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제약산업 특성화대학원」지원 사업의 ‘16년 수행기관으로 성균관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가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사업은 제약 기술경영(R&D관리), 인허가, 글로벌 마케팅 등 핵심 역할을 담당할 多학제간 융합 지식·실무(현장) 역량 등을 갖춘 석사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위과정 설치 및 운영을 지원하는 사업으로,이번에 총 6개 대학이 지원(약학대학 5, 경영전문대학 1)하여, 교육전략의 우수성, 글로벌 산학협력계획, 사업수행 능력·의지 등에 대한 선정평가(10.28일)를 거쳐 사업 주관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교육내용
세부과정명 | 교육내용 |
제약기술경영과정 (Pharmaceutical Innovation Management) | 신약 R&D 전략기획, 프로젝트 관리, 신약기술 라이센싱, 기술가치평가 등 제약기업의 기술전략, 기술기획, 기술사업화 등 제약기술경영에 대해 전문적으로 교육함. |
의약품 인허가 과정 (Drug Approval System) | 전임상, 임상 및 GXP, 품질관리, 시판후 관리 등 의약품 인허가 관련 규제 과학(Regulatory science)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교육함. |
의약품 경제성평가 과정 (Pharmaceutical Outcomes Research) | 의약품 경제성평가 등 보험 등재에 필요한 전문 지식, Risk-benefit analysis 등 위해관리에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 전문적으로 교육함. |
제약 글로벌 마케팅 과정 (Pharmaceutical Global Marketing) | 의약품 해외진출을 위한 시장분석, 제품기획, 가격, 유통, 판매촉진, 기술 제휴 등 글로벌 사업화 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계획에 대해 전문적으로 교육함. |
‘12년에 이어 선정된 성균관대학교는 그간 사업성과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교원 확보, 제약산업 전문대학원 모델 제시로 선도대학으로의 포부와 발전 가능성에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신규 선정된 이화여자대학교는 기업 수요를 반영한 여성 제약산업 리더 양성을 목표로 우수 교원 확보, 해외대학 및 기업과의 협력 등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선정 대학은 대학원 운영비, 장학금 등 ‘16년도 5억원 이내의 국고지원을 비롯하여, 이후 사업평가 결과에 따라 최고 5년간(3+2년) 약 25억원 이내의 예산이 지원될 예정이다.
오는 ‘16년 3월부터 학위과정을 운영하며, 제약산업의 융합적 특성을 반영한 다학제 교육*, 실무(현장) 중심의 교과 과정 등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제약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 사업」을 통해 제약산업의 글로벌화 및 새로운 시장 창출에 핵심적 역할을 할 전문 인력을 배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선정 대학은 3년 지원 후, 계획의 이행 여부 및 성과 여하에 따라 2년 추가 지원 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엄격한 관리를 통해 제약 산업계에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