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제약ㆍ약사

콜로플라스트 배금미사장,NSE 아시아 총괄 사장 취임

존슨앤드존슨 메디칼등을 거친 글로벌 기업 여성 CEO,풍부한 경험과 경영 전문성 인정

콜로플라스트 코리아 및 홍콩 대표이사를 역임 중인 배금미 사장이 콜로플라스트(Coloplast) NSE(North and Southeast) 아시아 총괄 신임 사장에 취임했다.

 

배금미 사장은 제네럴모터스, 프랭클린템플턴, DHL코리아, 존슨앤드존슨 멘토사업부 아시아총괄본부장을 거쳐 2014년 콜로플라스트 코리아에 부임했다. 이후, 매년 30%가 넘는 성장율로 한국지사를 크게 성장시키며 영업 및 마케팅 분야의 뛰어난 경험과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공로로 2016년부터 콜로플라스트 홍콩 대표이사 자리에도 겸임되기도 했다.

 

배금미 NSE 총괄 사장은 향후 콜로플라스트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는 물론, 태국, 말레이시아 등을 포함한 아시아 내 다양한 국가에서 신규 시장 사업전략 수립을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을 책임지고 이끌게 된다.

 

콜로플라스트에 따르면, “콜로플라스트는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 진출을 가속화하고자 배금미 사장을 NSE 아시아 총괄 사장으로 선임했다”며, “그동안 한국 및 홍콩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비약적인 성과를 보인 인물로, 아시아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국가간 시너지를 이끌 적임자로 판단했다”고 배 사장의 선임 이유를 밝혔다.

 

배금미 아시아 총괄 사장은 “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 헬스케어 시장에서 중요한 곳일 뿐만 아니라, 요루, 장루 등 비즈니스 부분으로도 상당한 성장 기회가 있는 시장으로, 중요한 자리를 맡게 돼 어깨가 무겁다”며, “제도 혁신, 제품 및 케어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확대 등 부가가치 창출 등 남에게 말못할 고통을 지닌 환자들이 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국가 간의 파트너십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콜로플라스트는 전세계 80여개의 지사를 둔 글로벌 기업으로, 1954년 덴마크 간호사인 엘리스 소렌슨이 결장암에 걸린 여동생을 위해 최초로 장루주머니를 고안하면서 탄생, 남에게 알리기 힘든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혁신적인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케이메디허브,7월 1일자 인사발령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가 7월 1일(화)자로 인사발령을 실시했다. <책임급 승진> ▲이수진 책임연구원 <선임급 승진> ▲김예지 선임행정원 ▲손미란 선임행정원 ▲정지성 선임행정원 ▲민주식 선임연구원 ▲배재열 선임연구원 ▲임지연 선임연구원 ▲민경준 선임연구원 ▲박민정 선임연구원 ▲이성준 선임연구원 ▲김동선 선임연구원 ▲박나혜 선임연구원 ▲이경호 선임연구원 ▲이성민 선임연구원 ▲이효근 선임연구원 <직속부서 보직> ▲전략기획실 조성민 실장 ▲기획예산팀 정영은 팀장 ▲인재육성팀 박민선 팀장 ▲혁신성장팀 김진택 팀장 ▲대외협력실 송인 실장 ▲언론보도팀 김경원 팀장 ▲글로벌협력팀 이지연 팀장 ▲홍보팀 고하나 팀장 ▲전략지원팀 박철호 팀장 ▲감사실 송영애 실장 <경영관리본부 보직> ▲경영관리본부 박인규 본부장 ▲의료기술시험연수원추진단 한대용 단장 ▲규제지원팀 이진선 팀장 ▲안전경영부 원천수 부장 ▲연구사업관리부 박은희 부장 ▲경영지원부 채준혁 부장 ▲정보전산팀 최기한 팀장 ▲안전보건팀 천학사 팀장 ▲연구조정팀 이지민 팀장 ▲기술사업화팀 손미란 팀장(기술서비스팀 겸직) ▲ESG경영팀 장대진 팀장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숨이 턱 막힌다”... 조용히 생명을 위협하는 ‘폐색전증’ 70세 A씨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진단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왼쪽 다리 골절로 병상에 누워 지내던 중 혈전이 생겨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신속한 진단이 없었다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다. 오늘은 초고령화 시대에 발병률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색전증’에 대해, 순천향대 부천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와 함께 알아본다. 폐색전증은 혈액이 탁하거나 끈적해져 응고된 ‘혈전(피떡)’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폐혈관을 막는 질환이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한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황헌규 교수는 “숨이 차는 흔한 원인은 천식의 악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 폐렴, 기흉, 심부전의 악화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이 없다면, 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꼭 기억해야 할 질환이 바로 폐색전증”이라고 말했다. 폐색전증은 고령자, 암 환자, 오랜 침상 안정이 필요한 부동 상태의 환자, 정맥혈전 병력이 있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 고령의 임신부 등이