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BMS-화이자, 2018 미국심장학회(ACC)에서 리얼월드 데이터 발표

엘리퀴스, 최대 규모의 리얼월드 데이터 통해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에서 리바록사반 또는 다비가트란 대비 우수한 효능 및 안전성 확인

 엘리퀴스, 리바록사반 또는 다비가트란 대비 뇌졸중/전신 색전증 및 주요 출혈 위험 더 낮게 나타나
 BMS-화이자는 제67회 미국심장학회 연례 학술대회에서 9개의 공동 초록 발표, 이번 연구 결과는 그 중 하나로 구두 발표돼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와 화이자는 지난 11일, 2018 미국심장학회(ACC) 연례 학술대회에서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새로운 리얼월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의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 162,707명을 대상으로 엘리퀴스와 리바록사반, 다비가트란 등 서로 다른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DOAC)의 효능과 안전성 및 전반적인 임상결과를 비교한 최대 규모의 데이터로, 엘리퀴스는 리바록사반 또는 다비가트란 대비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다.


이번 리얼월드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평가변수를 사용한 분석으로, 세 가지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 코호트를 일대일 성향점수(propensity score)를 활용해 비교했다. 각 코호트는 엘리퀴스 vs. 리바록사반(125,238명), 엘리퀴스 vs. 다비가트란(54,192명), 다비가트란 vs. 리바록사반(55,076명)으로 구성됐다.


엘리퀴스 vs. 리바록사반 코호트 연구결과에 따르면, 엘리퀴스는 리바록사반 대비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HR=0.83, 95% CI: 0.73-0.94, p=0.004) 및 주요 출혈 발생률(HR=0.54, 95% CI: 0.50-0.58, p=<0.001)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엘리퀴스 vs. 다비가트란 코호트에서도 엘리퀴스는 다비가트란 대비 상당히 낮은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HR=0.69, 95% CI: 0.56-0.84, p=<0.001) 및 주요 출혈 발생률(HR=0.77, 95% CI: 0.68-0.88, p=<0.001)을 보였다.


한편, 다비가트란 vs. 리바록사반 코호트 분석 결과, 다비가트란은 리바록사반 대비 주요 출혈 발생률(HR=0.67, 95% CI: 0.60-0.74, p=<0.001)이 크게 낮았고,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지만 뇌졸중/전신 색전증 위험(HR=1.18, 95% CI: 0.98-1.43, p=0.080)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엘리퀴스 등의 항응고제는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며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번 연구의 주저자이자 뉴올리언즈 오슈너 메디컬 센터 교수인 스티븐 다이텔즈와이그(Steven Deitelzweig)는 “직접 경구용 항응고제에 대한 대부분의 리얼월드 데이터 관찰 분석은 하나의 데이터만을 근거로 했지만 이번 분석은 미국 보건당국(CMS)의 보험 데이터와 관리의료(Managed Care) 청구 데이터를 모두 활용, 연간 1억 8천만명의 우대보험(Medicare Advantage)과 민영보험 수혜자를 토대로 진행됐다.


이는 미국 인구의 절반 이상에 해당된다”며 “환자의 의료비 청구 현황을 미국 전지역이 잘 반영된 데이터를 통해 파악하는 것은 실제 의료 현장에서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낫다바이오텍, 동물모델 기반 맞춤형 플랫폼 개발 MOU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 전임상센터가 ㈜낫다바이오텍과 창상진단 치료 솔루션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공동연구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환자의 상처 상태 진단과 치료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정밀의료 기반의 창상치료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센터장 정명훈)는 이를 위해 다양한 동물모델을 활용한 전임상 실험 기반을 제공하고, 낫다바이오텍은 창상의 종류와 진행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진단·치료 솔루션을 제시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시너지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상처 치료를 넘어 상처의 원인, 상태, 회복 경과 등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를 설계하는 차세대 창상치료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창상 회복의 효율성을 높이고 치료 기간을 단축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 기관은 이번 공동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피부질환 및 재생치료 영역으로 협력 범위를 넓혀나갈 예정이며, 차세대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조태희 낫다바이오텍 대표는 “케이메디허브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의 실증성과 현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