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김희수총장 자서전/37/종합대학으로의 승격

1994년 의과대학 신설 인가 받아

새로운 학과의 필요성에 따라 학생 수가 계속 늘어갔다. 개교 이듬해인 1992년도 4월 1일에는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여 도약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이창갑 학장님이 그대로 초대 총장에 취임했다. 학생 수도 경제학과, 행정학과(야간), 생활체육학과, 건축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등 5개 학과 190명이 증원되어 93년도에는 모두 19개 학과 750명의 신입생을 뽑았다.

 

특히 1994년은 의과대학 신설 인가를 받았고 대학원 설치인가를 받는 등 획기적인 발전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의과대학은 의학과 50명, 간호학과 40명의 정원으로 출범하게 되었으며 중어중문학과, 일어일문학과, 미술학과, 세무학과 등 4개 학과 160명의 증원과 기존 5개 학과의 정원이 100명 더 늘어나게 되었다.


1995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는 5개 단과대학, 3개 학부, 19개 학과에서 모두 1,100명을 뽑게 되었다. 총 학생 정원 5,000명에 달하는 명실상부한 종합대학교로 발돋움하기에 이르렀다. 또 2월 24일에는 첫 졸업생 145명에 대한 학위수여식을 거행하게 돼 또 한번의 감격을 맛보았다. 나는 이들에게 선배도 없고, 모든 것이 불비된 가운데 신설 건양대에 입학하여 4년의 과정을 성실하게 잘 마친 것을 치하하며, 그동안 대학에서 배운 개척자적 정신으로 사회에 임한다면 무엇을 하든 자신감 있게 잘 해낼 것이라고 격려했다.  

 

건양대학교는 염홍철 대전시장 등 각계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전캠퍼스 의과학관 개관식을 가졌다.

 
한편 이창갑 총장께서는 4년 임기를 마치시고 극구 사양하시는 것을 학교의 발전을 위하여 한 차례 더 부탁을 드려 2차 임기를 맡으셨으나 1996년 6월 고혈압으로 하지 마비 증상이 나타나 약간의 보행 장애를 일으키게 되었다. 중임을 극구 사양하시는 것을 간청해서 2년을 더 재임하셨는데 이런 일이 생기고 나니 중임을 부탁드린 게 무척 후회스러웠다. 결국 이창갑 총장님은 중도에서 사임하시고 이사회 결의에 따라 신대현(申大鉉) 부총장을 총장에 임명했다.


1997년 1월 27일 열린 신구(新舊) 총장 이취임식에서 나는 두 분의 인덕을 높이 평가하고 신설 대학을 명문 사학으로 발전시킨 전임 총장님의 업적을 치하하는 한편 새 총장께는 중부권의 명문대학으로 발전시켜줄 것을 당부드렸다. 특히 이임하는 이 총장님은 재임 기간 동안, 신입생 400명으로 시작하여 재학생 4,500명으로, 교수 22명에서 120명으로, 단과대학에서 종합대학으로 성장해온 6년 동안 고락을 같이했기 때문에 떠나보내기가 몹시 서운했다. 나는 기념품과 약소한 대로 금일봉을 드리고 여생을 편히 지내시길 기원했다.


신임 신 총장께는 21세기에 대비한 대학의 자생력을 키워주도록 부탁드렸다. 신 총장님은 국립 충남대에서 두루 요직을 맡고 큰살림을 한 바 있는 교육계의 거물이라는 평을 받는 분으로 95년부터 부총장으로 근무해 오셨기 때문에 학교 사정도 누구보다 잘 알고 교직원들로부터도 존경을 받는 분이어서 학교 발전에 새로운 기대를 가질 수 있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푸드QR에 타임바코드 기술 도입, 소비기한 경과 식품 판매 차단 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식품・건강기능식품 제조·유통업계를 대상으로 ‘푸드QR 소비기한 적용 확대 정책설명회’를 10월 17일 SETEC 컨벤션센터(서울특별시 강남구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 제품에 표시된 QR코드를 휴대폰 카메라로 비추면 다양한 식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푸드QR’에 타임바코드 기술을 적용해 판매자가 계산대(POS)에서 QR코드를 스캔하면 소비기한이 지난 식품은 결제되지 않고 경고음 등으로 알려 판매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설명회는 식품·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 편의점업체 등을 참석대상(약 200명)으로 하며, ▲푸드QR 도입 취지 및 정책 방향 ▲타임바코드 현장 적용 사례 ▲소비기한 정보 탑재 QR 인쇄 기술 안내 ▲질의응답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특히 이날 현장에는 이미 타임바코드 기술을 도입한 식품제조·가공업체 롯데웰푸드, SPC 삼립 관계자가 직접 참석하여 실제 적용 사례와 노하우를 공유하고, 바코드 인쇄장비 제조업체 관계자가 소비기한 정보를 담은 QR 인쇄 방법, 속도 등을 상세히 안내한다. 식약처는 현재 편의점 등 일부 업계가 소비기한이 짧은 김밥, 샌드위치, 도시락 등에 자율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타임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