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독성시험은 어떻게 실시되었는가?
○ 독성시험전문기관(바이오톡스텍)에서 비임상시험관리기준(GLP) 및 OECD 등 국제 독성시험 가이드라인에 따라 독성시험을 수행함
- 이엽우피소 열수추출물·분말, 백수오 열수추출물·분말 총 4종 시험물질에 대하여 실험동물 랫드를 대상으로 개략의 치사량과 반복노출에 따른 전신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회 및 반복투여독성시험을 실시하고,
- 시험결과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 전문가(11명) 전문 평가를 수행하여 시험물질 준비, 시험계획, 시험수행 및 결과처리 등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음.
Q2,독성시험은 왜 2년이나 걸렸는지?
○ 이엽우피소 독성시험은 OECD 시험 가이드라인 및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 등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 ① 이엽우피소 및 백수오 시험물질의 조제, ② 단회투여독성시험 및 용량결정시험 등 예비시험, ③ 90일 반복투여독성시험 기간을 고려하여 철저한 전문위원회의 검토 및 심의를 거쳐 2년의 연구기간을 설정하였으며,
- 설정된 연구 계획 및 진도관리에 따라 차질없이 수행되었음.
Q3,이엽우피소와 백수오의 구분은 어떻게 하였는가?
○ 백수오(한약재) 진위여부 판별이 가능한 “한약재 시험·검사기관”인 한약진흥재단에서 시험물질 판별을 수행하였음
- 이엽우피소와 백수오를 한약재 감별 전문가의 관능검사 및 공인된 유전자 분리 및 증폭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법*으로 정확히 판별하여,
* 대한민국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
- 두 물질의 혼입없이 분말 및 열수추출물* 형태로 각각 조제하여 독성시험에 사용하였음
* 열수추출물 : 100℃의 물에서 4시간 추출
(건강기능식품 : 95℃이상의 물에서 4시간 추출)
Q4,열수추출물과 분말에서 독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의 유효성분 또는 독성물질이 현재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아 독성 차이 및 원인을 명확히 해석할 수 없음.
- 다만, 천연물은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추출 방법 및 조제 방법 등에 따라 활성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다를 수 있으며,
- 전통적으로 한방제제의 경우 대부분 열수추출물을 사용하여 임상에 안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열수추출 시 전분, 다당체를 포함한 상대적으로 독성이 낮은 성분이 주로 추출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Q5,백수오 분말의 경우 고용량에서만 병리학적 소견이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저용량까지 나타난 체중감소를 독성지표로 판단한 이유는?
○ 독성시험에서 체중은 동물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대표적 지표로, WHO 등에서는 무독성량 설정 시 성장장애를 중요한 독성지표로 보고 있음
○ 백수오 분말의 경우, 체중감소가 암컷*에서 용량의존적(500~2,000mg/kg)으로 관찰되고, 고용량 투여 시(2,000mg/kg) 심각한 체중 감소(46%)와 더불어 동물의 행동학적 이상반응(스트레스성 과민반응, 사료섭취 거부), 사망 등이 관찰되어 체중감소를 독성지표로 판단함.
* 일반적으로 암컷이 시험물질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FDA 독성시험 가이드라인)
Q6,향후 백수오 분말 함유 한약제제에 대한 조치 계획은?
○ 기허가 유통품에 대해서는 잠정 제조·판매 중단 조치를 취하고, ‘18년 상반기까지 안전성 입증자료 제출 요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임
○ 현재 한의원 등 한방의료기관에서는 대부분 복합처방에 의하여 열수추출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의료인의 판단에 따라 비추출물 형태의 백수오 함유 처방 사용시,
- 이번 안전성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사용에 신중을 기하도록 관련단체에 안전성 서한을 배포하는 등 한약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음
Q7,위해평가는 어떻게 실시되었는가?
○ 식품원료로 사용된 백수오(열수추출물 및 분말)의 일일노출량을 독성기준값과 비교하여 위해우려 가능성을 판단하는 노출안전역으로 위해평가를 실시함
* 노출안전역(MOE, margin of Exposure) : 독성기준값인 최대무독성용량(NOAEL), 을 인체노출량으로 나눈 값.
○ 일반적으로 동물과 사람과의 차이(×10), 민감군 등 개인간 차이(×10)를 고려하여 최소 노출안전역이 100 이상을 확보할 경우 위해우려가 없다고 판단하며 100 이하인 경우 위해우려가 있으므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함.
Q8,백수오 분말 제품을 섭취한 소비자의 건강은 문제없는가?
○ 백수오 분말 함유제품의 노출안전역 100이하는 건강에 위해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위해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
- 이번 위해평가는 제품에 표시된 최대섭취횟수, 최대섭취량으로 매일 평생 먹는다는 가정하에 보수적으로 평가된 것이며, 섭취량, 섭취기간, 섭취빈도 등 개인별 차이에 따라 위해 우려 여부는 달리 판단될 수 있음.
Q9,이엽우피소가 혼입된 백수오 함유 건강기능식품은 안전한가?
○ 건강기능식품 원료는 모두 열수추출한 것으로 이엽우피소 혼입에도 섭취 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됨
- 2015년 검찰 조사 시 백수오에 실제 혼입된 이엽우피소 혼입비율(3%)을 적용한 경우 위해우려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음.
* 이엽우피소 열수추출물의 독성기준값 1000 mg/kgbw/day
* 건강기능식품 중 이엽우피소 혼입(3%) 시 노출량 : 0.084 mg/kgbw/day
* 노출안전역은 1000 ÷ 0.084 = 11,905
Q10,백수오 분말·환 등 일반식품에 대한 조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개정하여 열수추출물로만 식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을 제한할 예정임.
○ 또한, 기준·규격 개정 전이라도 백수오 식품을 생산하는 모든 제조가공업체에 백수오 분말을 원료로 한 식품의 생산·판매 중단을 요청하고, 온라인 모니터링을 포함하여 유통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생산·판매·유통되지 않도록 조치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