독거노인 댁내장비 설치현황자료와 비교하면 실제로 ‘08년에 3개 지자체 5,550가구로부터 사업을 시작한 이후 약 5년이 경과한 ’13년 경 부터 A/S와 폐기가 크게 늘고 있다.

<독거노인 댁내장비 설치현황>

(단위: 가구, )

구분

댁내장비 설치가구

사업수행 지자체(중복제거)

81,064

194

‘14

14,000

4

‘13

10,000

151

‘12

11,500

9

‘11

18,700

12

‘10

13,914

9

‘09

10,400

6

‘08

5,550

3

 

한편, 장애인응급알림e의 경우는 ‘13년도에 2,121가구에서 설치하고 20개 지자체에서 사업을 시작하였는데도 다음해 절반가량인 1,054개가 A/S를 받는 등 설치한지 얼마 되지 않음에도 고장과 폐기가 많아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장애인 댁내장비 설치가구 현황>

(단위: 가구, )

구분

댁내장비 설치가구

사업수행 지자체(중복제거)

3,364

32

‘14

1,243

12

‘13

2,121

20

 

김성주 의원은 “‘14년부터 A/S와 폐기가 급증하는 등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안전이 위협 받을 수 있는 상황이 감지됐음에도 사회보장정보원과 보건복지부에서는 올해 4월에서야 장비 전수 점검에 착수했다, 사회보장정보원과 복지부의 안일한 늦장대응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활동량, 가스, 맥박 등을 감지해 안전을 챙겨야 할 만큼 건강상태가 취약한 독거어르신과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인 바, 기계의 결함과 노후 정도가 곧 생명으로 연결 된다, “곧 나올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기 전수 조사 시점 등을 면밀히 검토해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사회보장정보원에서 운영 중인 취약계층지원시스템은 노인돌봄기본서비스와 독거노인응급안전서비스, 중증장애인응급안전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시스템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종합적 이력관리 및 응급상황 발생정보를 업무담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로 독거노인이나 중증장애인을 위기에서 구해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서비스는 응급상황 자동 신고 및 활동량 감지로, 독거노인과 중증장애인 중 서비스이용 가구에 센서를 설치하여 단말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화재, 가스감지 및 응급호출을 수행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 WHO 밀폐인증 획득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은 국내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이 아시아 최초, 세계 세 번째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밀폐인증을 획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한국의 폴리오 필수시설(LG화학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에 대한 WHO의 밀폐인증 획득은 폴리오백신 생산시설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국가 생물안전 관리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폴리오바이러스 취급은 물론 향후 발생 가능한 위해성이 높은 신종 감염병 백신 개발·생산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과 위해관리 역량을 갖추었음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폴리오박멸계획(GPEI)을 1988년부터 수립하고, 폴리오(소아마비) 박멸을 위해 국가별 광범위한 백신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폴리오필수시설은 세계보건기구로부터 2026년까지 밀폐인증을 받도록 하고 있다. WHO 밀폐인증은 폴리오바이러스의 안전한 취급을 위한 밀폐시설 기준과 위해관리 체계를 평가하는 절차로, WHO 지침인 ‘글로벌행동계획 제4판, GAPIV’을 기반으로 이뤄지며, 생물위해 관리체계, 교육‧훈련, 보안, 물리적 밀폐, 비상대응계획 등 생물안전·생물보안 전 영역에 걸쳐 구성된 총 14가지 세부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폴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 개최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센터장 이언숙)는 10월 20일 ‘언제 호스피스에 가면 좋을까요?’를 주제로 ‘2025 호스피스의날 기념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존엄한 죽음과 삶의 마무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산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시기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캠페인에는 교직원 6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참가자들은 △임종 직전 △암 진단 직후 △항암치료가 더는 가능하지 않을 때 △통증 조절이 어렵고 의식이 흐려질 때 등 네 가지 상황 중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에서는 호스피스 이용에는 ‘정답’이 없지만, 가능한 한 이른 시점에서 상담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항암치료가 더 이상 의미가 없을 때 호스피스 입원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이언숙 호스피스완화의료센터장은 “예전보다 많은 분들이 호스피스완화의료에 관심을 가지지만, 여전히 막연하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환자와 가족, 교직원 모두가 ‘언제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존엄한 삶의 마무리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